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8.03.12 17:44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조회 수 56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38
저자 김억중
출판사 동녘
발표자 김억중 교수
일자 2008-03-25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공간을 주제로 문학과 건축을 연결한 책. 문학 속에 등장하는 공간들을 담은 그림과 글이 한 페이지씩 짝을 이루고 있다.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는 건축가 김억중은, 이 책에서 문학 속 인물들의 삶에 몰입한다. 그들과 동감할 수 있는 삶의 기억들을 하나 둘 씩 꺼내다보면 어느새 그의 이야기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자연스레 다다른다.

"나는 삶의 진실이 몸에 밴 그들에게서 집이 무엇인지를 배우려 했으며 좋은 집은 어떠해야 하는지 대놓고 물어보려 했다. 그들은 집에 대한 꿈과 그리움, 절망 또는 억압과 상처를 어떻게 느끼고 견디어 내는지를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문학 속에 비쳐진 집의 모습은 영락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이었다. ... 그 속에는 집에 대한 이해, 가치와 사고방식이 리트머스 시험지에 묻힌 시약처럼 정직하게 녹아들어 있었으니, 문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었던 셈이다." - 본문 13쪽에서








김억중 - 1955년 대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신부화가인 큰형님에게 미술 수업을 받았다.


스위스 로잔에서 건축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폰 마이스 교수와 라 뮈니에르 교수, 건축가 마리오 보타를 만나 건축의 역사·이론·작품을 두루 탐험했고, 설계사무소의 견습생활을 거쳐 스위스 공인건축가 디플로마를 받았다.


한남대학교 건축과에 재직하면서 스튜디오 에이 앤드 유(A&U)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여는 글: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공간의 힘
공간은 무엇으로 말하는가
채우고 비우고
마음으로 쓰는 방
그대의 적멸보궁
수직과 수평으로 보는 풍경
유현의 세계에 빠져들다

  창, 세상을 열고 닫다
  달빛 밟기
  삶의 양식이 묻어나는 길과 집
  생활의 냄새
  방, 이승에서 저승까지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

 창 속의 내면풍경
 그대의 '독락당'
 외면할권리에 대하여
 아파트의 꿈
 형태는 '돈'을 따른다?
 벽돌 탄생의 비밀
 바람맞는 건축

    


나는 ‘건축과’에서 건축을 배우지 못했다
건축가 김억중. 처음부터 그는 건축가가 될 생각이 아니었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을 뿐이다. 학생시위가 난무하던 시절 탓에 제대로 수업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졸업을 하게 된 그때까지도 건축이란 그에게 그저 제도판 위에 반듯이 줄을 긋는 일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행운처럼 찾아온 유학길에서 그의 인생은 뒤바뀐다. 프랑스 파리에서 신부이자 화가인 큰형님에게 그림 수업을 받고, 다시 스위스로 건너가 건축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오로지 책과 씨름할 수밖에 없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그는 문학책에 푹 빠져 지낸다. 그리고 문학 속에 등장한 수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공간’이라는 존재를 접하면서 새로이 건축에 눈을 뜬다...

 

나는 ‘건축과’에서 건축을 배우지 못했다
건축가 김억중. 처음부터 그는 건축가가 될 생각이 아니었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을 뿐이다. 학생시위가 난무하던 시절 탓에 제대로 수업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졸업을 하게 된 그때까지도 건축이란 그에게 그저 제도판 위에 반듯이 줄을 긋는 일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행운처럼 찾아온 유학길에서 그의 인생은 뒤바뀐다. 프랑스 파리에서 신부이자 화가인 큰형님에게 그림 수업을 받고, 다시 스위스로 건너가 건축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오로지 책과 씨름할 수밖에 없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그는 문학책에 푹 빠져 지낸다.

 

그리고 문학 속에 등장한 수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공간’이라는 존재를 접하면서 새로이 건축에 눈을 뜬다. 문학 속 주인공들이 공간에 대해 느꼈던 정직한 고백들은 무뎌졌던 건축의 감각을 일깨워 주었고, 건축이란 어떤 의미를 지닌 공간인지 몸소 깨닫게 했다. ‘건축과’라는 제도권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동떨어진 대상을 통해 건축을 배운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문학’에 몰입하다
공간을 주제로 문학과 건축을 연결한 책은 그리 많지 않다. 같은 주제를 담은 책들 역시 대부분 문학의 배경이 된 공간을 ‘역사적인 현장’에서 바라본다. 본문에서 몇 문장을 인용하면서, “소설 속 주인공 00이 살고 있는 00동은 박정희 시대 당시 000사건이 일어났던...하는 식으로 배경이 된 시대에 초점을 맞춘다. 문학과 건축이 접할 수 있는 많은 지점들 중 역사 이야기만이 부각되는 것이다.


“문학 따로 건축 따로” 나눠져 진행되는 이야기 속에 문학 속 화자와의 소통은 단절되어 있다. 책장을 덮으며 ‘이 문학 작품이 어떤 시대를 배경으로 탄생했구나’ 하는 깨달음은 얻지만 문학 속 인물들의 감정과 느낌은 살갗에 다가오지 않는다. 문학을 ‘있는 그대로의 문학’으로 읽지 않고, 건축 이야기를 위한 소재로 가공했기 때문이다.

나는 문학 속의 집을 순례하면서 그 안에 기거하는 수많은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과 함께 기뻐했으며 슬퍼했고 때로는 분노하기도 했다. 나는 그들이 어렸을 적 행복해 했던 추억의 집에서부터 찌들려 소외된 삶을 살아가야만 하는 고통의 집에 이르기까지 어디든 함께 하고자 했다. -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13쪽


김억중의 ‘문학 읽기’가 반가운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는 문학 속 인물들의 삶에 몰입한다. 그들과 동감할 수 있는 삶의 기억들을 하나 둘 씩 꺼내다보면 어느새 그의 이야기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자연스레 다다른다. 임철우의 소설 <달빛 밟기>에 등장하는 ‘밤길을 걷는 주인공’들을 만났을 때, 김억중은 명절마다 어둔 밤길을 헤치고 찾아갔던 어린 시절 귀향길의 추억을 떠올린다.

 

밤새도록 함께 걸으며 복수심에 불타던 마음도, 오래도록 쌓인 증오의 감정도 용서로 승화시킨 소설 속 ‘달 밝은 밤길’의 오묘한 힘. 달이 빛나던 밤이면 도깨비에 홀린 듯 유난히 빨리 도착했던 귀향길의 추억은 소설 속 달빛의 힘과도 닿아있다. 그의 몸속에 공간에 대한 감각이 새로이 돋아나는 순간이다.

…… 달빛 때문이었을까? 신기하게도 그런 밤이면 그토록 멀게만 느껴졌던 길이 도깨비에 홀린 듯 어느새 동산골 어귀에 다다르곤 하였다. 지금도 나는 그 몽환의 길을 잊을 수가 없다. 그 가물가물했던 달빛의 여운을. -‘달빛 밟기’ 101쪽

…… 사내는 품에 지니고 있던 복수의 칼을 수면 아래 가만히 떨어뜨린다. 알고 보면 우리 모두 불쌍한 인간들이니 모두가 서로 요서하고 화해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깨달음과 함께 어느덧 밤골에 다다른다. 달빛의 위대한 힘이요 화엄의 세계다. -‘달빛 밟기’ 102쪽

문학 속에서 건축을 배우다
김억중은 은희경의 소설 '아내의 상자'에서 홀로 아파트에 남겨진 채 고통 받는 한 여인의 삶을 이렇게 묘사한다.

…… 세상으로부터 받은 상처에 웅크리며 살아가는 아내는 자고 나면 온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몸이 말라비틀어지거나 삐그덕 거린다고 하소연한다. 그녀에게 벽은 집안의 온갖 물을 다 빨아들이는 흡반처럼 느껴져 자신을 억압하는 존재일 뿐이다. -‘아파트의 꿈’ 177쪽

그는 이 여인의 몸과 아파트 공간 사이에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단순히 민감증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건축가의 예리한 눈으로 그녀가 살고 있는 아파트 공간 구조에 의심을 품는다.


- 효율만을 따져 획일적인 동선으로 마름질 된 공간 구조
- 자신만의 은밀한 공간을 가질 수 없이 사방으로 열린 ‘깊이 없는’ 공간 구조
문학 속에 등장한 한 여인의 삶을 통해 그는 아파트 공간에 비친 부정적인 단면을 온몸으로 발견한다. 그리고 성냥갑 찍어내듯 시멘트로 찍어낸 획일적인 아파트 풍경을 바라보며 그는 다짐한다. “기능도 중요하지만 정서적인 가치를 듬뿍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이렇듯 김억중은 문학 속에서 호흡하는 인물들의 삶을 거울삼아 자신에게 비춰보면서 그들이 울고 웃었던 공간을 함께 경험한다. 문학은 평범했던 그의 감성을 깨워 건축가의 눈을 가지도록 했으며, 어떠한 건축을 해야 하는지 답을 말해주기도 했다. 문학이 없었다면 지금의 건축가 김억중은 존재하지 않았으리라!

나는 삶의 진실이 몸에 밴 그들에게서 집이 무엇인지를 배우려 했으며 좋은 집은 어떠해야 하는지 대놓고 물어보려 했다. 그들은 집에 대한 꿈과 그리움, 절망 또는 억압과 상처를 어떻게 느끼고 견디어 내는지를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문학 속에 비쳐진 집의 모습은 영락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이었다. …… 그 속에는 집에 대한 이해, 가치와 사고방식이 리트머스 시험지에 묻힌 시약처럼 정직하게 녹아들어 있었으니, 문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었던 셈이다. -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13쪽

이제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는 김억중의 흥미로운 고백을 독자들이 확인할 차례다. 자신을 건축가로 만들어 주었던 문학의 세계, 건축과 문학이 만나는 자리로 초대하는 그의 목소리에 귀가 솔깃해진다.


그림이 된 문학
이 책은 그림과 글이 한 페이지씩 짝을 지어 구성되어 있다. 김억중은 자신만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학 속에 등장하는 공간들을 그림으로 옮겼다.
- 태어나서 죽기까지 한 사람의 인생사가 담긴 방
- 달빛으로 충만한 공간의 힘


말로 설명될 수 없는 공간의 의미와 개념들은 그의 그림 속에서 분명한 이미지로 표현된다.
김억중이 말하려고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들을 옮겨 놓은 이 그림을 보면서, 독자들은 문학과 건축이 만나는 지점을 즐거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80 71 몰입의 즐거움 관리자 2005.05.18 423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해냄 황농문 2005-06-14
279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278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7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6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275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4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3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72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71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0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270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67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69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68 64 뮤지킹 음악하기 file 관리자 2005.01.31 3604 크리스토퍼 스몰 효형출판 전정임 2005-02-15
267 361 인문사회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file 이근완 2017.09.21 205 마셜 맥루언 저, 김성기 역 민음사 강신철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2017-09-26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19시 30분
266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265 22 미래속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3627 에릭 뉴트 이끌리오 2003-05-06
264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8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63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4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2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65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1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260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72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9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5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8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7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49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256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7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255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3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4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53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52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62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51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50 43 변경 file 관리자 2004.03.23 3514 렁청진 더난출판 강신철 2004-04-07
249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48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247 104 경영경제 부의 미래 file 관리자 2006.10.15 4762 앨빈 토플러 청림출판 이재흥 아주미술관 관장 2006-10-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6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3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245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11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44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0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243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5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2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0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1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1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