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9.09.02 23:07

세컨드 네이처

조회 수 7436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73
저자 제렐드 에델만
출판사 이음
발표자 박문호 박사
일자 2009-09-08
장소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http://www.yes24.com/24/goods/3445883

책소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뇌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제럴드 에델만은 이 책에서 생리학·심리학·철학을 하나로 묶은, 인간 의식에 대한 통섭적 접근을 시도한다. 1972년 항체 구조와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저자는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의 원리가 작용하는 선택적 시스템으로서의 뇌에 주목, 1978년 뇌의 작용기작을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으로 신경다윈주의를 세상에 내놓았다. 이 책은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뇌는 하늘보다 넓다』 등 신경다윈주의에 입각해 의식의 신비와 메커니즘을 설명한 전작들에 이어 인간의 인식 과정 및 지식 획득과정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며 절망적인 상태에 놓인 기존 인식론들을 대체하고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분열을 극복할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뇌기반인식론”을 제안하고 있다.



저자 소개


저자 : 제럴드 모리스 에델만(Gerald Maurice Edelman)


노벨상 수상자 제랄드 에델만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공부해 의사 자격증을 얻었고 록펠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신경과학연구소의 창립 소장, 신경과학연구재단의 이사장이자 스크립스 연구소의 신경생물학과 교수이다. 60여 년 동안 생물리학·단백질생화학·면역학·세포생물학·신경생물학 분야에 큰 기여를 한 에델만은 그 업적들을 통해서 수많은 과학상을 받았고 대중적 영예도 함께 누렸다. 특히 그는 1972년에 항체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구조적인 기초를 밝힌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어서 과학 연구의 초점을 발달생물학으로 옮겨 1975년에 최초로 뇌의 회로에서 발달하는 신경세포 사이의 대화를 담당하는 분자의 존재를 규명했다.

에델만은 뇌의 조성, 연결, 구조, 기능, 그리고 진화에서 얻은 통찰을 한데 묶어 ‘신경다윈주의’ 이론을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아직까지도 뇌와 컴퓨터의 유사성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에델만은 최근에 컴퓨터로 인간 의식의 모델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대중들에게 뇌와 의식의 과정에 대해서 쉽게 설명하는 『하늘보다 넓다: 의식이라는 놀라운 재능』(Wider than the Sky: The Phenomenal Gi... 펼처보기


역자 : 김창대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옮긴이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과 석사학위(상담전공)를 받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의 교육대학(Teachers College)에서 상담심리학과 석사·박사 학위(상담심리학 전공)를 받은 후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컬럼비아대학교의 교육대학 방문교수를 지냈다. 다수의 상담 및 심리학 관련 논문과 저서·역서를 펴냈으며, 최근에는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내에 ‘뇌 과학과 교육연구센터’를 새로 설치하고 ‘마음·뇌·교육’이라는 교과목을 개설함으로써 교육과 의식의 문제, 인간의 정서 조절의 문제를 뇌과학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목차


독자를 위한 도움말
서문

들어가며
제1장 갈릴레이의 호와 다윈의 프로그램
제2장 의식, 몸 그리고 뇌
제3장 선택주의 : 의식의 선행조건
제4장 뇌의 작용에서부터 의식까지
제5장 인식론과 그에 대한 불만
제6장 뇌가반접근
제7장 지식의 형태 :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분열
제8장 간극의 회복 : 과학과 인문학의 화해
제9장 인과관계, 착각, 그리고 가치
제10장 창조성 : 특이성과 범위 간의 유희
제11장 비정상적인 상태
제12장 뇌가반장치 : 의식이 있는 인공물을 향해
제13장 제2의 자연 : 지식의 변신

저자 미주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 ?
    서지미 2009.09.02 23:07
    세컨드네이처...이 책 제대로 한번 새겨 보고싶다...하는 분들
    이번 강연회 놓치지 마세요.
    혼자 읽어 보는거 하고.
    전문적인 시각을 통해 이해하는 거 하고는
    차원이 좀 다르니까요.
  • ?
    문병희 2009.09.02 23:07
    세컨드 네이처가 뭘까요 궁금증을 유발하는 군요 한번 읽게 하는 마력에
    빠져 허우적 거려 보네요 ~ ~
  • ?
    변정구 2009.09.02 23:07
    목차 중에...제6장 뇌가반접근 => 뇌기반접근
    제12장 뇌가반장치 : 의식이 있는 인공물을 향해 => 뇌기반장치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1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7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0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604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19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3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8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7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8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6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86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7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4 279 릴케의 침묵 file 유화현 2014.02.12 4941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4-02-25 탄방동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3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12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46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11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7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10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3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9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93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8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43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7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4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6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7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5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61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61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4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2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5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6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