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9.02.25 18:27

최초의 3분

조회 수 52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61
저자 스티븐 와인버그
출판사 양문
발표자 김봉규 박사
일자 2009-03-10







책소개









광대한 우주의 시작, 그 위대한 창조의 최초 3분간에 대한 보고서. 최초의 3분에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인간이 아직 미약한 일부만을 알고 있는 이 우주가 만들어지는 데 그 3분은 어떤 역할을 한 것일까? 저자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는 전자기-약력에 관한 표준모형을 제창한 공로로 1979년 노벨상을 수상한 저명한 과학자이로, 과학도들만이 아닌 모든 대중에게 우주론을 이해시키겠다는 목적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

그는 마치 영화 장면처럼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까지 최초의 3분을 단계별로 명확하게 정리해놓고 있다.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최초, 우리가 생각하는 시공간 개념이 무의미할 만큼의 최초, 물질 이전의 시대, 즉 우주의 기원을 수학과 물리학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려운 수학식이나 개념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기술했다. 물론 더 깊은 개념을 이해하고자 하는 전공자들을 위해서 책 뒷부분에 수학적 보충과 용어설명을 덧붙였다. 전문가들에게는 과학적 정확성을 가지고 우주의 기원을 기술해준 놀라운 책으로, 아이작 아시모프와 마틴 가드너 등 과학 저술가들에게 대중적이면서도 선구적인 최고의 과학적 저술로 평가받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 두 차례 번역 소개되었지만 모두 절판되었고 초판 발행(1977년) 이후 변화한 우주론을 반영한 1994년의 개정증보판은 번역된 것이 없던 차에, 이번 번역 출간은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대중적 성공에 있어서는 그에 못 미쳤을지 모르나 물리학계에 끼친 영향을 고려하면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의 《시간의 역사》과 견줄만한 세계 물리학도들의 필독서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 : 스티븐 와인버그






미국의 핵물리학자. 1933년 뉴욕에서 프레더릭 와인버그와 에바 와인버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이론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를 거쳐 1954년 코넬 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코펜하겐의 닐스 보어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기도 했다. 1957년에는 프린스턴 대학에서 「재규격화 이론을 이용하여 약한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강한 상호작용의 효과」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7년부터 1959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1959년부터 1960년까지는 로렌스 방사능연구소에서 연구를 했으며, 이후 1960년까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조교수 및 연구원을 거치며 입자 물리학의 첨단 주제들을 연구했다. 또한 196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강사로, 1967년에는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물리학과 객원교수로 일하기도 했으며, 1973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히긴스(Higgins) 교수로 임용되어 1982년까지 재직했다. 이후 1983년부터 현재까지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대학 물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스티븐 와인버그는 장(場)의 양자론에서 우주론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으로 연구했으며, 특히 그의 최대 업적은 자연의 근본적인 힘들 중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하는 이론을 제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약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일적 모형과 소립자의 통일모형을 제출했고, 양자색역학(量子色力學)을 전개했다. 1979년에는 전자기와 약작용에 대한 기존의 알려진 사실들을 설명하고 기본입자들을 서로 충돌시키는 새로운 실험들의 결과를 예측 가능하게 하는 이론을 정식화한 공로로 셸던 글래쇼(Sheldon L. Glashaw), 압두스 살람(Abdus Salam)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1972년에 오펜하이머상을, 1977년에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의 이론은 입자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그의 이론은 소립자 이론...













역자 : 신상진




1983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1989년 미국 U.C. 버클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0~1992년 럿거스대학과 플로리다대학에서 연구원을 역임했고, 1992년부터 현재까지 한양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Holography of Radiation and J-Quenching 외 50여 편이 있다.
http://hepth.hanyang.ac.kr/~sjs/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4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120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6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19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4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8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3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7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116 35 꿈 (Dreaming) file 관리자 2003.10.29 4098 앨런홉슨 아카넷 박문호 2003-12-03
115 92 꽃의 고요 file 관리자 2006.04.12 3695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황동규 2006-04-25
114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4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113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4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12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111 34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file 이근완 2016.10.29 252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2016-11-0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0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109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57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08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0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107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7993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06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68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5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4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104 5 금산적병강 야유회 file 관리자 2003.06.21 4784 2002-08-15
103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2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1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01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7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0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20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9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8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7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96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3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5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7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4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3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7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92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0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91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60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0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8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89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6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8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1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7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90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6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494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85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1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4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6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3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40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82 74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2 file 관리자 2005.07.11 3554 공병호 해냄 이규상 2005-07-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