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45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60
저자 앤드루 찰턴
출판사 지식의 숲
발표자 김홍기 교수
일자 2009-02-24






책소개









정보경제학이라는 현대 경제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공로로 2001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조지프 E. 스티글리츠 교수는 이 책에서 세계 무역을 활성화함으로써 그것에서 생기는 이득을 전 세계가 골고루 누리자고 제안한다. 관세 및 비관세 장벽, 그리고 기타 제도적인 장벽 때문에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는 무역흐름을 원활하게 해 많게는 수천억 달러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그것을 인류복지를 위해 귀하게 쓰자는 것이 저자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이 책은 이전의 여러 무역협정들과, 개발도상국의 복지 및 개발을 위해 제안된 새로운 협정 조항들이 갖는 영향력과 관련된 이론적 증거 및 실증적 증거를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고찰을 기초로 ‘진정한’ 개발 라운드를 위한 일련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 : 조지프 스티글리츠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석학. MIT에서 폴 새뮤얼슨의 지도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조교수가 되었고, 불과 27세에 예일대학교 정교수가 되었다. 듀크대학교, 스탠포드대학교, 옥스퍼드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36세에는 일명 ‘예비 노벨상’이라 불리는, 뛰어난 연구업적을 쌓은 소장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의 주인공이 되었다. 1995~97년 빌 클린턴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을 역임했고, 1997~2000년 세계은행 부총재 겸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냈다. 2001년, 정보 비대칭성 시장에 관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컬럼비아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경제학이란 새 분야를 개척한 이론가이자 백악관과 세계은행 등에서의 행정경험을 지닌 거물 실무가인 그는 모두가 인정하는 엘리트코스를 거치고 세계 경제권력의 핵심에 있으면서도 주류 경제권력의 잘못된 행태에 쓴소리를 아끼지 않는다는 점에서 남다른 면모를 보여왔다. 특히 학자적 명성만큼이나 반골적 성향으로 유명한 그는 미국 행정부와 국제경제기구가 주도하는 지금까지의 세계화를 가차 없이 비판하고 개발도상국과 빈곤국가들을 옹호해온 대표적인 인사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이들 나라에 자본개방, 고금리, 긴축재정 등을 처방한 IMF과 미국 재무부의 조치를 통렬히 비판해 한국에도 잘 알려진 바 있다. 저서로는 『세계화와 그 불만』을 비롯해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시장으로 가는 길』 『스티글리츠의 경제학』 『스티글리츠의 거시경제학』 『스티글리츠의 미시경제학』 등이 있다.















저자 : 앤드루 찰턴




런던정치경제대학 연구원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정책대화를 위한 모임’, 유엔개발계획,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센터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역자 : 송철복




경희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경향신문》 홍콩?북경 특파원, 삼성경제연구소 객원연구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외신대변인, 《파이낸셜뉴스》 국제부장,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연구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 금융감독위원회 정책홍보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이것이 국제감각이다』가 있고, 옮긴 책으로 『세계화와 그 불만』, 『대폭로』, 『무게 없는 사회』 등이 있다.





 






 






목차



















• 목차보기
 










추천사 | 한국어판 서문 | 책머리에
표 목록 | 도표 목록 | 용어 설명

1장 지금까지의 이야기
2장 무역은 개발에 이로울 수 있다
3장 개발 라운드의 필요성
4장 도하에서는 무엇을 이루었나
5장 공정한 협정의 기초
6장 개발도상국을 위한 특별대우
7장 개발 라운드의 우선사항들
8장 시장을 어떻게 개방할 것인가
9장 국경 뒤편의 우선사항들
10장 의제에 올려서는 안 될 것들
11장 무역 체계에 합류하기
12장 제도개혁
13장 무역자유화와 조정비용
부록 1 시장접근 이슈에 대한 실증적 검토
부록 2 싱가포르이슈에 대한 실증적 검토

감사의 글 | 옮긴이의 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출판사 리뷰
 









‘개발 라운드’를 표방하며 출범한 ‘도하라운드’는 왜 지지부진한가

오랜 줄다리기 끝에 우루과이라운드 무역협상이 1995년 마침내 타결되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시대가 막을 내리고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출범했다. 이어 세계무역기구 각료회담 등을 거쳐 2001년 11월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개발’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라운드가 출범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여러 해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도하라운드는 이렇다 할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저자는 그 이유를, 도하라운드가 개발도상국의 관심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선진국의 이익에 초점을 맞춘 이른바 ‘싱가포르이슈’를 줄기차게 거론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싱가포르 이슈는 1996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 각료회담에서 도하라운드 의제로 제기된 것으로, ‘무역과 투자’ ‘경쟁정책’ ‘정부조달의 투명성’ ‘무역촉진’을 가리킨다. 이들 네 가지 의제는 선진국의 입장을 주로 반영한 것이어서 세계무역기구 내 다수 회원인 개발도상국들의 반발을 사왔다. 아울러 도하(개발)라운드가 뒤뚱거리고 있는 또다른 이유로 세계무역기구WTO(전신인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도 마찬가지이다)가 과정과 구조에서 이기적인 흥정원칙에 따라 작동해온 중상주의적인 제도라는 사실을 지적한다.

개발 라운드는 왜 필요한가

저자는 2장에서 무역자유화가 복지증진에 보탬이 된다는 고전적 명제가 옳다는 전제 아래 정책 제안의 개념적 기초를 설명한다. 하지만 일부 극도로 가난한 나라들에게는 이런 명제가 들어맞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인다. 빈곤과 불평등이 만연해 있고, 무역발전에 필수적인 리스크 시장과 자본시장이 갖춰져 있지 않은 나라들의 경우는 신고전주의(신자유주의) 모델의 예측이 빗나갈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3장에서는 개발라운드가 왜 필요한지를 다룬다. 개발도상국들이 이전의 무역협상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지 짚어보는 한편, 앞으로 도하라운드에서 추가적인 무역자유화를 추진할 경우 개발도상국들에게 어떤 이득이 생길 것인지를 따진다. 4장에서는 도하라운드가 그간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개발도상국들의 기대를 얼마나 충족시켜왔는지 간략히 살핀다. 또 개발라운드 무역 의제와, 개발도상국들의 복지 증대를 위해 기능할 명실상부한 개발 라운드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정한 협정의 기초

스티글리츠 교수는 5장에서 개발 라운드의 원칙과 관련된 제안을 개략적으로 밝히고 있다. 그 첫 번째 원칙은 협정을 통해 빈국들의 개발촉진을 확실히 담보하는 것이다. 이 원칙을 살리려면 세계무역기구가 경제 분석의 문화를 창달하여 친親 개발 제안을 가려내고, 그 제안을 의제의 우선순위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세계무역기구 사무국이 그 핵심적인 책무를 져야 한다.
또 개발라운드 진행과정에서 체결되는 여러 협정들은 법률상 공정성은 물론 실제로도 공정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주장이다. 왜냐하면 개발도상국들은 제도적 역량이 모자라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세계무역기구의 틀 내에서 활동하는 데 있어 아무래도 선진국들보다 불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는 개발도상국을 특별대우하자고 6장에서 밝힌다. 개발도상국들은 재정적 자원이 빈약함은 물론 제도적 역량도 선진국에 비해 취약하게 마련이므로 새로운 무역 규정을 적응하는 데에는 높은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도상국이 선진국과 동등하게 자유무역 확대 대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선진국이 각종 지원을 제공하자고 저자들은 제안한다.

세계 무역 체제 개혁을 위한 제안

도하라운드 협정의 핵심적인 개발 우선사항들을 7장부터 10장에서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저자들이 대원칙으로 제시하는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세계무역기구 회원국은 그들보다 가난하고 작은 모든 개발도상국에게 모든 상품에 대해 시장 자유접근을 제공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개발도상국은 자국보다 국내총생산이 크고, 1인당 국내총생산이 큰 모든 시장에 대해 자유접근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선진국은 농업보조금 철폐를 다짐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장개방 약속은 원산지 규정 같은 기술적 조항들 때문에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이 그것이다. 여기서는 농업자유화에 관련된 문제, 개발도상국들이 생산하는 상품들에 대해 시장접근을 확대하는 일, 노동집약적 제조물품(섬유와 식품가공)과 비숙련 서비스(해운과 건설 서비스)에 대한 보호수준을 긴급하게 낮추는 문제, 노동력의 이동을 늘리기 위한 계획을 마련하는 일 등을 다룬다.
셋째, 전 세계적으로 관세장벽이 낮아지면서 선진국들이 갈수록 비관세장벽에 더 의존하는 경향을 지적하고 이를 제한할 필요성을 다룬다. 여기서 내놓은 제안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저자들은 자유화의 이득과 비용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를 부록 1과 부록 2에 따로 담았다.

개발도상국을 위한 세심한 배려와 지원

저자들은 13장에서 국가가 새로운 무역체제에 적응하기 위해 어떤 조정비용을 치러야 하는지, 그리고 조정비용은 나라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세계무역기구 차원에서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하리라는 점을 제기한다.
리스크 및 조정비용이 개발도상국에서 더 클 것이고, 실업률도 더 높을 것이고, 안전망은 더 취약할 것이며, 리스크 시장은 더 빈약할 것이라는 점은 무역협상에서 감안되어야 할 사안들이다. 일부 최빈국의 경우는 무역자유화의 조정비용이 달성 가능한 편익을 크게 초과할 수도 있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개발 라운드를 통해 개발도상국들이 폭넓은 편익을 얻고, 무역개혁과 무역자유화를 추진하는 의제가 지속적인 지지를 받으려면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겠다는 결의를 과거보다 더 강하게 다지지 않으면 안 된다. 무역개혁과 관련해 종종 대규모 비용을 감당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좀 더 통합된 세계경제가 제공하는 새로운 기회를 개발도상국들이 스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지원은 필요하다.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Fair Trade for All’을 위해

신간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개발도상국‘과 ’공정성‘이다. 오늘날 무역협상은 과거와는 달리 ‘흥정’이라기보다는 ‘기술’에 가깝다. 선진국에 비해 돈도 지식도 부족하게 마련인 개발도상국으로서는 처음부터 협상과 관련해 선진국과 대등하게 경쟁할 입장이 못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선진국들은 말로는 보조금을 철폐하겠다고 하면서도 여전히 엄청난 보조금을 자국 농가에 지급하고 있다. 그리고 경쟁정책 시행, 지적재산권 보호 장치 마련, 외국인 투자자 보호방침 등처럼 아직 세계 차원에서 그 타당성과 실효성이 완전히 증명되지 않은 분야들을 들고 나와 개발도상국에게 이를 받아들이라고 압박하고 있다.
저자들은 선진국이 주도하는 무역협상 무대에서 개발도상국들의 처지와 형편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건전한 국제 무역 질서가 하루바삐 자리 잡도록 특히 선진국들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한다. 복잡하게 마련인 무역 협상에서 협상의 공정성을 담보할 으뜸 원칙으로 저자들이 제시하는 것은 약자우대 정신, 즉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배려다. 이것은 단지 정서적인 차원의 호소가 아님을 이 책에서 밝히고 있다.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은 세계화의 주요 수혜자이면서 한미자유무역협정을 다급하게 진행 중인 우리가 반드시 참고해야 할 충고로 가득한 책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59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458 409 자연과학 우주날씨 이야기 file 조수윤 2019.11.13 272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플루토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2019-11-26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57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6 92 꽃의 고요 file 관리자 2006.04.12 3693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황동규 2006-04-25
455 71 몰입의 즐거움 관리자 2005.05.18 423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해냄 황농문 2005-06-14
454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3 119 마이크로코스모스 file 박문호 2007.05.29 502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범양사 홍욱희 2007-06-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2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1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50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49 40 7인의 베스트 CEO file 관리자 2004.02.10 4007 제프리 크레임스 물푸레 현영석 교수 2004-02-24
448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4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7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446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45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444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443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2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41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3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440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19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39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438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437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49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6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2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435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434 43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file 조수윤 2021.11.16 478 미겔 탕코 문학동네 한빛찬, 임석희, 박정애, 조수윤,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박순필, 김홍섭, 태병권 2021-11-23 대전 신성동 책방 이도저도 오후 7:15
433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32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2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31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5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30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29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6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8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427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426 352 인문사회 탁월한 사유의 시선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file 이근완 2017.04.13 294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1세기북스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017-04-27 스페이스 C#4층 강당(대전 한국 화학연구원 정문) 2017년 4월 27일 오후 7시
425 41 처음 만나던 때 file 관리자 2004.02.26 3903 김광규 문학과 지성사 최종후 2004-03-09
424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29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23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8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422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21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420 356 인문사회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1 file 이근완 2017.07.05 312 최병관 미디어숲 최병관 2017-07-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