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731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0
저자 박방주
출판사 궁리
발표자 조장희
일자 2010-05-25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오후 7시

http://www.yes24.com/24/goods/3081863

책소개


20여 년 동안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담당 기자로 활동하며 취재 현장을 지켜온 과학전문기자가 조장희 박사가 그동안 구술하여 모일간지에 연재한 회고록을 다시 정리하여 펴낸 책이다. 조장희 박사. 아직 우리에게 낯선 이름이다. 이 낯선 이름이 유력한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로 거론된다는 사실이 놀랍다. 하지만 그의 업적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오늘날의 인체영상기기 삼총사로 꼽히는 CT, MRI, PET를 있게 한 핵심 기술을 개발한 것이 바로 조장희 박사이다. 

이 책은 해외에서 크나큰 성취를 이루고 국내로 돌아와 뇌과학에 전념하고 있는 조장회 박사가 걸어온 길을 조명하고 있다. 그동안의 업적 뿐만이 아니라 연구에서 부딪히는 고난뿐 아니라 과학도로서 부딪히는 생의 고난까지 밝혀내고 있어 이공계의 위기라는 말이 횡행하는 우리 사회에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공 학문을 필생의 업으로 삼고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많지 않으며, 그렇게 살아가는 젊은 학자들에게도 연구에만 매진할 수 있게 하는 학문적 토대와 환경이 열악한 환경이지만, 그럼에도 묵묵히 과학의 길을 걸으려는 이들에게 좋은 멘토가 될 것이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관심작가알림 신청저 : 박방주


1959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경희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전자공학과 석사학위, 전파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연구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1988년 중앙일보에 입사해 20년 동안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담당 기자로 활동하며 취재 현장을 지켜오고 있다. 그동안 만나온 취재원 한 사람 한 사람이 그에게는 스승이었다. 과학계를 오래 담당하다 보니 오랜 소망이었던 과학전문기자라는 칭호도 얻었다. 지은 책으로는 『세상을 뒤집는 미래과학 이야기』, 『2020 미래 한국(공저)』이 있다.



목차


저자의 말 
프롤로그 _ 청소년들이여, 영웅심과 모험심, 자신감을 가져라 

1장 대한민국 일등 과학자, 세계를 놀라게 하다 
인체의료 영상과학의 르네상스를 이끌며 
남이 가지 않은 길 위에 새긴 ‘성공’ 
경제적 보상이라는 선물 

2장 원하는 단 한 가지, 자신만의 꿈을 찾아라
공부할 기회마저 소중했던 유년 시절 
소년의 마음을 사로잡은 광석 라디오 
작은 ‘쾌거’에서 비롯된 큰 ‘자신감’ 
취미는 나의 힘, 인생의 활력소를 찾아서 

3장 배움에 대한 끝없는 열정으로 노력하라 
행운은 준비한 자에게만 찾아온다 
대충대충은 가라, 근면성실함도 습관이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큰 용기 
자투리 시간이 이루어낸 기적 

4장 스승과 동지 그리고 경쟁자, 사람에게 배운다 
사람 사이의 신뢰를 배우다 : 든든한 후원자 게르홀름 교수 
25만 달러짜리 논문 : 천재 과학자 로버트 체이서 박사 
영원한 큰 스승, 하늘의 별이 되다 : 오현위 교수 
오늘의 동지가 내일의 적으로 : 휴스 교수 
위기일발의 순간에 빛난 동료애 : 만빌 싱 박사 
두 사람의 진객 방문, 선택의 갈림길에 놓이다 
매우 예
... 펼처보기







출판사 리뷰



스포츠, 정치, 예술 등 각 분야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우리는 금세 떠올릴 수 있다. 그런데 과학 부분은 어떨까? 각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며 주목을 받는 과학자들이 많은 과학 강국이기는 하지만 아직 세계적인 한국의 과학자로 꼽을 만한 인물은 언뜻 떠오르지 않는다.
‘조장희’라는 이름에 낯설 한국인들이 많을 것이다. 조장희 박사는 한국보다 외국에서 유명한 인물이고 대부분의 연구기간을 해외에서 보냈으며, 일흔의 나이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세계적인 석학이다. 얼마 전 그는 “지식 창조의 힘, 뇌”라는 주제로 개최된 ‘월드사이언스포럼 2008 서울’에 세계 유수의 뇌과학 분야의 석학들과 함께하며, 기조강연을 맡은 바 있다.
우리는 ‘조장희’라는 이름보다 그의 업적에는 더 익숙하다. 그는 현대 의학계에 일대 혁신을 일으킨 인물로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장치)를 최초로 개발하고, CT(컴퓨터 단층촬영장치)와 MRI(자기공명단층촬영장치)의 핵심 기술을 개발해 그 보급을 이끈 과학자이다. 그가 아니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병원에서 접하게 되는 각종 영상장치들의 도움을 받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제인 구달 박사가 침팬지를 통해 생명 사랑을 전했다면, 조장희 박사는 현대 인체영상기기의 삼총사인 CT, MRI, RET를 통해 인간 생명에 기여했다. 그가 개발한 이들 기기는 지금 전 세계에서 수많은 생명을 살리고 있다. 
그런 그가 오랜 시간의 해외 체류를 접고 일흔이 가까운 나이에 한국으로 다시 돌아온 이유는 무엇일까? 이제는 편안한 노후를 보내며 그동안의 성과를 향유하기 위해서일까? 아니다. 놀랍게도 그는 한국에서 생애 최고의 연구를 다시 시작하려 돌아왔다. 이 노과학자가 다시 꿈꾸는 과학의 영역은 ‘뇌’이다. 첨단 과학이 아직도 금단의 영역으로 남겨놓은 뇌에 그가 도전장을 내놓고 있다. 그는 그동안의 의료영상기기 개발의 노하우를 모두 쏟아 부어 뇌신경의 활동을 선명하게 잡아내는 영상기기의 개발에 새롭게 도전하고 있다.
현재 그는 가천의과대에서 설립한 뇌과학연구소의 수장이 되어 첨단 의학의 새로운 영역을 탐구하고 있다. 세계는 그의 연구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그가 이루어낼 진일보한 성과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할 인물로 거론될 정도로 그의 행보가 기대되고 있다.


  • ?
    연탄이정원 2010.05.14 22:11
    지난 금요일 주문했는데 오늘에야 도착을 하여서 애가타던 책,
    담주 화요일 강의 가려면 부지런히 읽어야 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01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200 3 세계가 놀란 히딩크의 힘 file 관리자 2003.06.21 4512 최영균외 중앙M&B 2002-07-09
199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2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98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76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7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96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95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8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4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292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3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92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91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8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90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89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188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8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7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186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5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184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83 271 수학 읽는 CEO file 유화현 2013.10.10 4855 박병하 21세기북스 박병하 박사 2013-10-22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2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2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1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3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80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1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9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29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178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6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77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79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6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57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75 338 기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1 file 관리자 2016.09.26 322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황소자리 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2016-09-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4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73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6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172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171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1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70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169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168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7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6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165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95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164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40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163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162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