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9146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79
저자 이덕일
출판사 역사의 아침
발표자 이덕일
일자 2009-12-0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시간 오후7시

http://www.yes24.com/24/goods/3515348

그들은 왜 독립운동사를 말살하려 했는가?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은 우리 시대 대표적 역사학자 이덕일이 한국 주류 역사학계의 근본적이고도 구조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한국사 인식체계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비판을 통해 참된 우리 역사와 올바른 역사관을 제시하고자 한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중국 고대 한나라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세웠다는 식민통치기구 한사군이 과연 한반도 내에 있었는지 살펴보았고, 서기 3~4세기까지의『삼국사기』초기기록이 김부식이 조작해낸 가짜라는 역사학계의 정설이 옳은가를 검증한다. 또한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을 조작해내고, 효종의 북벌에 시종일관 발목을 잡은 우암 송시열이 북벌의 화신인 것처럼 서술하고, 실학의 이용후생학파, 곧 중상학파를 노론이 주도한 것처럼 서술하고, 세도정치를 정조의 책임으로 돌린 노론사관의 실체를 밝혀냈다. 마지막으로는 일제강점기 때 과연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은 존재하지 않았는지, 존재했다면 왜 말살되었는지 조목조목 짚어낸 후 바로잡았다.

역사는 결코 사실 그대로만을 말하지 않는다. 무엇을 전해주고자 하느냐에 따라 재구성되는 것이 역사이다. 일제강점기를 통해 우리는 이러한 역사왜곡을 똑똑히 보아 왔다. 이 책은 이처럼 횡횡해오던 의도적인 역사왜곡에 제동을 걸면서 시대와 정신의 맥락 가운데 올바른 역사적 가치를 되찾고자 한다. 잘못 알려진 역사와 그릇된 역사관을 바꾸는 작업은 정체성을 바르게 확립하는데 기초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이덕일



1961년 충남 아산 출생. 숭실대 사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고 「동북항일군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7년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를 필두로 한국사의 쟁점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대중역사서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우리 역사의 온갖 미스터리를 객관적 사료를 토대로 선명하게 풀어낸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1~3』『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조선 왕 독살사건』 등의 문제작을 펴내면서 우리시대의 대표적 역사저술가로 자리매김했다.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이덕일의 여인열전』 등 생존 당시 주목 받지 못했던 불운한 천재들이나 역사 속에 안타깝게 묻혀버린 인물을 복원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이덕일은 객관적 사료에 근거하여 역사의 미스터리와 의문에 대한 문제제기로 새로운 형태의 역사서를 집필해왔다.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논쟁적인 주제로 새로운 역사해석의 선두에 서있다.

그는 최근 정치사 위주의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통해 제대로 주목 받지 못한 그 시대의 역사적 사건들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풍부하고 정확한 사
...
펼처보기



송시열에게 대학자이자 대정치가라고 호칭해 야 마땅하다. 여기에 `대(大)'라는 접두사를 붙이는 이유는 그의 학문이 그만큼 고 명하고 그의 정치가 그만큼 고결했다는 뜻은 아니다. `대'라는 접두사를 붙일 만큼 학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는 뜻이다.




목차

저자의 글

1부 한사군은 한반도 내에 존재했는가?
1. 고조선과 한나라 간의 전쟁(다시 고조선 문제/국민세금으로 살아 있는 식민사관/한나라는 왜 고조선을 침략했을까?)
2. 낙랑군은 평양에 있었는가?(낙랑군 유적으로 조작된 고구려 유적/식민사학 청산 못한 대한민국의 비극/한사군은 민족사의 축복이었나?)
3. 한사군은 어디에 있었는가?(한사군의 위치/낙랑군의 명칭과 위치/위나라 관구검의 공격로와 퇴각로/낙랑군 수성현 갈석산/갈석산을 찾아서/창려현은 수성현인가?/고조선의 수도 험독성은 어디 있었는가?/장성의 끝)
4. 대방군은 황해도에 있었는가?(현도군의 위치/대방군은 어디인가?/대방군과 진번군/요동태수가 된 공손도)
5. 유물과 유적으로 살펴본 한사군(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중국계 유물/고구려로 온 중국인들/중국계 유적과 유물에 대한 북한 학계의 견해/북한에서 출토된 봉니/아직도 일제 연구만 인용하는 주류 사학계/임둔태수장 봉니가 출토된 요녕성 금서시)

2부『삼국사기』 초기기록은 조작되었는가?
6.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교과서에서 빠진 한사군/『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과『국사 교과서』/고구려의
...


  • ?
    이병록 2009.11.25 08:31
    참가하고 싶은데 발령때문에 아쉽게 되었습니다.
    역사를 모르는 사람은 자기의 과거를 모르는 기억상실증이나 치매에 걸린
    사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유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 ?
    손혜민 2009.11.25 08:31
    지금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을 읽고 있는데,,,
    평일이고 대전까지 참석은 못하지만 정말 기대됩니다.
    다녀오신 분들의 후기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꼭 좀~~~^^
  • ?
    이상욱 2009.11.25 08:31
    제게 피가되고 살이될만한 귀한 시간,

    참여하고 싶습니다.

    휴가를 쓸 수 있게된다면,

    당연히 가겠습니다!^^"
  • ?
    김진형 2009.11.25 08:31
    평소에도 교수님의 책을 자주 읽는 독자로서, 2시간 30분동안 함께 하면서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습니다.
    다음에 다시 한번 백북스에 모셔서 강의를 듣고 싶네요.
  • ?
    강영순 2009.11.25 08:31
    참가하고싶었는데, 마침 서울에서 출장온 팀원 중 한명과 사전 약속까지 해놓고,
    일과 일사이를 오락가락하다가 놓쳤습니다.

    비록 시공을 함께하지 못했지만 우리 수요독서회 식구들한테는 웹으로서나마 소개해야겠습니다.

    유성도서관 수요독서회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81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7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0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5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9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1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8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8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176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8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75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7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4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3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6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172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1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1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0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7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9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5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8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7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1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6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1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5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6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4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2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3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8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2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2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1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4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0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20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2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158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91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157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7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56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4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5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7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4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8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153 98 문학예술 루오전 1 file 관리자 2006.07.11 4582 루오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2006-07-25 대전시립미술관
152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151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50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7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149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9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148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5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147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3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146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5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145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8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4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6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3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2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9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