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835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5
저자 김운회
출판사 동아일보사
발표자 김운회 교수
일자 2010-08-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19:00

http://www.yes24.com/24/Goods/3968014

책소개


'한인동족론'으로 한일고대사를 재해석하다

전통사회에서 근대로 넘어가며 발생한 독도 문제가 한일 양국의 쟁점이지만 양국 고대사 서술도 두 나라간 날을 세우는 논쟁거리다. 주지하다시피 일본은 제국주의 시절, 일선동조론을 내세우며 일본이 본가이고 조선은 분가라고 주장했다. 일본은 형, 조선은 동생이라는 식으로 일본우위론을 말했다.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는 일선동조론이 허구라고 말하며 대안으로 '한인동족론'을 들고 나왔다. 저자에 따르면, 일선동조론은 정치적 냄새가 짙게 베인 선전일 뿐, 한인동족론이야말로 과학적인 설명이다.

한일동족론은 한반도에서 이주한 일단의 무리가 일본을 구성했다고 말한다. 즉, 일선동조론에서 이야기하는 형·동생의 관계가 바뀐 것이다. 한국이 형이고 일본이 동생이라는 인식인데, 과연 이러한 인식은 무엇을 의미할까. 저자는 과학적인 고대사 서술으로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를 위해 부여 등 잊혀진 한국 고대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



저자 소개


김운회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양대학교 경영관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가 본격적으로 고대사 연구에 나선 것은 2000년대에 들어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된 이후부터다. ‘역사의 상실은 민족의 소멸’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한·중, 한·일 간 역사적 논쟁들을 정사(正史)를 중심으로 문헌적으로 고증하고 정면으로 파헤쳐서 사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2004년 1월부터 인터넷신문 〈프레시안〉에 ‘삼국지 바로 읽기’를 연재해 10만여 명에 달하는 《삼국지》 마니아들 사이에서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저자는 한국인이 널리 읽는 《삼국지》가 중화주의의 산물임을 밝혀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감춰진 고구려 역사를 찾아냈다.
2006년에는 《대쥬신을 찾아서1,2》를 통해 우리 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문헌적으로 고증하여 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책 역시 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켜 북방 유목민을 중심으로 한 한국사 인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사학계는 북방사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고, 동이족 전반의 관계사에 대한 지평이 확
...  



목차


한일 고대사를 다시 쓰며
이 책을 읽기 전에 알아둘 사항들

1장 다시 보는 일선동조론
들어가는 글 불함문화론
01 일선동조론: 일본은 본가, 한국은 분가 | 02 “여기서 한국이 보이니까 좋네”

2장 도래인의 나라 일본
들어가는 글 연오랑·세오녀
01 열도를 뒤덮은 한국 이름 | 02 한일동족론

3장 태양의 아들, 부여
들어가는 글 프리기아와 부여
01 부여의 새벽: 발, 박, 백에서 부여까지 | 02 부여의 아들, 고구려와 백제

4장 백제는 신화다
들어가는 글 역사가 된 신화
01 백제의 산화 | 02 일본(日本), 왜(倭)를 정벌하다

5장 안개 속의 그 이름, 백제와 구다라
들어가는 글 왕비의 꽃밭
01 고도(Godot)를 기다리며 | 02 위례로 가는 길 | 03 백제의 근거지 요서 지역 | 04 구다라, 곰나루인가 스마트 빌딩인가

6장 끝없는 전쟁의 시작
들어가는 글 닮은 그대, 주몽과 김누루하치
01 쥬신류어와 까오리류어 | 02 쥬신 분열의 시작, 씨앗 싸움 | 03 고구려와 부여, 끝없는 전쟁의 시작 | 04 부여계 토착화의 진통

7장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들어가는 글 어디로 가는가 구름들이여
01 부여의 세 차례 남하 | 02 험난한 부여의 여정 | 03 압록강을 건너 한강으로

8장 근초고왕, 야마토 왕조를 열다
들어가는 글 진구 황후의 두 얼굴 192
01 진구 황후, 고구려와 신라를 정벌하다 | 02 야마토 왕조의 시조, 근초고왕

9장 부여의 나라, 일본
들어가는 글 부여와 곰 고을의 사람들
01 고마와 담로 | 02 부여의 나라, 일본: 범부여 연합국가의 성립

10장 한 줄기, 두 연꽃
들어가는 글 새롭게 열리는 일본의 역사
01 열도로, 열도로 | 02 무령왕과 닌도쿠 천황 | 03 오진 천황은 곤지왕? | 04 다시 안개 속으로

11장 의문의 고리, 곤지왕
들어가는 글 왕의 부인과 결혼한 곤지 왕자
01 곤지와 개로왕의 관계 | 02 열도로 간 곤지

12장 곤지왕이 유라쿠 천황인 까닭
들어가는 글 한눈으로 보는 백제사
01 곤지왕과 왜 5왕 | 02 왜 왕 무=유라쿠 천황=곤지왕

13장 개로왕을 위한 만사(輓詞)
들어가는 글 개로왕을 위하여
01 현 일본 천황가의 개조, 개로왕 | 02 게이타이 천황은 무령왕의 아우 | 03 베일에 싸인 천황가

14장 안동장군 신라제군사 왜국 왕
들어가는 글 대국 왜의 정체
01 안동대장군 왜 국왕/ 02 부여계 내부의 권력투쟁 | 03 부여의 대고구려전 군사전력 | 04 반도에서 열도로, 헤게모니의 이전

15장 우리의 이름, 왜(wa)
들어가는 글 광개토대왕비의 답답한 해석
01 왜, 한국인들의 이름 | 02 광개토대왕비의 왜

16장 왜의 뿌리를 찾아서
들어가는 글 한족(漢族)의 나라 일본?
01 왜의 뿌리를 찾아서 | 02 고대 사서에 나타난 왜의 실체 | 03 왜, 쥬신의 또 다른 이름

17장 야마토 다마시
들어가는 글 한국과 일본, 갈 수 없는 나라
01 기마민족국가와 범부여연합 | 02 일본의 시작, 야마토의 실체 438

18장 백제 성왕이 긴메이 천황
들어가는 글 “사실 우리 조상은 백제인입니다”
01 성왕, 두 얼굴의 대왕/ 02 성왕, 성명왕 긴메이 천황

19장 성왕과 가야(임나) 삼총사
들어가는 글 미소라 히바리의 꿈
01 임나 삼총사: 성왕, 소가씨, 긴메이 천황 | 02 모쿠마치의 후예, 천황 위에 군림하다

20장 천황가의 조상신, 성왕 이마키오오가미
들어가는 글 비다쓰 천황의 비밀
01 백제 성왕, 천황가의 조상신 | 02 부여계의 성지 히라노 신사 | 03 성명왕의 후예들

21장 미녀와 영웅
들어가는 글 아지매, 오세요
01 아스카 문화의 스이코 천황에서 사이메이 천황까지 | 02 백제 구원의 여신, 사이메이 천황|03 영웅의 등장, 덴지 천황

22장 덴지 천황과 덴무 천황
들어가는 글 진신의 쿠데타
01 백강 전투를 위해 태어난 덴지 천황 | 02 덴지와 난무, 난형난제 | 03 덴무 천황의 비밀

23장 덴무, 세상을 속이다
들어가는 글 “폐하, 논어(論語)라도”
01 천황의 탄생 | 02 우지노카미와 무쿤다 | 03 《일본서기》의 역사적 의미

글을 마치며


  • ?
    강신철 2010.07.28 08:04
    2007년11월 동해안에서 이병록 제독님의 초청으로 이루어진 제4회 독서여행 가셨던 분들 기억하십니까? 해군회관에서 열린 강연에서,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아 한국 고대사를 새로 쓰신 김운회 교수님의 열강을. "대쥬신을 찾아서 1,2권" 그날의 감동을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3년이 지난 지금 김운회 교수님을 다시 모시고 명강을 들고자 합니다. 그 분의 새로운 저서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는 아직도 일제의 식민지 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 역사학계에 일침을 가하는 명저입니다.

    "삼국지 바로 읽기"도 한 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김운회 교수님의 책은 마치 무협지를 읽듯 술술 익히고 문장 하나하나가 통쾌합니다. 어느 한 곳에 머무르지 말고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주욱 읽어야 제 맛이 나는 책들입니다.
  • ?
    연탄이정원 2010.07.28 08:04
    <2007년 11월, 제4회 독서여행>

    군함 타고 '쥬신'을 논하다…독서클럽의 '乘船'
    [현장취재]'대쥬신을 찾아서' 저자 김운회 교수 강연
    '해군 제1함대' 방문… 충주·진주·부산함 등 함상체험

    전승민입니다- 4번째 독서여행 후기 및 사진 2007-11-26 11:12
    전승민 ( enhanced ) | 조회: 1,256 댓글: 10 http://www.100books.kr/?no=6481

    [사진] 제 4 회 독서여행 (첫째날) 2007-11-26 12:04
    문경목 ( polydeuces ) | 조회: 1,281 댓글: 5 http://www.100books.kr/?no=6482

    [사진] 제 4 회 독서여행 (둘째날) 2007-11-26 13:07
    문경목 ( polydeuces ) | 조회: 1,319 댓글: 6 http://www.100books.kr/?no=6483

    생애 최고의 여행!! 2007-11-26 14:44
    김홍섭 ( hero8403 ) | 조회: 1,359 댓글: 5 http://www.100books.kr/?no=6486
  • ?
    이병록 2010.07.28 08:04
    어제 밤에 독파했습니다.
    대쥬신을 찾아서의 기초상식이 있으니 이해가 더욱 잘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중국역사에 대해서는 그럭저럭 접할 기회가 많이 있었으나
    이제는 일본역사에도 관심을 많이 가져야 하겠습니다.
  • ?
    강신철 2010.07.28 08:04
    김운회 교수님의 연구자료 및 방송프로그램 등은 http://www.ebiz114.net 에서 무료로 볼 수있습니다.
  • ?
    김정수 2010.07.28 08:04
    뿌리를 찾아서~^~
    먼저 긋은 날씨에도 먼길와 주진 김운회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 ?
    김수아 2010.07.28 08:04
    예전에 미야자끼 난고촌에 다녀온 적이 있었어요. 한글 간판, 사물놀이하는 일본 사람들,백제왕을 모시고 있는 신사, 백제관련 자료들이 전시된 박물관(한복 옷고름이 잘못 됐길래 몰래 바로 매어 놓고 왔죠.ㅋ).. 그때 보았던 모습들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아직 못읽은 뒷부분 얼른 다 읽어야겠어요~^^;; 비때문에 먼길오시기 힘드셨을텐데...저도 김운회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59 80 요가와 뇌 file 관리자 2005.10.06 4069 안의태 요가코리아사 안의태 2005-10-25
258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7 87 알기쉬운 요가 file 관리자 2006.01.24 4086 안지용 도서출판 그린 안지용 2006-02-14
256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5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2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54 113 자연과학 면역의 의미론 file 관리자 2007.02.28 4910 타다 토미오 한울 엄준호 2007-03-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3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2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52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67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51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2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50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49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48 264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4 file 유화현 2013.06.28 4540 알렉산더 즈본킨 양철북 역자 박병하 박사님 2013-07-09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47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46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78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245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3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4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43 332 자연과학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file 이근완 2016.06.02 978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동아시아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2016-06-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2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41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0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0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39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38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37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36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1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5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4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3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2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31 37 연금술사 file 관리자 2003.12.16 3785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유현숙 2004-01-07
230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4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229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11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28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4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27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6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25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4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23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22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0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21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20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3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