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9.07.16 02:12

무한의 신비

조회 수 690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70
저자 애머 액젤
출판사 승산
발표자 신현용 교수
일자 2009-07-2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오후 7시

http://www.yes24.com/24/goods/281502

책소개


1918년 정신병동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은 칸토어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무한의 이론과 개념에 대해 논하고 있는 책. 그것은 단순히 한 개인의 수학적 연구를 규명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대 카발라와 수비학까지 이르는 심히 비밀스럽고도 은밀한 무한에 대한 본질적인 것을 논하고 있다. 역사적 상황과 사실을 바탕으로 무한의 옷자락을 들추고자 하였던 사람들은, 고대 카발리스트나 칸도어와 괴델같은, 모두 정신병자가 되어버렸거나 죽음을 맞이하였다. 중세 이전까지는 무한은 신의 영역이라고 규정지었고 그에 도전하는 것은 곧 신의 위업에 도전하는 것과 같이 여겼다. 그들은 신의 위업에 도전하고자 하여 벌을 받은 것일까.

칸토어는 어떻게 무한에 관한 이론을 세웠는지, 그의 선구적인 업적의 영향력과 결과는 우리 세계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아직도 끊이지 않고 있다. 그는 처음 이 이론을 발표하고자 하였을 때 10년이라는 시간을 두고 망설였었다. 그리고 이 이론이 발표된 후에도 스승과 동료들에게 끊임없는 비난을 받았다.

칸토어의 천재성을 촉발시킨 영감은 수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그 의미는 아직도 다 풀리지 않았다. 다만 1947년에 사망한 쿠르트 괴델이 칸토어의 연속체 가설이 다른 수학과 독립적이라는 것을 증명했고, 그로써 수학의 기초는 그 자체가 흔들리게 되었다.

칸토어의 무한 이론은 겉보기에 모순 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1인치 길이의 직선상에 있는 점의 수가 1마일 길이의 직선상에 있는 점의 수와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날days의 수만큼 많은 해years가 있다는 것도 증명할 수 있다. 칸토어가 증명한 바에 따르면, 무한집합들은 크기가 동일하다.

칸토어의 수학에 관한 철학적 연구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과 유대인의 수비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유대인의 수비학은 카발라로 알려진 신비주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칸토어는 무한을 표현할 때 헤브라이어 알파벳 첫 문자인 알레프라는 기호를 사용했다. 부수적으로 신을 연상하게 하는 의미가 깃들여 있는 알레프는 모든 양의 정수를 합한 신비한 수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알레프는 마지막 양의 정수가 아니다. 왜냐하면 마지막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알레프는 항상 접근 중인 궁극의 수이다―1이라는 수 이전에 최후의 분수가 없는 것처럼.


역자 : 신현용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졸업. 동 대학원 수학교육과 석사. 미국 알라배마 대학원 수학과 박사. 네델란드 국립수학연구소(CWI)방문교수. 해군 제2사관학교 수학교관(해군대위) 역임.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번역서로는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와『뷰티풀 마인드』등이 있다.


  • ?
    육형빈 2009.07.16 02:12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수비학이라는 비수학(?)적인 내용때문에 거부감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수학의 기초와 무한에대한 관심과 흥미를 일으켜준 인상적인 책이었죠. 이 책을 읽고 수학의 기초에대해 더 알고 싶어서 관련 책을 뒤지던 중 임정대교수님의『수학기초론의 이해』를 접했고, 그 후 관련 분야에 지속적인 흥미를 갖게 됐습니다. (물론 교양수준에서...^^) 덧붙이면, 앞서 읽었던『현대수학의 아버지 힐베르트』에서 러셀의 역설 등 수학의 기초에대해 접한 뒤 수학기초론에대한 호기심이 생겼고, 그래서『무한의 신비』도 재밌게 본 것 같습니다.

    교양수학책의 표지만 봐도 가슴이 설레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설레이는 마음으로 접한 수학개념들은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무한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은 철학과 수학뿐이라는데, 수학에서 무한을 어떻게 다루는지 보지 못한 분들은 설레이는 마음으로 무한의 신비에 잠시 빠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신현용교수님이 번역하신 또다른 책『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는 폴 에르되시라는 괴짜 수학자에대한 책입니다. 마치 외계인같은 주인공의 삶을 엿보는 재미와 함께 수학에대한 관심을 갖게 해줍니다.『화성에서 온 수학자』도 폴 에르되시에대한 책인데, 겹치는 내용이 있지만, 둘 다 재밌습니다.

  1. 블랙홀 전쟁

  2. 인간본성에 대하여

  3.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4.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5. 과학의 품격

  6.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108 

    정상에서 만납시다

  7. 경성, 사진에 박히다

  8. No Image 06May
    by 관리자
    2005/05/06 by 관리자
    Views 26901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9. 부서진 미래

  10. 인류의 발자국

  11. No Image 29Jul
    by 관리자
    2004/07/29 by 관리자
    Views 3685 

    서희 협상을 말하다

  12.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13. No Image 08Nov
    by 관리자
    2005/11/08 by 관리자
    Views 3977 

    70일간의 음악여행

  14. No Image 11Jan
    by 관리자
    2005/01/11 by 관리자
    Views 3812 

    한남자의 그림사랑

  15. 세계명화 비밀

  16. [백북스시즌2 책밤45] 커리어 그리고 가정

  17.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18. 등대의 세계사

  19. 외계생명체 탐사기

  20.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38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21.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22. 적극적 사고방식

  23.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24.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25. 기후불황

  26. 우주의 구조

  27. 뷰티풀 마인드

  28.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29. 무한의 신비

  30. 괴델의 증명

  31. 런던 미술관 산책

  32. 베토벤: 불굴의 힘

  33.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34. 창문을 열면, 우주

  35. 프랑스 미술관 산책

  36. 의식의 탐구

  37.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38. 한국의 디자인1,2

  39.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40. No Image 07Jul
    by 관리자
    2003/07/07 by 관리자
    Views 3891 

    선비의 의식구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