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9.10.23 07:49

세계종교사상사

조회 수 67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76
저자 미르치아 엘리아데
출판사 이학사
발표자 이병록 제독
일자 2009-10-27
장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1789534

책소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종교학자인 미르치아 엘리아데가 쓴 필생의 역작으로 위대한 학문적 업적으로 평가받는 대저작이다. 이 책은 인류의 종교경험 전체를, 종교현상의 본질인 성스러움과 성스러움의 드러남을, 인간의 종교 전통의 창조성을 연대기적으로 분석하고 일관된 관점과 통찰력으로 종합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우리 자신의 정신의 근원을 알려주고, 인간 정신의 가능성을 더욱 넓게 열어가게 하는 “20세기의 인류의 지적 유산”으로 자리 매김되었다.



저자 소개


저자 : 미르치아 엘리아데Mircea Eliade(1907~1986)


1907년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나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이탈리아 철학 연구로 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후 인도 캘커타대학에서 3년간 산스크리트와 인도 철학을 공부하였으며, 1933년 부쿠레슈티대학으로 돌아와 요가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부쿠레슈티대학의 교수를 지냈다. 그후 1945년에 파리 소르본대학의 종교학 객원 교수가 되었고, 1956년에 시카고대학의 교수로 부임하여 그곳에서 30년 이상을 가르쳤다.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종교학자인 이 거인은 그의 필생의 대작이자 위대한 학문적 업적으로 꼽히는 『세계종교사상사』를 3권까지 집필한 후인 1986년 4월 22일에 시카고에서 영면하였다.
주요 저서로 『세계종교사상사』(전3권), 『영원회귀의 신화』, 『종교형태론』, 『성과 속』, 『이미지와 상징』, 『요가』, 『샤마니즘』, 『대장장이와 연금술사』, 『종교의 의미』, 『벵갈의 밤』 등이 있다.


역자 : 이용주


서울대에서 종교학을 공부하고, 프랑스고등연구원 종교학 분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서울대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를 지냈고, 일본 ICU 대학에서 1년간 강의하였으며, 현재 서울대와 가톨릭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세계 종교 입문』(공저), 『종교 다시 읽기』 (공저), 『종교 읽기의 자유』 (공저) 등이, 옮긴 책으로 『사랑의 중국 문명사』가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시간의 처음에……구석기인들의 주술-종교적 행위
1. 방향 잡기, 도구를 만드는 도구, 불 "길들이기"
2. 선사 자료의 "불투명성"
3. 매장의 상징적 의미
4. 뼈의 퇴적물과 연관된 논쟁
5. 암벽화: 이미지인가, 상징인가?
6. 여성의 존재
7. 구석기 수렵인들의 의례, 사상 그리고 상상력

제2장 가장 길었던 혁명: 농경의 발전-중석기와 신석기시대
8. 잃어버린 낙원
9. 노동, 기술 그리고 상상의 세계
10. 구석기 수렵민들의 유산
11. 식용식물의 지배: 기원신화
12. 여성과 식물, 성스러운 공간과 세계의 주기적 생산
13. 근동 지역의 신석기시대의 종교
14. 신석기시대의 정신적 구조물
15. 야금술의 종교적 맥략: 철기시대의 신화

제3장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16.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된다……"
17. 신 앞에 선 인간
18. 최초의 홍수신화
19. 지하 세계로 내려감: 아난나와 두무지
20. 수메르와 아카드의 종합
21. 세계의 창조
22. 메소포타미아 왕의 신성성
23. 불사를 추구했던 길가메시
24. 운명과 신들

제4장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관념과 정치적 위기
25. 잊혀지지 않을 기적: "최초
...펼처보기

출판사 리뷰



성스러움의 모든 현현은 종교적이다
한적한 산길 한쪽에 오롯이 앉아 있는 돌 더미, 마을 어귀를 지키는 장승의 우락부락한 얼굴, 신성한 불을 밝히고 그 앞에서 제의를 올리는 근엄한 사제의 몸짓에는 모두 성스러움이 내재해 있다.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과 바람이 투영되는 순간, 돌멩이, 목상木像, 불이라는 단순한 대상물이 신성성을 가진 존재로 변화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사냥에서의 풍요를 기원하는 구석기시대의 동굴벽화에서도, 인도의 형이상학적이고 우주적인 철학 체계에서도, 세계의 종말에 대한 환영vision 속에서 들뜬 선언을 하는 예언자들에게서도 성스러움에 대한 사색과 경험과 인식을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 존재로서 살아간다고 하는 것은 그 자체로 종교적인 행위이다.
『세계종교사상사』는 종교가 저 높은 하늘의 전지적인 존재와 지상 위의 보잘것없는 인간과의 추상적인 관계에 관한 것이나 고도의 신학적 이론과 정교한 형식 속에 갇혀 있는 낡은 도그마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의 구석구석에서 살아 숨쉬는 유기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종교, 종교경험, 종교사상이 한정된 언어와 이미지로 정의 내릴 수 없는, 장대한 인간 정신의 결정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에는 구석기시대에서부터 종교개혁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서유럽의 원시 신앙에서부터 티베트의 불교에 이르기까지 시공을 초월하는 인류의 종교경험 전체가 녹아 있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모든 의례, 모든 신화, 모든 신앙, 혹은 모든 신의 도상에는 성스러움에 대한 인간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고, 수십만 년에 걸친 인류의 삶과 종교경험이 녹아들어 있는 종교사상사는 마치 대양과도 같다. 이 책은 그 드넓은 대양을 항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나침반이다. 수많은 이론과 주의와 의견으로 우리를 미혹시키는 사이렌의 달콤한 목소리에 대항하여 우리가 명철한 지성으로 인류의 삶의 원천을 탐구하게 도와주는 책이다.

현대인에게 새로운 삶의 비전을 제시하는 인간 정신의 역사
엘리아데는 평생에 걸친 종교학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새로운 휴머니즘을 주장한다. 그는 종교학의 목표를 "올바른 방법으로 신화나 신화적 사고, 상징이나 시원적 이미지, 특히 동양 문화 혹은 원시 문화 속에서 발견된 종교적 창조성을 분석하는 것만이 서양의 정신을 열어주고 새로운 휴머니즘을 창조할 수 있는 유일한 길
... 펼처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5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20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5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6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8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7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2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116 121 문학예술 이것이 한국화다 file 박문호 2007.07.02 4645 류병학 아트북스 이종상 2007-07-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5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4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13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6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2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1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1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10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9 45 이브의 일곱 딸들 file 관리자 2004.04.21 3871 브라이언 싸이키스 따님 정완식 교수 2004-05-12
108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07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06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5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16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4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79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3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3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2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01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2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100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99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8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4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97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96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9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4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94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79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3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1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92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4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91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90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0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8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2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88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7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87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86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85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2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84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8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2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07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