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9.02.25 18:27

최초의 3분

조회 수 52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61
저자 스티븐 와인버그
출판사 양문
발표자 김봉규 박사
일자 2009-03-10







책소개









광대한 우주의 시작, 그 위대한 창조의 최초 3분간에 대한 보고서. 최초의 3분에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인간이 아직 미약한 일부만을 알고 있는 이 우주가 만들어지는 데 그 3분은 어떤 역할을 한 것일까? 저자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는 전자기-약력에 관한 표준모형을 제창한 공로로 1979년 노벨상을 수상한 저명한 과학자이로, 과학도들만이 아닌 모든 대중에게 우주론을 이해시키겠다는 목적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

그는 마치 영화 장면처럼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까지 최초의 3분을 단계별로 명확하게 정리해놓고 있다.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최초, 우리가 생각하는 시공간 개념이 무의미할 만큼의 최초, 물질 이전의 시대, 즉 우주의 기원을 수학과 물리학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려운 수학식이나 개념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기술했다. 물론 더 깊은 개념을 이해하고자 하는 전공자들을 위해서 책 뒷부분에 수학적 보충과 용어설명을 덧붙였다. 전문가들에게는 과학적 정확성을 가지고 우주의 기원을 기술해준 놀라운 책으로, 아이작 아시모프와 마틴 가드너 등 과학 저술가들에게 대중적이면서도 선구적인 최고의 과학적 저술로 평가받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 두 차례 번역 소개되었지만 모두 절판되었고 초판 발행(1977년) 이후 변화한 우주론을 반영한 1994년의 개정증보판은 번역된 것이 없던 차에, 이번 번역 출간은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대중적 성공에 있어서는 그에 못 미쳤을지 모르나 물리학계에 끼친 영향을 고려하면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의 《시간의 역사》과 견줄만한 세계 물리학도들의 필독서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 : 스티븐 와인버그






미국의 핵물리학자. 1933년 뉴욕에서 프레더릭 와인버그와 에바 와인버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이론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를 거쳐 1954년 코넬 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코펜하겐의 닐스 보어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기도 했다. 1957년에는 프린스턴 대학에서 「재규격화 이론을 이용하여 약한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강한 상호작용의 효과」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7년부터 1959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1959년부터 1960년까지는 로렌스 방사능연구소에서 연구를 했으며, 이후 1960년까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조교수 및 연구원을 거치며 입자 물리학의 첨단 주제들을 연구했다. 또한 196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강사로, 1967년에는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 물리학과 객원교수로 일하기도 했으며, 1973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히긴스(Higgins) 교수로 임용되어 1982년까지 재직했다. 이후 1983년부터 현재까지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대학 물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스티븐 와인버그는 장(場)의 양자론에서 우주론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으로 연구했으며, 특히 그의 최대 업적은 자연의 근본적인 힘들 중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하는 이론을 제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약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일적 모형과 소립자의 통일모형을 제출했고, 양자색역학(量子色力學)을 전개했다. 1979년에는 전자기와 약작용에 대한 기존의 알려진 사실들을 설명하고 기본입자들을 서로 충돌시키는 새로운 실험들의 결과를 예측 가능하게 하는 이론을 정식화한 공로로 셸던 글래쇼(Sheldon L. Glashaw), 압두스 살람(Abdus Salam)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1972년에 오펜하이머상을, 1977년에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의 이론은 입자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그의 이론은 소립자 이론...













역자 : 신상진




1983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1989년 미국 U.C. 버클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0~1992년 럿거스대학과 플로리다대학에서 연구원을 역임했고, 1992년부터 현재까지 한양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Holography of Radiation and J-Quenching 외 50여 편이 있다.
http://hepth.hanyang.ac.kr/~sjs/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66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8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65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64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63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2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3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1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49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0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3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59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1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58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0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57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6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5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4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3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2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2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51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0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49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48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47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6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5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44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43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2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41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0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9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8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7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6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0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5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4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3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0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2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3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31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0 25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 file 관리자 2013.01.11 7301 유창복 또하나의문화 저자 유창복 2013-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9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3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8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0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7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39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