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8.08.13 15:31

그림같은 세상

조회 수 552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48
저자 황경신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황경신
일자 2008-08-26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황경신1965년 부산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89년 서울문화사에 입사하여 '무크' 기자로, 1992년에는 디자인하우스의 '행복이 가득한 집' 취재기자, '이브' 수석기자로 활동했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월간 PAPER의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나는 정말 그를 만난 것일까』 『나는 하나의 레몬에서 시작되었다』 『솜이의 종이피아노』 『모두에게 해피엔딩』 『그림 같은 세상』 『초콜릿 우체국』 『괜찮아, 그곳에선 시간도 길을 잃어』 『슬프지만 안녕』 등의 책을 펴냈다.









 

책소개










페이퍼(Paper) 편집장 황경신의 그림 에세이. 22명의 화가와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봄, 여름, 가울, 겨울 로 나눠 실었다.


'봄'에는 클림트, 레비탄, 마티스, 모네, 쇠라, 파브리티위스가, '여름'에는 코로, 해섬, 시슬레, 클레, 마그리트, 비어슈타트가, '가을'에는 뭉크, 고흐, 피사로, 휘슬러, 터너, 로트레크가, '겨울'에는 베르메르, 피카소, 이중섭이 다뤄졌다.


저자 특유의 섬세하고 감성적인 글솜씨가 두드러진 편안한 미술 에세이.

















1. 봄
구스타브 클림트 - 참을 수 없는 봄의 가벼움
아이삭 레비탄 - 흐리고 어두운 날
앙리 마티스 - 좋은 일은 창 너머에서 온다
클로드 모네 - 모네의 정원에 비가 내리다
조르주 쇠라 - 소풍
마르크 샤갈 - 달에게 날아간 화가
카렐 파브리티위스 -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

2. 여름
장 밥티스트 카미유 코로 - 추억을 초여름처럼 투명하다
차일드 해섬 - 비밀의 화원
알프레드 시슬레 - 꿈의 기억
파울 클레 - 밤의 회색으로부터 한 번 나타나다
르네 마그리트 - 초현실주의자의 그림을 보는 방법
알베르트 비어슈타트 - 빛 그리고 그림자

3. 가을
에드바르드 뭉크 - 누가 그녀를 데리고 갔나
빈센트 반 고흐 - 별이 빛나는 고흐의 밤
카미유 피사로 - 숨길 수 없다
제임스 맥닐 휘슬러 - 밤의 마을
조셉 말로드 윌리엄 터너 - 세계의 끝이 시작되는 곳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 물랑루즈의 즉흥곡

4. 겨울
얀 베르메르 -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쓴다
파블로 피카소 - 피카소의 마지막 이야기
이중섭 - 묶인 새

5. 인터뷰 - 화가 홍순명에게 물었다, 나도 그림에 대해 말할 수 있냐고

6. 추천의 글 - 멋대로 구경하고 멋대로 느끼기

 




 









• 출판사 리뷰
 








월간 'PAPER'의 편집장 황경신의 그림 에세이

황경신의 『그림 같은 세상』은 지은이 특유의 톡톡 튀는 문체와 감성적인 글쓰기로 길어낸 내밀한 마음의 풍경화이다. 그녀는 미술사적인 지식에 기대지 않고 최대한 자신의 감수성과 추억에 의지하여 22명 화가들의 삶과 그림 속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림처럼 아름다울 수 없는 세상에서, 그림을 통해 '그림 같은 세상'을 꿈꾼다. 그 꿈은 더 나아가 독자의 꿈을 일깨워주며, 그림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도 그림을 좋아할 수 있고, 그것에 대해 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은이가 만난 22명의 화가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어져 있다. '봄'의 장에는 클림트, 레비탄, 마티스, 모네, 쇠라, 파브리티위스를, '여름'의 장에는 코로, 해섬, 시슬레, 클레, 마그리트, 비어슈타트를, '가을'의 장에는 뭉크, 고흐, 피사로, 휘슬러, 터너, 로트레크를, '겨울'의 장에는 베르메르, 피카소, 이중섭의 그림을 각각 담았다.


이 책은 황경신의 에세이와 관련 작가의 그림, 그리고 'little more'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글에는 작가의 관련 그림과 단상을 추가하여 감동의 여운을 더해주는가 하면, 각 글마다 첨가된 'little more'는 편지의 p.s.처럼 읽는 재미가 있다.

 

또한 본문 말미에는 화가 홍순명과 함께 "왜 누구나 그림과 친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실어, 황경신의 그림에 대한 생각을 보다 뚜렷하게 전달하고 있다.

멋대로 구경하고 멋대로 느낀 22명의 화가
섬세한 감성으로 화가들의 삶과 그 내면을 응시하는 지은이의 독특한 '그림 바라보기'는 한마디로 "멋대로 구경하고 멋대로 느끼기"(김원, PAPER 아트디렉터)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선택한 그림들부터 일반적으로 소개되는 명작들과는 거리가 있다. '클림트' 하면, 누구나 금박의 장식이 요란한 「키스」나 「유디트」 등을 떠올리지만, 지은이가 선택한 그림은 「아테르제 호수의 섬」처럼 담백하고 고요하기만 한 풍경화들이다.


피카소의 그림 중에서는 유독 피카소가 8살에 그렸다고 하는 「피카도르」에 주목한다. 이를테면 고흐를 얘기하더라도 「해바라기」가 아니라 「몽마르트르」 같은 전혀 다른 각도에서 고흐를 볼 수 있는 그림을 얘기하는 것이다. 선택한 화가들 역시도 평범하지 않다.

 

레비탄이라는 러시아 화가는 어지간히 미술사를 꿰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생소하기만 한 작가이다. 미국의 장대한 풍경을 그린 비어슈타트나 미국의 인상파 화가인 해섬, 렘브란트의 수제자이자 베르메르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던 카렐 파브리티위스 같은 작가들 역시도 쉽게 만나보기 힘든 작가들이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은이의 이와 같은 그림 선택은 그녀가 '그림을 감상하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그녀의 감상법은 통상적인 미술사 지식을 늘어놓는다거나 단지 그림이 주는 느낌만을 챙기는 인상적인 감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녀의 감상법은 훨씬 더 주관적이고 내밀하다. 때로 그것은 기행문이기도 하며, 미처 보내지 못했던 편지이기도 하고, 혼자 울음을 터뜨리는 독백이기도 하다.


예컨대 지은이가 비어슈타트를 좋아하게 된 것은 안나푸르나 트레킹을 다녀오고 나서이다. 장대한 자연 앞에 느꼈던 경이감을 그의 그림 속에서 다시 발견했기 때문이다.

 

베르메르의 「열린 창가에서 편지를 읽고 있는 소녀」의 모습에는 한때 애를 태우던 사람에게 보내지 못했던 마지막 편지가 오버랩된다. 피카소의 그림을 보면서는 폴 메카트니가 더스틴 호프만의 요청으로 작곡했다고 하는 「피카소의 마지막 이야기」라는 노래를 흥얼거리기도 한다.

 

파브리티위스의 「황금방울새」라는 그림 앞에서는 자크 프레베르의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이라는 시가 그 그림을 보고 쓴 것이 아닐까라는 상상을 펼치기도 한다.
김원은 지은이의 '그림 보기'가 이처럼 자기 마음대로, 자기 멋대로인데도 불구하고 그 속에 어떤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참 신통하다고 말한다.

 

마치 자신의 얘기를 하고 있는 것 같기만 실은 누구보다도 그 그림의 중심에 서서 자신에게 '말을 걸어오는' 그림에 다가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은 춤을 배우는 것과 같다!
책 말미에 실린 지은이와 홍순명의 인터뷰를 읽다 보면 그림은 마치 춤을 배우는 것과 같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나도 그림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라는 지은이의 도발적인 물음으로 시작하는 이 인터뷰에서 홍순명은 춤의 본산지에서는 우선 음악을 틀고, 무조건 춤을 추다가 음악이 몸 속에 들어왔을 때 비로소 춤의 스텝을 배운다고 말한다.

 

그림 역시도 우선 좋아하게 되고 그게 즐거워질 때 그림의 형식적 이론을 알아도 늦지 않다는 것이다.


즉, 미술사적인 배경 지식 없이도 "누구나 그림과 친해질 수 있고 누구나 그림을 보고 감동받을 수 있으며 누구나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황경신의 전제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그녀가 안내하는 대로, 마치 그녀의 일기를 읽어나가듯이 읽어내리다 보면, 어느새 독자들은 그림의 훨씬 가까운 곳에 도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며, 자신만의 그림보기 방식에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 ?
    임유정 2008.08.13 15:31
    무척 흥미로운 토론회가 될것 같습니다. 기대됩니다.^^
  • ?
    김인태 2008.08.13 15:31
    음.. 흥미로운 듯..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7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20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34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119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4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18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7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17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9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16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6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15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1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14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42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113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31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112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30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111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7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110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40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09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72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108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7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62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106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2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5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5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04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22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03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8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02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1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100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99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99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62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98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50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97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9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2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95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7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94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7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93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4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92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2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91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81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90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21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89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88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8003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87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41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86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3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85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50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84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5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83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6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82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3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