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10.06.30 01:01

프레시지옹

조회 수 8463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3
저자 르 코르뷔지에
출판사 동녘
발표자 김억중 교수
일자 2010-07-13
장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시간 저녁 7시

책소개



건축과 도시계획의 현재 상태에 관한 프레시지옹의 상세한 설명을 담은 책. 20세기의 새로운 건축과 도시계획에 관한 포괄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방법론을 담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있었던 건축과 도시계획에 대한 저자의 열 번의 강연 내용과 아메리카에 대한 프롤로그로 구성된 책이다.



저자소개



■ 지은이

르 코르뷔지에
본명은 샤를 에두아르 잔느레다. 1887년 스위스의 작은 도시 라쇼드퐁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공예학교를 나왔다. 1965년에 78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330여 개의 크고 작은 건축․도시 작품을 계획했으며, 이 가운데 100여 작품이 실현되었다. 실현된 작품 중 대표적인 것으로 사부아 저택, 마르세유의 위니테 다비타시옹, 노트르담 뒤 오 성당, 라투레트 수도원 등이 있다. 50여 권의 저서를 남겼으며, 그 가운데 대표작은 잡지 『에스프리 누보』에 실은 글을 모은 『건축을 향하여』, 『도시계획』, 『오늘날의 장식예술』과 『빛나는 도시』, 『아테네 헌장』, 『모듈러』 등이다. 미술과 조각 작품도 많이 남겼으며, 『타임』에 서 선정한 '20세기를 빛낸 100인' 가운데 유일한 건축가다.

■ 옮긴이

정진국
한양대학교에서 건축 공부를 시작했고, 프랑스에서 건축사 학위(파리-벨빌 건축대학)와 예술사학 박사 학위(프랑스 고등 사회과학원)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건축설계와 건축역사 및 예술이론을 강의한다. 한국건축가협회상을 수상하였으며, 지은책으로 『르 코르뷔지에가 선택한 최초의 색채들』이 있다.

이관석
한양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했다. 삼성종합건설에서 근무하다 파리로 가 파리-벨빌 건축대학과 파리 1대학(판테옹 소르본느)을 졸업했다. 프랑스 공인 건축가이자 예술사학 박사로서 현재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책으로 『건축을 향하여』, 『르 코르뷔지에 - 작품과 계획』 등이 있다.



목차



. 아메리카의 프롤로그
. 모든 아카데미즘으로부터 해방
. 기술은 시적 감흥의 기반이며 건축의 새 시대를 연다
. 모든 것이 건축, 모든 것이 도시계획
. 사람의 몸을 기준으로 한 주거 단위
. 가구의 모험
. 현대 주택 계획
. 사람은 하나의 세포이고, 세포가 모여 도시를 이룬다
. 주택 - 궁전
. 파리 '부아쟁' 계획
. '세계도시'와 즉흥적 고찰
. 브라질의 필연적 귀결



출판사 서평



◆건축과 도시계획에 관한 상세한 설명

『프레시지옹』은 근대 건축의 성립 기간으로 간주되는 1920년대에 르 코르뷔지에가 품은 건축적 사고의 근원을 보여 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 책은 근대 건축의 교과서로 인정받는 그의 다른 두 저서, 『 건축을 향하여』, 『도시계획』과 함께 건축가들이나 연구자들의 인용빈도가 높은 자료다. 『건축을 향하여』와 『도시계획』이 건축과 도시를 위한 이론적 전제이자 사고의 출발을 보여 준다면, 『프레시지옹』은 이 책이 발간되기 전에 구상되었거나 실현된 경험적 사실에 관한 포괄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방법론을 담고 있다.

사부아 저택을 설계한 무렵인 1929년에 르 코르뷔지에가 아르헨티나 예술동호회의 초청으로 남미 방문 기회를 갖는다. 그는 이 방문 기간에 열 번의 강연회를 통해서 자신의 생각, 경험, 신념을 유럽에서 멀리 떨어진 낯선 땅에 사는 사람들에게 알린다. 르 코르뷔지에 자신이 말한 것처럼 일종의 '전도 여행'이 된 셈이다. 전도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20세기에 '새롭게 태어난' 건축과 도시계획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었다. 『프레시지옹』에 실린 글은 이 강연회의 원고다.



◆건물로 시(詩)를 쓰는 건축가의 생각을 보여 주는 유려한 문장

르 코르뷔지에의 대표작인 노트르담 뒤 오 성당(사진 참고)을 보면 '콘크리트로 쓴 시(詩)'라는 평가가 헛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는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하면서도 사람들의 감수성을 자극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보였다. 건축에서 보인 그의 이러한 특성을 『프레시지옹』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대를 대표하는 야심 만만한 건축가의 사상이, 문학적 비유가 돋보이는 문장에 고스란히 살아 있다. 다음은 비행기를 타고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상공을 난 르 코르뷔지에가, 건축가가 새로운 제안을 떠올리는 방식과 남아메리카의 대자연을 연결해 설명한 부분이다.

아주 가파른 비탈의 법칙이 적용되고 모든 것이 평탄하게 된 다음에는 미앤더 이론을 따른다. 이론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침식의 결과로 나타나는 강의 굴곡이 창조적 사고, 즉 인간의 발명과 아주 유사한, 순환하는 발전의 현상이기 때문이다. 하늘에서 강굽이를 따라가면서 일상에서 부딪히는 어려움과 막다른 길, 복잡하게 얽힌 상황을 갑자기 풀어 주는 기적 같은 해법을 이해했다. 나는 이 현상을 미앤더 법칙이라 부른다. 상파울루와 리우에서 강연할 때, 허풍을 떤다고 청중이 비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자연에 바탕을 둔 도시계획과 건축의 개혁을 위한 제안을 소개하는 데 이 초자연적인 상징을 사용하였다.
- 아메리카의 프롤로그 중에서

강을 아이디어라고 생각해 봅시다. 아주 작은 결과, 정신의 결과가 발생합니다. 곧 거의 지각할 수 없을 만큼 지극히 작은 굽이가 생깁니다. 물이 왼쪽으로 흐르면서 둑을 파 들어갑니다. 그 반작용으로 강물은 거기서부터 오른쪽으로 돌아 흐릅니다. …… 왼쪽과 오른쪽으로 더 깊이 흘러가면서 강물은 맞물리고 움푹 패기도 하며 가로지르기도 합니다. 강폭은 언제나 더 넓어지고, 아이디어는 계속해서 평야에 부딪칩니다. 직선이 구불구불해졌습니다. …… 아이디어가 더 작게 나뉩니다. 해결책은 복잡해집니다. …… 기계는 작동하지만 느리고, 메커니즘은 미묘하고 다루기 어렵습니다. 목적지를 향해 간다는 목표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 사람은 하나의 세포이고, 세포가 모여 도시를 이룬다 중에서

* 미앤더 이론: 강이 구불구불 흐를 때 생겨나는 현상을 말한다. 소아시아의 옛 프리지아를 흐른 굴곡이 많은 강, 멘데레스에서 따온 용어다.



◆생동감 넘치는 스케치와 경어체 문장이 우리를 강연장으로 초대한다

강연장에서 청중의 이해를 돕고자 그린 수백 장의 그림과 그 속에 담긴 르 코르뷔지에의 필치에 생동감이 넘친다. 오래 전에 출판된 자료를 바탕으로 했기에 다소 헐고 투박하긴 하다. 그러나 경어체 문장과 어울려, 우리에게 마치 건축과 도시계획을 주제로 한 남아메리카의 강연장 한가운데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다. 조용히 그의 말에 귀기울여 보자.

다음에는 창문을 어디에 만들 건지 장소의 중요성을 고찰해 보십시오. 방의 벽을 통해 빛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연구해 보십시오. 사실은 벽을 통해 빛을 받아들이는 방법에서 중요한 건축적 놀이가 실행되었으며, 그 방법에 따라 건축적 감흥이 결정적으로 좌우됩니다. 이제 빛을 받아들이는 방법이 양식이나 장식의 문제가 아님을 알게 됩니다. 바람을 따라 밀?

  • ?
    연탄이정원 2010.06.30 01:01
    http://www.100books.kr/?no=14533
    http://blog.naver.com/minomi87/60107299934
    위 주소에 가시면 건축가 김억중님께서 설계하신 대전 아주미술관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2010.06.21~09.26일 까지,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展-이탈리아 벽화 아프레그라피" 전시중입니다.(관람료, 성인 12000원, 인터파크 예매시 최대3000원 할인)
    강연일이 화요일이니 혹여 근무가 자유로우신 분들은 미술관 관람 후 강연을 오시면 알찬 하루가 되실듯 합니다.
    전시작품도 작품이지만 건축물 자체만으로도 거대한 한점의 미술 작품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드실겁니다.
    한번 가시면 자꾸만 또 가고싶은 곳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사진하시는 분들도 종종 아주미술관에서 사진찍는 모습을 보았고,
    모델 분들도 이곳에서 사진을 많이 찍으시더군요.
    데이트 코스로도 아주 좋습니다. 시간은 넉넉히 3시간 정도 잡고 관람을 하시는 것이 좋겠지요?^^
    전통찻집(항여조)와 현대식 까페(뮤제)가 마주하고 있는 풍경도 멋스럽습니다.
    그곳에서 차 한잔 하십시요.

    서울에서 오시는 방법은,
    동서울에서 시외버스를 타시고 대전 북대전IC(대덕밸리 만남의 광장)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걸어서 3분
    예매시 반드시 "정부청사"라고 말을 하셔야 합니다.
    강남에서 타시면 대전 북대전IC(대덕밸리 만남의 광장)에서 하차가 불가능합니다.
    고속버스의 특성상 중간 정차가 불가능하고, 유성IC를 통해 들어오는 고속버스도 있기 때문입니다.

    관람 후, 강연장소인 ETRI(전자통신연구원)가시려면, 콜택시를 부르세요.^^ (택시비, 콜비 포함 약 5000원)
    장소의 특성상(만남의 광장) 택시가 다니는 곳이 아닙니다.

    백북스 창의성 디자인의 리더이시면서 건축가 김억중님의 강연,
    반가운 소식입니다.
    제가 바라는 건 바로 이런 겁니다.
    이번에도 시인이 오시면 가야하나 망설이던 참에 참으로 반가운 분의 강연입니다.
    제가 詩를 좋아합니다만 백북스에 지나치게 시인 강연 많은 듯하여...
    백북스에도 교수님, 철학자님, 강신철교수님, 김갑중원장님, 박성일원장님, 주명진 원장님,
    그외에 총무 이정원님, 총무 송윤호님을 비롯해서 전문가 못지 않게 발표및 강연을 잘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분들의 강의를 전부 들어 보는 것이 저의 소망입니다.
    물론 백북스에 오래 몸 담고 있던 분들은 모두 들으셨겠지만,
    저같은 사람을 위해 강연 듣는 기회가 있었으면 합니다.
    미래에 금융&경제학자의 강연도 기다려 봅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참석하겠습니다.
  • ?
    현영석 2010.06.30 01:01
    한 여름 밤을 위한 좋은 책, 좋은 안내자/발표자입니다. 좋은 집을 짓고자 하는 분들 특히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연탄이정원 2010.06.30 01:01
    현재 아주미술관에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展-이탈리아 벽화 아프레그라피" 전시중입니다.
    아프레그라피란,
    http://www.saywed.kr/bbs/board.php?board=frescoart2&config=5&command=body&no=5

    아주미술관 홈페이지 주소,
    <관람문의- 포토제닉>에 가시면 아주미술관과 주변 조경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asiamuseum.asia/exhibition/sub01.php?pageNum=110&contents=contents_201004
  • ?
    유승종 2010.06.30 01:01
    시간이 허락하는한 저도 꼭 가도록 하겠습니다.
  • ?
    이정원 2010.06.30 01:01
    르 코르뷔지에의 고향나라인 스위스에서 열흘을 보내고 막 돌아왔습니다.
    말로만 듣던 르 코르뷔지에를 제대로 만나고 싶네요.
    회원님들도 김억중 교수님의 강연을 놓치지 마세요. ^^
  • ?
    연탄이정원 2010.06.30 01:01
    "소통의 장"
    http://www.100books.kr/?no=11521
    위 영상속에 창디리더이신 김억중교수님, 백북스의 운영위원장이신 김갑중원장님, 박성일원장님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저도 위의 영상속에 들어가 강연장에 앉아있고 싶을 만큼 아름다운 소통의 모습입니다.

    <창의성 디자인>의 리더이신 김억중 교수님의 강의를 통해서
    백북스 정기모임과 하위모임간의 소통이 이루어지길 바래봅니다.
    백북스 하위모임의 총무님들과 창디회원님들이 많이 참석하셔서 진정한 백북스간의 '소통의 장'이 이루어지면 참 좋겠습니다.

  1.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Date2023.04.26 Category경영경제 By조수윤 Reply0 Views363 회차468 저자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출판사위즈덤하우스 발표자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일자2023-05-23 장소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저녁 7:15 file
    Read More
  2.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Date2012.09.16 By김형렬 Reply2 Views4760 회차246 저자김효준 출판사인피니티북스 발표자김효준 소장 일자2012-09-26 장소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3. 풀꽃 나태주 시선집

    Date2016.01.14 Category문학예술 By이근완 Reply0 Views1677 회차323 저자나태주 출판사지혜 발표자나태주 일자2016-01-26 장소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시간저녁 7시 15분 file
    Read More
  4. 사라진 손바닥

    Date2009.01.14 By박문호 Reply0 Views5111 회차158 저자나희덕 출판사문학과지성사 발표자나희덕 시인 일자2009-01-30 file
    Read More
  5. Paint it Rock

    Date2019.09.12 Category문학예술 By관리자 Reply0 Views321 회차405 저자남무성 출판사북폴리오 발표자김용석 일자2019-09-24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15 file
    Read More
  6.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Date2015.02.13 Category인문사회 By김홍섭 Reply2 Views1149 회차302 저자남재일 출판사천년의상상 발표자남재일 경북대 교수 일자2015-02-24 장소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화) 오후 7시 file
    Read More
  7. No Image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Date2003.06.21 By관리자 Reply0 Views4465 회차8 저자네그로폰테 출판사박영율 일자2002-09-28 file
    Read More
  8. 소립자를 찾아서

    Date2011.03.17 By박문호 Reply0 Views11288 회차210 저자네이만 출판사미래사 발표자박문호 박사 일자2011-03-22 장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9. No Image

    적극적 사고방식

    Date2003.06.27 By관리자 Reply1 Views4099 회차26 저자노먼빈센트필 출판사세종서적 발표자기영석 교수 일자2003-07-08 file
    Read More
  10. 교양 고전 독서

    Date2023.08.23 Category인문사회 By조수윤 Reply0 Views560 회차472 저자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출판사 발표자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일자2023-09-26 장소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저녁 7:15 file
    Read More
  11. 인생극장

    Date2019.03.13 Category인문사회 By관리자 Reply0 Views324 회차393 저자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출판사사계절 발표자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일자2019-03-26 장소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시간7시 15분 file
    Read More
  1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Date2011.09.16 By강신철 Reply1 Views7226 회차222 저자니시하라 미노루 출판사문학사상사 발표자박은아 플룻티스트 일자2011-09-27 장소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시간오후7시 file
    Read More
  13. 음악이란 무엇인가

    Date2014.08.14 By유화현 Reply0 Views4275 회차291 저자니콜라스 쿡 출판사동문선 발표자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일자2014-08-26 장소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4. 산소

    Date2010.06.17 By박문호 Reply0 Views7316 회차192 저자닉 네인 출판사파스칼 북스 발표자박문호 일자2010-06-22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15.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Date2016.08.11 Category자연과학 By이근완 Reply0 Views365 회차337 저자닉 레인, 김정은 역 출판사뿌리와이파리 발표자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일자2016-08-23 장소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16. 팹 (FAB)

    Date2007.04.11 By박문호 Reply0 Views6205 회차116 저자닐 거센펠드 출판사비즈앤비즈 발표자안윤호 일자2007-04-24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17.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Date2016.09.26 Category기타 By관리자 Reply1 Views322 회차338 저자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출판사황소자리 발표자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일자2016-09-27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18. 식물은 알고 있다

    Date2013.11.27 By유화현 Reply1 Views5858 회차274 저자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출판사다른 발표자류충민 박사(감수자) 일자2013-12-10 장소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9. 괴델의 증명

    Date2018.05.27 Category자연과학 By관리자 Reply0 Views336 회차378 저자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출판사승산 발표자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일자2018-06-12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0. No Image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Date2004.06.09 By관리자 Reply0 Views4203 회차48 저자더렐 허프 출판사청아출판사 발표자권세혁 일자2004-06-22 file
    Read More
  21. 마음의 기원

    Date2009.02.02 By박문호 Reply0 Views5427 회차159 저자데이비드 버스 출판사나노미디어 발표자주명진 원장 일자2009-02-10 file
    Read More
  22.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Date2022.02.08 Category자연과학 By조수윤 Reply0 Views218 회차441 저자데이비드 콰먼 출판사꿈꿀자유 발표자책밤지기 : 박대기 기자 일자2022-02-08 장소이도저도 시간오후 7:15 file
    Read More
  23. No Image

    의식혁명

    Date2004.11.10 By관리자 Reply0 Views3901 회차58 저자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출판사한문화 발표자강신철 일자2004-11-23 file
    Read More
  24. 논어

    Date2007.07.13 Category인문사회 By박문호 Reply0 Views4957 회차122 저자동양고전연구회 출판사지식산업사 발표자이숙희 일자2007-07-24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25.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Date2013.02.05 By관리자 Reply0 Views5310 회차254 저자또 하나의 문화 출판사또 하나의 문화 발표자김억중 교수 일자2013-02-12 장소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26. No Image

    대화의 법칙

    Date2003.09.30 By관리자 Reply0 Views3972 회차33 저자래리 킹 출판사청년정신 발표자김홍범 일자2003-11-05 file
    Read More
  27. No Image

    승려와 수수께끼

    Date2003.06.21 By관리자 Reply0 Views5329 회차2 저자랜디 코미사 출판사바다 일자2002-06-25 file
    Read More
  28. No Image

    변경

    Date2004.03.23 By관리자 Reply0 Views3514 회차43 저자렁청진 출판사더난출판 발표자강신철 일자2004-04-07 file
    Read More
  29. 블랙홀 전쟁

    Date2011.10.26 By강신철 Reply4 Views7282 회차225 저자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출판사사이언스 북스 발표자이종필 박사 일자2011-11-08 장소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시간오후7시 file
    Read More
  30. 이반 일리치의 죽음

    Date2016.11.25 Category문학예술 By이근완 Reply0 Views586 회차343 저자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출판사웅진씽크빅 발표자최나경 플룻티스트 일자2016-12-13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31. No Image

    최고경영자 예수

    Date2003.08.29 By관리자 Reply0 Views3793 회차30 저자로리 베스 존스 출판사한언 발표자송윤호 일자2003-09-19 file
    Read More
  32. [백북스시즌2 책밤4] 향모를 땋으며

    Date2020.12.23 Category자연과학 By조수윤 Reply1 Views278 회차417 저자로빈 월 키머러 출판사에이도스 발표자책밤지기 : 이정모(국립과천과학관장) 일자2021-01-12 장소이도저도 시간오후 7:15 file
    Read More
  33. No Image

    루오전

    Date2006.07.11 Category문학예술 By관리자 Reply1 Views4582 회차98 저자루오 출판사대전시립미술관 발표자이지호 일자2006-07-25 장소대전시립미술관 file
    Read More
  34. 믿음의 엔진

    Date2017.07.23 Category자연과학 By이근완 Reply1 Views274 회차357 저자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출판사에코의 서재 발표자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일자2017-07-25 장소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35. 생각의 탄생

    Date2007.10.15 Category인문사회 By박문호 Reply1 Views6282 회차128 저자루터번스타인 출판사에코의 서재 발표자박문호 일자2007-10-23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36. 이것이 한국화다

    Date2007.07.02 Category문학예술 By박문호 Reply0 Views4645 회차121 저자류병학 출판사아트북스 발표자이종상 일자2007-07-10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37. No Image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Date2003.06.21 By관리자 Reply0 Views3713 회차18 저자류시화 출판사김영사 일자2003-03-11 file
    Read More
  38. 위트로 읽는 위트

    Date2008.07.25 Category기타 By박문호 Reply0 Views5507 회차147 저자류종영 출판사유로서적 발표자류종영 교수 일자2008-08-12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39. No Image

    타인최면

    Date2006.06.20 Category기타 By관리자 Reply0 Views5255 회차96 저자류한평 출판사갑진출판사 발표자류한평 일자2006-06-27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40. 프레시지옹

    Date2010.06.30 By박문호 Reply6 Views8463 회차193 저자르 코르뷔지에 출판사동녘 발표자김억중 교수 일자2010-07-13 장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