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821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83
저자 안인희
출판사 민음사
발표자 안인희 박사
일자 2010-02-09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오후 7시

http://www.yes24.com/24/goods/384239?scode=029&srank=16

이 책은 게르만 신화-바그너-히틀러를 통해 신화와 예술과 현실의 관계를 흥미롭게 살피고 있는 2003년 ‘올해의 논픽션 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역작이다. 게르만 신화의 호소력과 보편성, 그 신화적 요소를 장엄하고 비극적으로 그려냈던 바그너, 그리고 바그너가 구현했던 그 영웅적이고 비극적인 무대를 정치적으로 재현하여 대중을 선동하고 휘어잡았던 히틀러의 정치력. 이 셋의 관계를 일관성있는 잣대로 분석하고 있다. 정말 '게르만의 신화가 바그너의 손에서는 예술이 되고, 히틀러의 손에서는 현실이 되어가는 과정'이 흥미로우며, 독일 현대 문화사의 맥락을 넘어 신화와 예술과 현실의 보편적 지평에서도 의미있는 작업이 되고 있다.

한편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폭은 매우 넓다. 시공간을 종횡으로 가로지르며 신화를 다루고 있는가 하면 어느새 정신분석학을 다루고 있고 음악을 다루고 있는가 하면 또 문학과 철학을 넘나든다. 또한 정치와 음악, 종교가 뒤섞이기도 한다. 그러나 자칫 번잡스럽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불식시킬 만큼, 저자는 매우 일관된 자세로 주제를 향해 나아간다.

게르만 신화와 바그너, 히틀러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그가 풀어나가는 유럽의 역사 이야기는 전례 없이 끔찍했던 비극인 제2차 세계 대전이, 신화와 예술이 만들어내는 환상의 세계가 현실의 세계를 침범하는 주객전도의 상황에서 잉태되었음으로 보여준다.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가 사회심리학의 관점에서 히틀러와 파시즘의 등장을 분석했다면, 이 책은 미학적 , 문화사적 관점에서 해석을 가하고 있다. 두 책을 함께 읽는다면 더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안인희


그는 신화와 예술과 현실의 관계를 흥미롭게 살핀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로 2003년 ‘올해의 논픽션 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독일어권 번역가이자 인문-예술 분야에서 꾸준한 연구로 주목받아온 인문학자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를 수료했으며, 독일 밤베르크 대학에서 공부하였다.

저서로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 2』(공저)가 있으며, 『히틀러 평전』, 『중세로의 초대』,『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한독문학번역상 수상),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한국번역가협회 번역 대상 수상), 『그림전설집』 등 많은 책을 번역했다.



목차


유럽의 상처: 상처 입은 독일

Ⅰ. 게르만 신화와 영웅 전설

1. 보물 이야기: 노력하여 얻기, 지키기, 뺏기
성배: 종교적 보물
니벨룽겐의 보물

2. 기사 이야기
기사
원탁 기사단과 성배 기사단

3. 사랑 이야기: 얻기, 지키기, 뺏기
사랑: 높은 사랑과 낮은 사랑
신부/신랑 얻기와 뺏기
수수께끼와 질문 금지:
훔치기: 의 간통 이야기

4. 가수들
중세 도이치 문학의 주요 작가들
기사 가수와 전설이 된 가수 탄호이저
장인 가수

5. 북유럽의 신화:
스칸디나비아 신화와
우주(질서)와 혼돈
대표적인 신들
지구르트(지크프리트)와 용
신들의 세계의 종말(라그나뢰크)
북유럽 신화의 종말

6.
지크프리트의 죽음
부르군트의 멸망

Ⅱ. 신화를 다루기 위하여

1. 신화와 원형
신화, 설화, 동화
무의식
집단 무의식(원형)
원형과 신화
그림자

2. 이야기의 구조
이야기의 구조
영웅의 특징: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Ⅲ. 바그너의 세계: 신화를 문학과 음악으로

1. 낭만주의 문학
역사적 배경
낭만주의의 시작
도이치 낭만파: 뿌리 찾기
도이치 낭만파: 예술 시대
청년 도이치파의 활동: 현실로 돌아오기


  • ?
    이정원 2010.01.27 02:55
    제가 좋아하는 책입니다.^^
    저자 강연을 듣게되다니 기대되네요.

    저자께서 독일 밤베르크 대학에서 공부하셨다니 더욱 반갑습니다.
    밤베르크는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도시여서 여행한 적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도시인데다가 밤베르크에서 마셨던 맥주맛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바베큐 향이 나는 맥주였지요.
    외국에서 위스키나 와인을 많이들 사오시지만 맥주를 사오시는 분은 거의 없을텐데요.
    저는 그 맥주를 2병 사왔더랬습니다. ^^
  • profile
    김홍섭 2010.01.27 02:55
    우와!! 이번엔 꼭 가야겠어요^^ㅎ
  • ?
    연탄이정원 2010.01.27 02:55
    저자의 책을 읽지 않고 강의에 참석하는건 강사에 대한 예의가 아닌듯하여 급하게 공수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어제 아침 9시 부터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를 공수하기 위해 대전 시내 서점들을 몇 곳이나 전화하고 가보고 했던지...
    충남도청 옆 계룡서점까지 가서 어렵게 공수해온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강의에 참석하지 못하는 지인의 사인부탁으로 한 권 더 구하려했으나 단 한권밖에 없었다는...
    어제, 오늘 손에서 놓지 않고 부지런히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꽤나 두껍군요. 쩝
    지인들이 입아프게 칭찬하던 안인희 강의 기대됩니다.

    전에 강의를 들은 지인의 말에 의하면 책 읽지 않으신 분들도 그냥 오셔도 된다고 하더군요.
    5장으로된 요약 프린트물을 나누어준다고 하더라구요.
  • ?
    이정원 2010.01.27 02:55
    연탄이정원님, 아이디가 너무.. 재밌습니다. ㅎㅎ
    왠지 이 모임에서 처음 만나뵙게 될 것 같네요.^^
  • ?
    연탄이정원 2010.01.27 02:55
    연탄이 글케 웃긴가봐요^^
    총무 이정원님께서 리틀을 추천해 주셨으나 제가 리틀인지 아님 총무 이정원님께서 리틀인지 알 길이 없어서리~
    제가 좋아하는 안도현님의 연탄으로~^^
    총무 이정원님~ 내일 뵙겠습니다.
    그런데 강의실 입구에서 입장할때 강의료 만원 내는 건가요?
    총무 이정원님께서 직접 받으시나요?
    저와 이름이 같은 분이시라 어떤 분인지 내심 궁금^^하면서도 내심 걱정되기도~
    혹여 강의 다녀온 후 후기에 같은 이름 전혀 다른 느낌의 두 사람... 이렇게 후기가 올라와 비교 될까봐요. ㅋ
    그리고 한달에 2번 2권의 책에 대한 강의 하는거 맞죠? 강의 갈대마다 만원씩 내고요?
    그런데 이번달에는 강의가 한 번 뿐이던데요?

    그런데 이곳에도 책 구매하기가 있었네요.
    전 항상 교보문고를 이용했었는데~ 오전에 주문하면 다음날 오후에 도착해서 빠르다고 생각했는데
    이곳에서는 11시 이전에 주문하면 당일 도착이라니~ 이제부터 이곳을 이용해야겠어요.
    미리 알았더라면 그 고생을 하지 않았을 것을~
    암튼 아는게 힘이죠^^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0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99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98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97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1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96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3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5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94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3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92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1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90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6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89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5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88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6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7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86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3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5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4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2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3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2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1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1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0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3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79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78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59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77 42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9] 내 이름은 빨강 1~2권 file 조수윤 2021.03.11 314 오르한 파묵 민음사 책밤지기 : 장은수 2021-03-23 이도저도 오후 7:15
76 42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1]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file 조수윤 2021.04.14 222 구정은 후마니타스 책밤지기 : 정혜승 2021-04-27 이도저도 오후 7:15
75 42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2] 대화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5.04 284 시어도어 젤딘 어크로스 책밤지기 : 윤성원(프로젝트 썸원) 2021-05-11 이도저도 오후 7:15
74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1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73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72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8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71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2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70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56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69 433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0] 모스크바의 신사 1 file 조수윤 2021.10.05 297 에이모 토울스 현대문학 책밤지기 : 최진영(과학과 사람들 대표) 2021-10-12 이도저도 오후 7:15
68 43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1] 슬픈 불멸주의자 file 조수윤 2021.10.18 253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흐름출판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2021-10-26 이도저도 오후 7:15
67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7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66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299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65 439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6]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file 조수윤 2022.01.03 276 오후 동아시아 책밤지기 : 이강환 2022-01-11 이도저도 오후 7:15
64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74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63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35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62 44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1] 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file 조수윤 2022.03.14 315 조진주 아웃사이트 책밤지기 : 엄윤미(도서문화재단 씨앗 / 번뇌하는 언니들) 2022-03-22 이도저도 오후 7:15
61 44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2]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file 조수윤 2022.03.29 361 하미나 동아시아 책밤지기 : 정인경 작가 2022-04-12 이도저도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