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9.10.01 23:29

나는 문학이다

조회 수 74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75
저자 장석주
출판사 나무이야기
발표자 저자 장석주
일자 2009-10-13
장소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http://www.yes24.com/24/goods/3512136

책소개


그 어떤 교양서보다 감동적인 최고의 교양서
이제 당당히 문학을 얘기할 수 있다.


도발적인 서체가 인상적인 『나는 문학이다』는 그 서체만큼이나 제목도 무척 당돌하다. 111명 작가의 생애와 작품을 연대기적으로 다룬 이 책은 한국현대문학 100년에 바치는 장석주의 뜨거운 오마주이자 애절한 절창이다. 여기 기록한 111명의 인물은 한국문학의 빛나는 성좌들로 어쩌면 이 자체로 ‘문학’이고 ‘교양’이다. 청소년들에게는 훌륭한 논술 교재로 일반인에게는 최고의 인문교양서로 자리매김할 이 책은 더는 모자람 없는 ‘현대문학사’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근대문학의 초기에 푯대처럼 우뚝 서 있는「무정」은 스타일의 미숙과 소통에 대한 성찰이 떫고 둔탁한 건 불가피하지만 그럼에도 캄캄한 먼동 속에서 돌이킬 수 없이 다가오는 새 날빛의 언어를 보여주고, 근대적 주체의 욕망과 계몽에의 의지를 잘 새겨 넣었다.”라고 현대문학의 흠 많은 아버지 춘원 이광수에게 헌사를 바치며 이 책을 시작한다. 그리고 소월의「진달래꽃」김유정의「봄봄」「동백꽃」이상의「날개」「오감도」등의 작품과 김현, 김병익, 김윤식, 김우창 같은 비평가의 업적을 기리고 김훈, 윤대녕, 신경숙, 공지영 같은 이 시대의 작가에 이르기까지 현대문학사를 빛낸 작가 111명의 업적에 경의를 표한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 작가블로그 저 : 장석주


스무살에 시인으로 등단하여 서른 해쯤 시인, 소설가, 문학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다. 때로는 출판기획자, 방송진행자, 대학교수, 북 칼럼니스트로도 활약했다. 그는 남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읽는 속도가 빠르지 않은데 읽은 책 목록이 긴 것은 책 읽는 일에 꾸준하고 부지런한 까닭이고, 아울러 앎과 슬기를 향한 욕심이 큰 까닭이라고 한다. 서른 해를 쉬지 않고 읽고 쓰며 걸어온 사람이다.

노자·장자·주역과 작은 것들에 대한 심오한 통찰이 담긴 책들을 즐겨 찾아 읽고, 제주도·대숲·바람·여름·도서관·자전거·고전음악·하이쿠·참선·홍차를 좋아하며, 가끔 하늘의 별자리를 보고 점을 친다고 한다.

그동안 조선일보·출판저널·북새통 등에서 ‘이달의 책’ 선정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월간 「신동아」에 ‘장석주의 책하고 놀자’라는 제목으로 3년 동안 북리뷰를 담당했고, 주간 「뉴스메이커」에 ‘장석주의 독서일기’를 2년간 연재했다. 지금은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국악방송에서 ‘행복한 문학’의 진행자로 활동하면서, 경기도 안성 금광호수 끝자락에 ‘수졸재’라는 집을 두고 서울의 작업실을 오가며 글을 쓰고 있다.



목차


서문

1. 한국문학의 맹아기(1900-1929)
이광수, 김동인, 김소월, 염상섭, 한용운

2. 1930년대 문학―현대문학의 제1부흥기(1930-1939)
김기림, 김남천/한설야, 김동리, 김영랑/박용철, 김유정, 박태원, 백석, 서정주
이기영, 이상, 이태준, 임화, 정지용, 홍명희, 황순원

3. 해방 전 친일문학에서 해방 전후의 혼란기까지(1940-1949)
김광섭, 오장환, 유치환, 윤동주, 이용악, 이육사, 청록파(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4. 한국전쟁과 폐허 시대(1950-1959)
김관식, 김종삼, 김춘수, 김현승, 노천명, 박경리, 박용래, 박인환, 서기원, 선우휘
손창섭, 오영수, 이봉구, 전혜린, 조병화, 천상병, 최일남, 한하운

5. 4?19혁명과 한글세대의 출현-현대문학의 제2부흥기(1960-1969)
김병익, 김수영, 김승옥, 김현, 마종기, 서정인, 신동엽, 이병주, 이어령, 이제하
이청준, 정현종, 최인훈, 황동규

6. 산업화 시대와 반독재 투쟁문학 1(1970-1979)
고은, 김우창, 김원일, 김윤식, 김주영, 김지하, 박상륭, 송영, 신경림, 오규원
오정희, 윤흥길, 이문구, 이성부, 조세희, 최인호, 황석영

7. 산업화 시대와 반독재 투쟁문학 2(1980-1989)
고정희, 김
... 펼처보기



책속으로


고전이란 시간의 풍화작용을 견디고 살아남은 것들이다. 오래된 것이라고 다 고전은 아니다. 우리의 정서와 심성의 전형성이 잘 드러나고, 그 형식은 새로워야 한다. 당대는 물론이고 미래에도 살아남아 통해야 한다. 언제 읽더라도 현재적 의미를 길어낼 수 있는 심미적 텍스트여야 한다. 무수한 작품이 시간의 파괴력을 견디지 못하고 소멸한다. 소멸하는 것은 그 소멸로써 의미를 소진한다. 시대와 더불어 그 의미를 갱신하는 텍스트. 바로 그런 작품들이 고전의 반열에 올라선다. 고전은 하나의 우주다. 우주이되 어떤 근원과 향수로 속절없이 깊어진 심연이다. 삶의 심연, 언어의 심연, 의식의 심연이다. 한국문학 100년은 고전의 반열에 든 무수한 작품이 별들로 반짝이는 심연이다.

이광수의 「무정」(1917년)은 근대문학의 초기에 푯대처럼 우뚝 서 있다. 스타일의 미숙과 소통에 대한 성찰이 떫고 둔탁한 것은 불가피하다. 「무정」에 스타일이 있다면 외래에서 이식移植된 스타일이다. 그럼에도, 캄캄한 먼동 속에서 돌이킬 수 없이 다가오는 새 날빛의 언어를 보여주고, 근대적 주체의 욕망과 계몽에의 의지를 잘 새겨 넣었다. 김유정의 「봄봄」(1935)과 「동
... 펼처보기 --- 본문 중에서



고전이란 시간의 풍화작용을 견디고 살아남은 것들이다. 오래된 것이라고 다 고전은 아니다. 우리의 정서와 심성이 전형성이 잘 드러나고, 그 형식은 새로워야 한다. 당대는 물론이고 미래에도 살아남아 통해야 한다. 언제 읽더라도 현재적 의미를 길어낼 수 있는 심미적 텍스트여야 한다. 무수한 작품이 시간의 파괴력을 견디지 못하고 소멸한다. 소멸하는 것들은 그 소멸로써 의미를 소진한다. 시대와 더불어 그 의미를 갱신하는 텍스트. 바로 그런 작품들이 고전의 반열에 올라선다. 고전은 하나의 우주다. 우주이되 어떤 근원과 향수로 속절없이 깊어진 심연이다. 삶의 심연, 언어의 심연, 의식의 심연이다. 한국문학 100년은 고전의 반열에 든 무수한 작품이 별들로 반짝이는 심연이다.
(중략)
김소월의 『진달래꽃』(1925년)은 우리에게 익숙한 한과 시름을 바탕에 깔고 유장한 리듬으로 잃어버린 님과 집과 밥을 노래한다. 민요와 설화의 능란한 차용, 우리말 리듬의 능숙한 구사로 이루어진 시는 경박하고 투박한 신체시를 단번에 앞지른다. ‘진달래꽃’은 우리 민족의 집단 무의식을 자극하는 서정시의 원형이다. 승려시인인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1926년)
... 펼처보기 --- 작가 서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한국문학의 星座 111명, 그들과 만나다!
문학을 꿈꾸고, 사랑한다면 꼭 읽어야 할 필독서!

사전 같은 두께이지만 책장의 장식품보다는 무릎이 더 어울릴 책.
『나는 문학이다』를 보지 않고 문학을 얘기할 수 없다.

문학이 아름다운 이유, 고전이 향기로운 이유, 인생이 苦海인 이유는 뭘까?
문학으로 역사를 배우고 철학을 사색한다.

이광수에서 배수아까지 111 / 한 권으로 정리한 한국현대문학사

작가는 이 책에서 한국현대문학사를 모두 여덟 개의 장으로 10년 단위로 시대별 구성했다. 이광수와 김동인, 김소월, 염상섭, 한용운을 1900년에서 1929년까지 “한국문학의 맹아기”를 이끈 작가로 분류하고 / 1930년대는 김기림, 서정주, 이상, 황순원 등을 “현대문학의 제1부흥기”를 이끈 작가로 / 1940년대는 “친일문학에서 해방 전후의 혼란기”에는 김광섭, 오장환, 유치환, 윤동주, 이육사, 청록파를 / 1950년대는 김춘수, 노천명, 박경리, 박인환, 조병화, 천상병을 “한국전쟁과 폐허 시대” 작가로 그리고 / 1960년대는 “4?19혁명과 한글세대의 출현”을 이끈 작가로 김병익, 김수영, 김승옥, 신동엽, 이어령, 이청준, 황동규 등을 / 1970년대는 “산업화 시대와 반독재 투쟁문학”을 다룬 작가로는 고은, 김원일, 김주영, 김지하, 신경림, 조세희, 황석영 등을 / 1980년대는 “산업화 시대와 반독재 투쟁문학”에는 김남주, 박노해, 이성복, 이인성, 조정래, 현기영, 황지우를 / 1990년대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문학”에는 공지영, 기형도, 김영하, 김훈, 신경숙, 배수아 등을 연대기적으로 다루었다.

현대문학 100년에 바치는 오마주
한국문학사에 빛나는 111명의 적지 않은 작가를 한 권의 문학비평서로 다룬 이 책은 현대문학 100년에 바치는 시인 장석주
... 펼처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60 160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file 박문호 2009.02.11 4516 앤드루 찰턴 지식의 숲 김홍기 교수 2009-02-24
159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26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158 158 사라진 손바닥 file 박문호 2009.01.14 5111 나희덕 문학과지성사 나희덕 시인 2009-01-30
157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8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156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155 155 뇌 생각의 출현 file 박문호 2008.11.26 5399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2-09
154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3 153 착한인생 file 박문호 2008.10.29 5467 박경철 리더스 박경철 2008-1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2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0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1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3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0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6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8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7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07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6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3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5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4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4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3 143 문학예술 가재미 3 file 박문호 2008.05.28 5279 문태준 문학과 지성 문태준 시인 2008-06-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2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5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1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1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0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0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9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8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3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7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6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0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5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5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4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7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3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57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2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1 131 경영경제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file 박문호 2007.12.01 5274 최홍섭 w미디어 이언오 SERI전무 2007-12-11
130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1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9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1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8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7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126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5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5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4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69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3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8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2 122 인문사회 논어 file 박문호 2007.07.13 4957 동양고전연구회 지식산업사 이숙희 2007-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1 121 문학예술 이것이 한국화다 file 박문호 2007.07.02 4645 류병학 아트북스 이종상 2007-07-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