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8.08.13 15:31

그림같은 세상

조회 수 552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48
저자 황경신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황경신
일자 2008-08-26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황경신1965년 부산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89년 서울문화사에 입사하여 '무크' 기자로, 1992년에는 디자인하우스의 '행복이 가득한 집' 취재기자, '이브' 수석기자로 활동했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월간 PAPER의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나는 정말 그를 만난 것일까』 『나는 하나의 레몬에서 시작되었다』 『솜이의 종이피아노』 『모두에게 해피엔딩』 『그림 같은 세상』 『초콜릿 우체국』 『괜찮아, 그곳에선 시간도 길을 잃어』 『슬프지만 안녕』 등의 책을 펴냈다.









 

책소개










페이퍼(Paper) 편집장 황경신의 그림 에세이. 22명의 화가와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봄, 여름, 가울, 겨울 로 나눠 실었다.


'봄'에는 클림트, 레비탄, 마티스, 모네, 쇠라, 파브리티위스가, '여름'에는 코로, 해섬, 시슬레, 클레, 마그리트, 비어슈타트가, '가을'에는 뭉크, 고흐, 피사로, 휘슬러, 터너, 로트레크가, '겨울'에는 베르메르, 피카소, 이중섭이 다뤄졌다.


저자 특유의 섬세하고 감성적인 글솜씨가 두드러진 편안한 미술 에세이.

















1. 봄
구스타브 클림트 - 참을 수 없는 봄의 가벼움
아이삭 레비탄 - 흐리고 어두운 날
앙리 마티스 - 좋은 일은 창 너머에서 온다
클로드 모네 - 모네의 정원에 비가 내리다
조르주 쇠라 - 소풍
마르크 샤갈 - 달에게 날아간 화가
카렐 파브리티위스 -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

2. 여름
장 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 추억을 초여름처럼 투명하다
차일드 해섬 - 비밀의 화원
알프레드 시슬레 - 꿈의 기억
파울 클레 - 밤의 회색으로부터 한 번 나타나다
르네 마그리트 - 초현실주의자의 그림을 보는 방법
알베르트 비어슈타트 - 빛 그리고 그림자

3. 가을
에드바르드 뭉크 - 누가 그녀를 데리고 갔나
빈센트 반 고흐 - 별이 빛나는 고흐의 밤
카미유 피사로 - 숨길 수 없다
제임스 맥닐 휘슬러 - 밤의 마을
조셉 말로드 윌리엄 터너 - 세계의 끝이 시작되는 곳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 물랑루즈의 즉흥곡

4. 겨울
얀 베르메르 -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쓴다
파블로 피카소 - 피카소의 마지막 이야기
이중섭 - 묶인 새

5. 인터뷰 - 화가 홍순명에게 물었다, 나도 그림에 대해 말할 수 있냐고

6. 추천의 글 - 멋대로 구경하고 멋대로 느끼기

 




 









• 출판사 리뷰
 








월간 'PAPER'의 편집장 황경신의 그림 에세이

황경신의 『그림 같은 세상』은 지은이 특유의 톡톡 튀는 문체와 감성적인 글쓰기로 길어낸 내밀한 마음의 풍경화이다. 그녀는 미술사적인 지식에 기대지 않고 최대한 자신의 감수성과 추억에 의지하여 22명 화가들의 삶과 그림 속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림처럼 아름다울 수 없는 세상에서, 그림을 통해 '그림 같은 세상'을 꿈꾼다. 그 꿈은 더 나아가 독자의 꿈을 일깨워주며, 그림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도 그림을 좋아할 수 있고, 그것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은이가 만난 22명의 화가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어져 있다. '봄'의 장에는 클림트, 레비탄, 마티스, 모네, 쇠라, 파브리티위스를, '여름'의 장에는 코로, 해섬, 시슬레, 클레, 마그리트, 비어슈타트를, '가을'의 장에는 뭉크, 고흐, 피사로, 휘슬러, 터너, 로트레크를, '겨울'의 장에는 베르메르, 피카소, 이중섭의 그림을 각각 담았다.


이 책은 황경신의 에세이와 관련 작가의 그림, 그리고 'little more'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글에는 작가의 관련 그림과 단상을 추가하여 감동의 여운을 더해주는가 하면, 각 글마다 첨가된 'little more'는 편지의 p.s.처럼 읽는 재미가 있다.

 

또한 본문 말미에는 화가 홍순명과 함께 "왜 누구나 그림과 친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실어, 황경신의 그림에 대한 생각을 보다 뚜렷하게 전달하고 있다.

멋대로 구경하고 멋대로 느낀 22명의 화가
섬세한 감성으로 화가들의 삶과 그 내면을 응시하는 지은이의 독특한 '그림 바라보기'는 한마디로 "멋대로 구경하고 멋대로 느끼기"(김원, PAPER 아트디렉터)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선택한 그림들부터 일반적으로 소개되는 명작들과는 거리가 있다. '클림트' 하면, 누구나 금박의 장식이 요란한 「키스」나 「유디트」 등을 떠올리지만, 지은이가 선택한 그림은 「아테르제 호수의 섬」처럼 담백하고 고요하기만 한 풍경화들이다.


피카소의 그림 중에서는 유독 피카소가 8살에 그렸다고 하는 「피카도르」에 주목한다. 이를테면 고흐를 얘기하더라도 「해바라기」가 아니라 「몽마르트르」 같은 전혀 다른 각도에서 고흐를 볼 수 있는 그림을 얘기하는 것이다. 선택한 화가들 역시도 평범하지 않다.

 

레비탄이라는 러시아 화가는 어지간히 미술사를 꿰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생소하기만 한 작가이다. 미국의 장대한 풍경을 그린 비어슈타트나 미국의 인상파 화가인 해섬, 렘브란트의 수제자이자 베르메르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던 카렐 파브리티위스 같은 작가들 역시도 쉽게 만나보기 힘든 작가들이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은이의 이와 같은 그림 선택은 그녀가 '그림을 감상하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그녀의 감상법은 통상적인 미술사 지식을 늘어놓는다거나 단지 그림이 주는 느낌만을 챙기는 인상적인 감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녀의 감상법은 훨씬 더 주관적이고 내밀하다. 때로 그것은 기행문이기도 하며, 미처 보내지 못했던 편지이기도 하고, 혼자 울음을 터뜨리는 독백이기도 하다.


예컨대 지은이가 비어슈타트를 좋아하게 된 것은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다녀오고 나서이다. 장대한 자연 앞에 느꼈던 경이감을 그의 그림 속에서 다시 발견했기 때문이다.

 

베르메르의 「열린 창가에서 편지를 읽고 있는 소녀」의 모습에는 한때 애를 태우던 사람에게 보내지 못했던 마지막 편지가 오버랩된다. 피카소의 그림을 보면서는 폴 메카트니가 더스틴 호프만의 요청으로 작곡했다고 하는 「피카소의 마지막 이야기」라는 노래를 흥얼거리기도 한다.

 

파브리티위스의 「황금방울새」라는 그림 앞에서는 자크 프레베르의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이라는 시가 그 그림을 보고 쓴 것이 아닐까라는 상상을 펼치기도 한다.
김원은 지은이의 '그림 보기'가 이처럼 자기 마음대로, 자기 멋대로인데도 불구하고 그 속에 어떤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참 신통하다고 말한다.

 

마치 자신의 얘기를 하고 있는 것 같기만 실은 누구보다도 그 그림의 중심에 서서 자신에게 '말을 걸어오는' 그림에 다가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은 춤을 배우는 것과 같다!
책 말미에 실린 지은이와 홍순명의 인터뷰를 읽다 보면 그림은 마치 춤을 배우는 것과 같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나도 그림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라는 지은이의 도발적인 물음으로 시작하는 이 인터뷰에서 홍순명은 춤의 본산지에서는 우선 음악을 틀고, 무조건 춤을 추다가 음악이 몸 속에 들어왔을 때 비로소 춤의 스텝을 배운다고 말한다.

 

그림 역시도 우선 좋아하게 되고 그게 즐거워질 때 그림의 형식적 이론을 알아도 늦지 않다는 것이다.


즉, 미술사적인 배경 지식 없이도 "누구나 그림과 친해질 수 있고 누구나 그림을 보고 감동받을 수 있으며 누구나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황경신의 전제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그녀가 안내하는 대로, 마치 그녀의 일기를 읽어나가듯이 읽어내리다 보면, 어느새 독자들은 그림의 훨씬 가까운 곳에 도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며, 자신만의 그림보기 방식에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 ?
    임유정 2008.08.13 15:31
    무척 흥미로운 토론회가 될것 같습니다. 기대됩니다.^^
  • ?
    김인태 2008.08.13 15:31
    음.. 흥미로운 듯..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0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57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9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58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8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46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7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176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6 413 문학예술 노인과 바다 2 file 조수윤 2020.10.28 299 어니스트 헤밍웨이 민음사 이정원(대전 백북스) 2020-11-10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5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4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2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3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2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1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0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0 306 문학예술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file 이정원 2015.04.20 1117 허나영 미진사 저자 허나영 2015-04-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9 34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file 이근완 2016.10.29 252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2016-11-0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8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3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7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86 338 기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1 file 관리자 2016.09.26 321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황소자리 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2016-09-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5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0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4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0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3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82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81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8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0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16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9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8 334 인문사회 파격의 고전 file 이근완 2016.07.06 544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2016-07-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7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6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6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5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4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3 344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이근완 2016.12.20 290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2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3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1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0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9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8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7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6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5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64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63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1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62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1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1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1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