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8.09.10 15:56

신의 입자를 찾아서

조회 수 55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50
저자 이종필
출판사 마티
발표자 이종필 박사
일자 2008-09-2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으며, 21세기의 바벨탑이자 판도라의 상자, '긴에 대한 도전'이라 불리는 대형강입자충돌기(LHC)에 인류가 쏟은 열정의 기록이자 바벨탑에 오르기 위한 최소한의 안내서이다. 저자는 물리학의 어려운 공식과 전공 지식들이 수놓아져 있을 것만 같은 이 내용을 '술자리 이야기'처럼 스토리로 풀어놓고자 노력하였다.

LHC는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을 넘나들며 지하 100미터에 건설된 LHC는 둘레가 무려 27킬로미터에 달하는 지구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이며, 그 안에 설치된 검출기 역시 단일 장치(device)로는 지구 최대의 규모이다. 역설적이게도 지상 최대의 구조물 가운데 하나인 LHC는 지구 아니 우주에서 가장 작은 물질을 발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LHC의 가동을 둘러싼 논의와 관심은 이미 과학의 범주를 넘어선 것이다. 우주의 생성 원리를 밝혀냄으로써 신의 영역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견해에서, 지상에서 빅뱅을 재현함으로써 지구 전체를 삼켜버릴 블랙홀을 만들게 될 것이라는 종말론(인터넷에서 지구붕괴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에 이르기까지. 과학자들에 따르면 지구 붕괴는 전혀 근거가 없는 낭설일 뿐이지만, LHC의 실험 결과가 과학자들의 예상과 어긋난다면 적어도 물리학의 이론은 완전히 새로 씌어져야 한다. 이 책은 이처럼 중대한 의미를 띄고 있는 실험을 가능케한 배경과 그 원리 등을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이종필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나 초·중·고교를 나왔다. 1990년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해 학생운동에 전념하며 학부시절을 보냈다. 1995년 동대학원에 입학하여 2001년 입자물리를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5월 이후 현재까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고등과학원(KIAS) 물리학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섭동론적/비섭동론적 강력, 유효이론, 무거운 중입자의 성질, B-입자의 성질, 비입자의 성질 등을 연구하여 약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약전기 대칭성 깨짐 등으로 연구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스티븐 와인버그의 『최종이론의 꿈』을 번역했다. http://ohmyphysica.tistory.com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들어가며

1장 대충돌
인류 역사상 최고의 이벤트 | 인터넷의 고향 | 가속기의 가치 | LHC 대 SSC | 인간이 만든 가장 정밀한 기계 | 숫자 읽기 | 단위를 알면 물리가 보인다

2장 태초의 수수께끼
원초적 질문 | 깨지지 않는 무엇 | 돌턴의 원자모형 | 원자는 깨진다 | 톰슨의 원자모형 | 전하량의 크기 | 밀리컨의 실험,조작인가 오해인가? | 리더퍼드의 등장 | 화장지에 튕겨나간 포탄 | 리더퍼드의 원자모형 | 몇 가지 문제들 | 보어의 원자모형

3장 미시세계에서 일어난 혁명
양자역학 | 혁명의 시작,양자역학의 출발 | 역사를 바꾼 곡선 | 막스 플랑크, 문제를 해결하다 | 불연속과 덩어리 | 광전효과 | 역시 아인슈타인 | 물질파 | 입자-파동의 이중성 | 전자도 파동? |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 또 한 명의 천재 디랙 | 불확정성 원리 | 자연은 원래 그렇다 | 사발을 뚫고 나가는 구슬 | 양자역학의 공리들 | 그렇다면 이중슬릿은? | 슈뢰딩거 고양이 | EPR 모순 | 양자역학과 고전역학의 관계

4장 또 다른 혁명
인류의 수퍼스타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 | 상대성 원리의 역사 | 에테르는 어디에? | 특수상대론의 첫 번째 가설 | 두 번째 가설 | 상대론의 결과 | 시간의 팽창 | 길이의 수축 | 쌍둥이 모순 | E=mc²| 상대론에 관한 오해 | 일반상대론 이론 | 일반상대론의 기본원리 | 중력이론으로서의 일반상대론 | 가장 아름다운 방정식 | 우주상수 | 슈바르츠실트의 해 | 검은 구멍

5장 우리는 지금 어디에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결합 | 보존과 페르미온 | 네 가지 힘 | 인류의 가장 정밀한 이론 | 게이지 이론의 등장 | 질량을 만들어내다 | 표준모형으로 가는 길 | 양자색소동역학과 표준모형의 완성 | 입자-반입자 | 신은 왼손잡이? | 신비의 입자,중성미자 | 쿼크와 접착자 | 왜 하필 3인가? | 신의 입자는 어디에? | 못다 핀 무궁화꽃 | 표준모형,물리이론의 끝인가

나오며
참고문헌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 목록
찾아보기









• 책속으로
 










“장소는 유럽의 한가운데 제네바. 시기는 서기 2008년 7월, 대결을 펼치는 주인공은 모든 물질의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 경기가 펼쳐지는 스타디움은 지구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 --- 1장 「대충돌」 중에서

“세상이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에 대한 답으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무엇을 생각해낸 건 어찌보면 당연하다. … 세상이 아무리 복잡해 보여도 결국 우주만물은 몇 종류의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 2장 「태초의 수수께끼」 중에서

“불확정성 원리로 인해 절대적인 진리가 불가능해졌다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진리의 실체(예컨대 파동함수)를 발견한 것은 아닐까? 양자역학에 기반한 현대 물리학과 현대과학은 역설적이게도 전례 없는 정밀도를 자랑하며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 3장 「미시세계에서 일어난 혁명」 중에서

“갑돌이는 지상에 남아 있고 갑순이는 비행기를 타고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날아가고 있다. 갑돌이가 보기에, 갑돌이 머리카락이 2밀리미터 자라는 동안 갑순이 머리카락은 1밀리미터 자란다. … 정말로 갑순이는 갑돌이가 봤을 때 ‘덜 늙는다!’” --- 4장 「또 다른 혁명」 중에서

“그렇게 훗날 (운이 좋다면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마침내 ‘우주를 창조할 때 신에게 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있었는지’ 우리가 알게 된다면, 그날의 역사가는 21세기의 바빌론을 이렇게 기억할 것이다. 서기 2008년, 여기 위대한 도전에 나선 인간들이 있었다고.” --- 5장 「우리는 지금 어디에」 중에서




 









• 출판사 리뷰
 









전 세계 과학계의 이목이 9월 10일에 집중되고 있다. 지난 달 완공된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가 드디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을 넘나들며 지하 100미터에 건설된 LHC는 둘레가 무려 27킬로미터에 달하는 지구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이며, 그 안에 설치된 검출기 역시 단일 장치(device)로는 지구 최대의 규모이다.

 

역설적이게도 지상 최대의 구조물 가운데 하나인 LHC는 지구 아니 우주에서 가장 작은 물질을 발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류 최대의 물리학 실험을 앞두고 그 비중만큼이나 여러 가지 추측과 예상이 쏟아지고 있다. LHC의 가동을 둘러싼 논의와 관심은 이마 과학의 범주를 넘어선 것이다.

 

우주의 생성 원리를 밝혀냄으로써 신의 영역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견해에서, 지상에서 빅뱅을 재현함으로써 지구 전체를 삼켜버릴 블랙홀을 만들게 될 것이라는 종말론(인터넷에서 지구붕괴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에 이르기까지. 과학자들에 따르면 지구 붕괴는 전혀 근거가 없는 낭설일 뿐이지만, LHC의 실험 결과가 과학자들의 예상과 어긋난다면 적어도 물리학의 이론은 완전히 새로 씌어져야 한다. 전세계가 주목하는 것도, LHC가 21세기의 바벨탑이자 판도라의 상자로 불리는 까닭도 이 때문이다.

 

『신의 입자를 찾아서』는 바로 이 바벨탑을 쌓기 위해 인류가 쏟은 열정의 기록이자 바벨탑에 오르기 위한 최소한의 안내서이다.

속이 궁금하면 깨보아야 한다.
입자가속기는 잘 알려진 대로 입자를 충돌시켜 깨뜨려보는 것이다. 속이 궁금하면 깨보아야 하는 법,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입자도 예외는 아니다. 저자는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크고 100미터 위를 지나가는 고속철도의 영향을 받을 만큼 예민한 호두까기인 LHC도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호기심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말한다.

 

또 이 호기심을 풀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연구하고 있는지를 강조한다. 이 공동의 노력, 정보의 공유를 위해 탄생한 서출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세상을 바꾼 인터넷이라는 것이다. 세계 최초의 웹사이트 주소는 다름 아닌 “info.cern.ch”였다.(23쪽)

아톰은 깨진다.
정규교과 과정을 이수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세상의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안다. 근대적인 원자론은 19세기 초 영국의 돌턴에 의해 확립되지만, 저자는 세상 만물이 몇 가지의 근원적인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생각(환원주의)은 그리스 자연철학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한다.


말 뜻 그대로 깨어지지 않는 것이라고 원자 안에 더 작은 입자들이 있음을 밝혀내는 과정(양자 역학에 이르고 입자 가속기로 나아가게 되는)을 저자는 당대의 실험들을 소개하면서 설명한다. 저자는 이 위대한 발견의 과정이 순전히 과학적 지식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세기의 과학적 발견에는 언제나 인문학적?미학적 상상력 혹은 믿음이 함께 있었다. 전하량의 크기를 밝혀낸 밀리컨은 자신의 실험 결과를 통해 “자연계에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전하량이 존재한다”고 결론지은 것이 아니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전하량은 어떤 기본 전하량의 정수배로만 존재한다”는 밀리컨의 믿음이 자신의 실험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시킬 수 있었다는 것이다.(54쪽) 이어 “화장지를 튕겨나오는 포탄” 등의 예를 통해 원자가 전자와 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혀낸 과정을 설명한다.

미시세계의 혁명
원자가 쪼개진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미시 세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 미시 세계는 양자역학으로 설명된다. 저자는 양자역학이란 “덩어리 진 것들의 상태와 운동에 관한 학문”이라고 말한다. 덩어리져 있다는 이야기는 불연속적이란 이야기이다.

 

“명절 때 고속도로의 귀성 차량행렬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하나의 거대한 줄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가보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불연속적인 차량들의 행렬일 뿐인 것과 같다.”(71쪽) 이와 마찬가지로 원자의 반경도 전자가 특정한 궤도에만 존재하기에 불연속적이다.

 

20세기 초부터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 과학적 발견, 고전 물리학의 체계를 넘어선 새로운 혁명의 과정을 『신의 입자를 찾아서』는 당시의 실험을 평이한 언어로 설명해 간다.(73~123쪽)
양자역학의 불확정성의 원리가 종종 지나치게 확대해석 되어 우리가 정확히 알 수 있는 진리란 없다는 주장을 이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저자는 양자역학은 결코 진리에 대한 의구심으로 귀결되지 않는다며 이런 근본적인 회의를 경계한다. “양자역학의 진리라는 개념이 고전적인 의미의 진리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불확정성 원리로 인해 절대적인 진리가 불가능해졌다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진리의 실체(예컨대 파동함수)를 발견한 것은 아닐까? 양자역학에 기반한 현대 물리학과 현대과학은 역설적이게도 전례 없는 정밀도를 자랑하며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107쪽)

거인의 족적을 좇아서
양자역학과 함께 현대 과학 혁명을 이끈 상대성이론은 양자역학과 여러 가지 면에서 대조적이다. 양자역학이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서 발전되어 왔다면, 상대성 이론은 거의 아인슈타인 단 한 사람에 의해 완성되었다. 또 양자역학이 전자의 반경이라는 아주 짧은 거리를 다루는 학문인데 반해, 상대성이론은 빛의 속도라는 아주 큰 물리적 계를 대상으로 삼는 점에서도 대조적이다.

 

저자는 아인슈타인 이전의 상대론까지 거슬러 올라가 상대론의 역사적 유래를 살핀 다음,(134쪽) “열차 속의 테러리스트”라는 설정(151~154쪽)과 유명한 쌍둥이 모순(166~169쪽)을 통해 상대성이론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

 


저자는 LHC 가동되면 블랙홀이 만들어져 전 세계가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가 파멸할 것이라는 일부의 우려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LHC 안정성 사정집단’의 보고서를 근거로 이런 우려가 지나친 것임을 밝힌다. “안정성의 근거로 보고서는 우주선(cosmic ray: 우주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에너지의 입자흐름)이 지구나 태양 등 다른 천체와 충돌하는 비율을 들고 있다.

 

 강력한 우주서는 LHC보다 훨씬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보고서는 LHC에서 예상되는 가속입자들의 충돌횟수보다 매초 약 10조배나 많은 횟수의 충돌이 고에너지 우주선과 천체들 사이에서 일어난다고 추정했다. … 그럼에도 우리가 관측하는 모든 행성과 별과 은하 등이 매우 안정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LHC 실험이 지구에 큰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결론내린다.”(205~206쪽)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신의 입자를 찾아서』 마지막 장에서는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기반으로 해 발전되어 온 현대물리학의 최전선에 대해 소개한다. 보존과 페르미온, 게이지 이론, 힉스 장 등을 설명한 뒤 저자는 1960년대에 구축된 표준모형으로 독자들을 이끈다.(227쪽 이하)

 

저자는 여기서 인류의 가장 원초적인 호기심을 환기시킨다. “표준 모형은 지금 현재 인류가 ‘이 세상은 도대체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에 대한 답으로 제시한, 역사상 가장 모범적인 답안이다.

 

그 모범답안에 들어 있는 입자들은 페르미온인 경입자 6개, 역시 페르미온인 쿼크 6개 그리고 힘을 매개하는 게이지 보존 5개, 그리고 힉스 보존 1개이다.”(254쪽) 이 모두가 발견되었는데, 오직 하나 힉스 보존만이 발견되지 않은 것이다.

 

신의 입자로 불리는 바로 이 힉스 보존을 발견하기 위해 세계 최대의 입자가속기 LHC가 오는 9월에 가동되는 것이다. 예상대로 “‘신의 입자’를 발견하게 된다면, 신에 대한 도전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인류는 자연의 내면에 숨겨진 그 작동 원리를 밝혀내는 데에 새로운 획을 그을 것이다.”(257쪽)

위대한 도전의 시작 앞에서
저자는 LHC 실험이 17세기 뉴턴의 고전역학과 함께 시작된 첫 번째 과학혁명과 20세기 초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이 이끈 두 번째 과학혁명에 이어 새로운 과학 혁명의 시발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진단한다. “2008년 현재 물리학이 처한 상황을 「인디애나 존스」 식으로 말하자면 성배가 숨겨진 곳으로 안내하는 지도가 안전하게 보관된 육중한 보물상자가 그 개봉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이 보물상자를 발견한지 어언 40년이 지났지만 여태 이 상자를 열어볼 수 있는 방법이 우리에게 없었다. 이제 과학자들이 수년에 걸쳐 이 상자를 열어 볼 강력한 도구를 만들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270쪽) 많은 과학자들의 기대대로 이 보물지도가 인류를 성배로 이끌지는 아직은 아무도 확실히 말할 수는 없지만, 한 가지는 확실해 보인다.

 

“마침내 ‘우주를 창조할 때 신에게 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있었는지’ 우리가 알게 된다면, 그날의 역사가는 21세기의 바빌론을 이렇게 기억할 것이다. 서기 2008년, 여기 위대한 도전에 나선 인간들이 있었다고.”(271쪽)

저자 이종필은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고등과학원(KIAS) 물리학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의 흐름과 곧 발표될 LHC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신의 입자를 찾아서』 2권을 준비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0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28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99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398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29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397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29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396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5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4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3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35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392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391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4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390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9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88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387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49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386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85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1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384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2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3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82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58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1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0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80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79 44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2]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file 조수윤 2022.03.29 361 하미나 동아시아 책밤지기 : 정인경 작가 2022-04-12 이도저도 오후 7:15
378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3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377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64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6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5 46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file 조수윤 2023.02.15 365 앤드루 포터 문학동네 책밤지기 : 박혜진 문학평론가 2023-02-28 이도저도 오후 7:15
374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373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0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2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1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1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0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9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368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1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7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4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6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5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8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364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3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362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1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