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8.10.15 14:55

광휘의 속삭임

조회 수 49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52
저자 정현종
출판사 문학과 지성
발표자 정현종
일자 2008-10-2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의 날빛으로 물결치는 정현종의 시집!

정현종 시집『광휘의 속삭임』. 1965년 등단 이후 40여 년 동안 한국의 재래적인 서정시의 전통을 혁신하고 현대시를 새롭게 만들어온 정현종 시인의 아홉 번째 시집이다.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작을 표제로 한 시집 <견딜 수 없네> 이후 최근까지 발표한 시 가운데 60편을 선별해 묶었다.

등단 초기, 전후의 허무주의적 포즈와 재래적인 서정시의 미학을 극복한 자리에서 출발한 정현종의 시는 오랫동안 현실의 고통을 넘어설 수 있는 초월의 가능성을 탐구해왔다. 이후 시인은 생명현상과의 내적인 교감, 자연의 경이로움, 생명의 우주적 황홀감 등을 가볍게 노래하며 보다 큰 생명의 세계로 시적 자장을 넓혀왔다.

이번 시집에서도 시인은 의식세계를 채우고 있는 복잡한 의미를 걷어내고, 사물의 움직임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자 했다. 사물의 바깥에서 사물을 해석하며 그에 대한 복잡한 의미를 부여하는 권위를 버리고, 사물과 한 몸으로 움직이는 시를 갈망한다. 의식 너머의 무한으로 나아가는 정현종의 시는 가볍고 간명하지만, 깊고 그윽하다.

이 책에 담긴 시 한 편!

<광휘의 속삭임> 중에서

저녁 어스름 때
하루가 끝나가는 저
시간의 움직임의
광휘,
없는 게 없어서
쓸쓸함도 씨앗들도
따로따로 한 우주인,
(광휘 중의 광휘인)
그 움직임에
시가 끼어들 수 있을까.

아픈 사람의 외로움을
남몰래 이쪽 눈물로 적실 때
그 스며드는 것이 혹시 시일까.
(외로움과 눈물의 광휘여)






















정현종


1939년 서울에서 태어나 3세 때 부친을 따라 경기도(고양군 신도면 화전)로 옮겨가 청소년기를 보냈다. 1959년 연세대 철학과에 입학하여, 재학 중 대학신문인 『연세춘추』에 발표한 시 「화음」 「주검에게」가 당시 연세대 국문과 박두진 교수의 눈에 띄어 1964년 5월 『현대문학』에 초회 추천을 받았다.


1965년 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3월과 8월에 각각 「독무」와 「여름과 겨울의 노래」로 『현대문학』에서 3회 추천을 완료하고 문단에 등단하였다.


1966년에는 황동규·박이도·김화영·김주연·김현 등과 함께 동인지 『사계』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1970∼1973년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로 일하였고, 1975∼1977년에는 중앙일보 월간부에서 일하였다.


1977년 신문사를 퇴직한 뒤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부임해서 시 창작 강의를 하였다. 198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05년에 정년퇴임하였다.


첫 시집 <사물의 꿈>(민음사, 1972) 이후 <나는 별아저씨>(문학과지성사, 1978)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문학과지성사, 1984)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세계사, 1989) <한 꽃송이>(문학과지성사, 1992) <세상의 나무들>(문학과지성사, 1995) <갈증이며 샘물인>(문학과지성사, 1999) <견딜 수 없네>(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작 「견딜 수 없네」 수록. 시와시학사, 2003) 등의 시집과 <고통의 축제>(민음사, 1974)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미래사, 1991) <이슬>(문학과지성사, 1996) 등의 시선집, <정현종 시전집>(전 2권, 문학과지성사, 1999) 그리고 시론집 <숨과 꿈>(문학과지성사, 1982) 외에 다수의 번역서를 상자했다.


한국문학작가상·연암문학상·이산문학상·현대문학상·대산문학상·미당문학상·경암학술상(예술부문) 등을 수상했다.

  1.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2.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3. 고산자

  4.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5. 파격의 고전

  6.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7. 사라진 손바닥

  8. No Image 12Apr
    by 관리자
    2006/04/12 by 관리자
    Views 3695 

    꽃의 고요

  9. 피로사회

  10. [백북스시즌2 책밤7] 사람, 장소, 환대

  11. No Image 26Feb
    by 관리자
    2004/02/26 by 관리자
    Views 3903 

    처음 만나던 때

  12. 가재미

  13. 광휘의 속삭임

  14. 물속의 발자국

  15. 선학동 나그네

  16. No Image 15Jan
    by 관리자
    2004/01/15 by 관리자
    Views 3791 

    2막

  17.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3634 

  18.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19. 대통령의 글쓰기

  20. 신의 입자를 찾아서

  21. 저항의 인문학

  22. 만지고 싶은 기분

  23. 단순한 기쁨

  24.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25. 휠체어는 나의 날개

  26. [백북스시즌2 책밤49] 생명이란 무엇인가

  27.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28. 착한인생

  29. No Image 25May
    by 관리자
    2004/05/25 by 관리자
    Views 3831 

    유인원과의 산책

  30. 고수기행

  31. 기억을 찾아서

  32.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3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35. No Image 21Apr
    by 관리자
    2004/04/21 by 관리자
    Views 3870 

    이브의 일곱 딸들

  36. 반 룬의 예술사

  37. 시각과 예술

  38. 테마 현대미술 노트

  39. No Image 24Aug
    by 관리자
    2005/08/24 by 관리자
    Views 4409 

    돈, 섹스, 권력

  40.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