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8.03.12 17:44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조회 수 56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38
저자 김억중
출판사 동녘
발표자 김억중 교수
일자 2008-03-25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공간을 주제로 문학과 건축을 연결한 책. 문학 속에 등장하는 공간들을 담은 그림과 글이 한 페이지씩 짝을 이루고 있다.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는 건축가 김억중은, 이 책에서 문학 속 인물들의 삶에 몰입한다. 그들과 동감할 수 있는 삶의 기억들을 하나 둘 씩 꺼내다보면 어느새 그의 이야기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자연스레 다다른다.

"나는 삶의 진실이 몸에 밴 그들에게서 집이 무엇인지를 배우려 했으며 좋은 집은 어떠해야 하는지 대놓고 물어보려 했다. 그들은 집에 대한 꿈과 그리움, 절망 또는 억압과 상처를 어떻게 느끼고 견디어 내는지를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문학 속에 비쳐진 집의 모습은 영락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이었다. ... 그 속에는 집에 대한 이해, 가치와 사고방식이 리트머스 시험지에 묻힌 시약처럼 정직하게 녹아들어 있었으니, 문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었던 셈이다." - 본문 13쪽에서








김억중 - 1955년 대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신부화가인 큰형님에게 미술 수업을 받았다.


스위스 로잔에서 건축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폰 마이스 교수와 라 뮈니에르 교수, 건축가 마리오 보타를 만나 건축의 역사·이론·작품을 두루 탐험했고, 설계사무소의 견습생활을 거쳐 스위스 공인건축가 디플로마를 받았다.


한남대학교 건축과에 재직하면서 스튜디오 에이 앤드 유(A&U)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여는 글: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공간의 힘
공간은 무엇으로 말하는가
채우고 비우고
마음으로 쓰는 방
그대의 적멸보궁
수직과 수평으로 보는 풍경
유현의 세계에 빠져들다

  창, 세상을 열고 닫다
  달빛 밟기
  삶의 양식이 묻어나는 길과 집
  생활의 냄새
  방, 이승에서 저승까지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

 창 속의 내면풍경
 그대의 '독락당'
 외면할권리에 대하여
 아파트의 꿈
 형태는 '돈'을 따른다?
 벽돌 탄생의 비밀
 바람맞는 건축

    


나는 ‘건축과’에서 건축을 배우지 못했다
건축가 김억중. 처음부터 그는 건축가가 될 생각이 아니었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을 뿐이다. 학생시위가 난무하던 시절 탓에 제대로 수업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졸업을 하게 된 그때까지도 건축이란 그에게 그저 제도판 위에 반듯이 줄을 긋는 일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행운처럼 찾아온 유학길에서 그의 인생은 뒤바뀐다. 프랑스 파리에서 신부이자 화가인 큰형님에게 그림 수업을 받고, 다시 스위스로 건너가 건축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오로지 책과 씨름할 수밖에 없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그는 문학책에 푹 빠져 지낸다. 그리고 문학 속에 등장한 수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공간’이라는 존재를 접하면서 새로이 건축에 눈을 뜬다...

 

나는 ‘건축과’에서 건축을 배우지 못했다
건축가 김억중. 처음부터 그는 건축가가 될 생각이 아니었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을 뿐이다. 학생시위가 난무하던 시절 탓에 제대로 수업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졸업을 하게 된 그때까지도 건축이란 그에게 그저 제도판 위에 반듯이 줄을 긋는 일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행운처럼 찾아온 유학길에서 그의 인생은 뒤바뀐다. 프랑스 파리에서 신부이자 화가인 큰형님에게 그림 수업을 받고, 다시 스위스로 건너가 건축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오로지 책과 씨름할 수밖에 없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그는 문학책에 푹 빠져 지낸다.

 

그리고 문학 속에 등장한 수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공간’이라는 존재를 접하면서 새로이 건축에 눈을 뜬다. 문학 속 주인공들이 공간에 대해 느꼈던 정직한 고백들은 무뎌졌던 건축의 감각을 일깨워 주었고, 건축이란 어떤 의미를 지닌 공간인지 몸소 깨닫게 했다. ‘건축과’라는 제도권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동떨어진 대상을 통해 건축을 배운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문학’에 몰입하다
공간을 주제로 문학과 건축을 연결한 책은 그리 많지 않다. 같은 주제를 담은 책들 역시 대부분 문학의 배경이 된 공간을 ‘역사적인 현장’에서 바라본다. 본문에서 몇 문장을 인용하면서, “소설 속 주인공 00이 살고 있는 00동은 박정희 시대 당시 000사건이 일어났던...하는 식으로 배경이 된 시대에 초점을 맞춘다. 문학과 건축이 접할 수 있는 많은 지점들 중 역사 이야기만이 부각되는 것이다.


“문학 따로 건축 따로” 나눠져 진행되는 이야기 속에 문학 속 화자와의 소통은 단절되어 있다. 책장을 덮으며 ‘이 문학 작품이 어떤 시대를 배경으로 탄생했구나’ 하는 깨달음은 얻지만 문학 속 인물들의 감정과 느낌은 살갗에 다가오지 않는다. 문학을 ‘있는 그대로의 문학’으로 읽지 않고, 건축 이야기를 위한 소재로 가공했기 때문이다.

나는 문학 속의 집을 순례하면서 그 안에 기거하는 수많은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과 함께 기뻐했으며 슬퍼했고 때로는 분노하기도 했다. 나는 그들이 어렸을 적 행복해 했던 추억의 집에서부터 찌들려 소외된 삶을 살아가야만 하는 고통의 집에 이르기까지 어디든 함께 하고자 했다. -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13쪽


김억중의 ‘문학 읽기’가 반가운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는 문학 속 인물들의 삶에 몰입한다. 그들과 동감할 수 있는 삶의 기억들을 하나 둘 씩 꺼내다보면 어느새 그의 이야기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자연스레 다다른다. 임철우의 소설 <달빛 밟기>에 등장하는 ‘밤길을 걷는 주인공’들을 만났을 때, 김억중은 명절마다 어둔 밤길을 헤치고 찾아갔던 어린 시절 귀향길의 추억을 떠올린다.

 

밤새도록 함께 걸으며 복수심에 불타던 마음도, 오래도록 쌓인 증오의 감정도 용서로 승화시킨 소설 속 ‘달 밝은 밤길’의 오묘한 힘. 달이 빛나던 밤이면 도깨비에 홀린 듯 유난히 빨리 도착했던 귀향길의 추억은 소설 속 달빛의 힘과도 닿아있다. 그의 몸속에 공간에 대한 감각이 새로이 돋아나는 순간이다.

…… 달빛 때문이었을까? 신기하게도 그런 밤이면 그토록 멀게만 느껴졌던 길이 도깨비에 홀린 듯 어느새 동산골 어귀에 다다르곤 하였다. 지금도 나는 그 몽환의 길을 잊을 수가 없다. 그 가물가물했던 달빛의 여운을. -‘달빛 밟기’ 101쪽

…… 사내는 품에 지니고 있던 복수의 칼을 수면 아래 가만히 떨어뜨린다. 알고 보면 우리 모두 불쌍한 인간들이니 모두가 서로 요서하고 화해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깨달음과 함께 어느덧 밤골에 다다른다. 달빛의 위대한 힘이요 화엄의 세계다. -‘달빛 밟기’ 102쪽

문학 속에서 건축을 배우다
김억중은 은희경의 소설 '아내의 상자'에서 홀로 아파트에 남겨진 채 고통 받는 한 여인의 삶을 이렇게 묘사한다.

…… 세상으로부터 받은 상처에 웅크리며 살아가는 아내는 자고 나면 온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몸이 말라비틀어지거나 삐그덕 거린다고 하소연한다. 그녀에게 벽은 집안의 온갖 물을 다 빨아들이는 흡반처럼 느껴져 자신을 억압하는 존재일 뿐이다. -‘아파트의 꿈’ 177쪽

그는 이 여인의 몸과 아파트 공간 사이에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단순히 민감증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건축가의 예리한 눈으로 그녀가 살고 있는 아파트 공간 구조에 의심을 품는다.


- 효율만을 따져 획일적인 동선으로 마름질 된 공간 구조
- 자신만의 은밀한 공간을 가질 수 없이 사방으로 열린 ‘깊이 없는’ 공간 구조
문학 속에 등장한 한 여인의 삶을 통해 그는 아파트 공간에 비친 부정적인 단면을 온몸으로 발견한다. 그리고 성냥갑 찍어내듯 시멘트로 찍어낸 획일적인 아파트 풍경을 바라보며 그는 다짐한다. “기능도 중요하지만 정서적인 가치를 듬뿍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이렇듯 김억중은 문학 속에서 호흡하는 인물들의 삶을 거울삼아 자신에게 비춰보면서 그들이 울고 웃었던 공간을 함께 경험한다. 문학은 평범했던 그의 감성을 깨워 건축가의 눈을 가지도록 했으며, 어떠한 건축을 해야 하는지 답을 말해주기도 했다. 문학이 없었다면 지금의 건축가 김억중은 존재하지 않았으리라!

나는 삶의 진실이 몸에 밴 그들에게서 집이 무엇인지를 배우려 했으며 좋은 집은 어떠해야 하는지 대놓고 물어보려 했다. 그들은 집에 대한 꿈과 그리움, 절망 또는 억압과 상처를 어떻게 느끼고 견디어 내는지를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문학 속에 비쳐진 집의 모습은 영락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이었다. …… 그 속에는 집에 대한 이해, 가치와 사고방식이 리트머스 시험지에 묻힌 시약처럼 정직하게 녹아들어 있었으니, 문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었던 셈이다. -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13쪽

이제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는 김억중의 흥미로운 고백을 독자들이 확인할 차례다. 자신을 건축가로 만들어 주었던 문학의 세계, 건축과 문학이 만나는 자리로 초대하는 그의 목소리에 귀가 솔깃해진다.


그림이 된 문학
이 책은 그림과 글이 한 페이지씩 짝을 지어 구성되어 있다. 김억중은 자신만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학 속에 등장하는 공간들을 그림으로 옮겼다.
- 태어나서 죽기까지 한 사람의 인생사가 담긴 방
- 달빛으로 충만한 공간의 힘


말로 설명될 수 없는 공간의 의미와 개념들은 그의 그림 속에서 분명한 이미지로 표현된다.
김억중이 말하려고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들을 옮겨 놓은 이 그림을 보면서, 독자들은 문학과 건축이 만나는 지점을 즐거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81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3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80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50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9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5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478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21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477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8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6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81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5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40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474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83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3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6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472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30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471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8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0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54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9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72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468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7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467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95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466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61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5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88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64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40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463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9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2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61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7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0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4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9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5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458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22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7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2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6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55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454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62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3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5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52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6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51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6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50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9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5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8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71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7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9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46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7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5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40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4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9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3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7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2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6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