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8.03.12 17:44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조회 수 56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38
저자 김억중
출판사 동녘
발표자 김억중 교수
일자 2008-03-25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공간을 주제로 문학과 건축을 연결한 책. 문학 속에 등장하는 공간들을 담은 그림과 글이 한 페이지씩 짝을 이루고 있다.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는 건축가 김억중은, 이 책에서 문학 속 인물들의 삶에 몰입한다. 그들과 동감할 수 있는 삶의 기억들을 하나 둘 씩 꺼내다보면 어느새 그의 이야기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자연스레 다다른다.

"나는 삶의 진실이 몸에 밴 그들에게서 집이 무엇인지를 배우려 했으며 좋은 집은 어떠해야 하는지 대놓고 물어보려 했다. 그들은 집에 대한 꿈과 그리움, 절망 또는 억압과 상처를 어떻게 느끼고 견디어 내는지를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문학 속에 비쳐진 집의 모습은 영락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이었다. ... 그 속에는 집에 대한 이해, 가치와 사고방식이 리트머스 시험지에 묻힌 시약처럼 정직하게 녹아들어 있었으니, 문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었던 셈이다." - 본문 13쪽에서








김억중 - 1955년 대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신부화가인 큰형님에게 미술 수업을 받았다.


스위스 로잔에서 건축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폰 마이스 교수와 라 뮈니에르 교수, 건축가 마리오 보타를 만나 건축의 역사·이론·작품을 두루 탐험했고, 설계사무소의 견습생활을 거쳐 스위스 공인건축가 디플로마를 받았다.


한남대학교 건축과에 재직하면서 스튜디오 에이 앤드 유(A&U)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여는 글: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공간의 힘
공간은 무엇으로 말하는가
채우고 비우고
마음으로 쓰는 방
그대의 적멸보궁
수직과 수평으로 보는 풍경
유현의 세계에 빠져들다

  창, 세상을 열고 닫다
  달빛 밟기
  삶의 양식이 묻어나는 길과 집
  생활의 냄새
  방, 이승에서 저승까지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나

 창 속의 내면풍경
 그대의 '독락당'
 외면할권리에 대하여
 아파트의 꿈
 형태는 '돈'을 따른다?
 벽돌 탄생의 비밀
 바람맞는 건축

    


나는 ‘건축과’에서 건축을 배우지 못했다
건축가 김억중. 처음부터 그는 건축가가 될 생각이 아니었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을 뿐이다. 학생시위가 난무하던 시절 탓에 제대로 수업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졸업을 하게 된 그때까지도 건축이란 그에게 그저 제도판 위에 반듯이 줄을 긋는 일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행운처럼 찾아온 유학길에서 그의 인생은 뒤바뀐다. 프랑스 파리에서 신부이자 화가인 큰형님에게 그림 수업을 받고, 다시 스위스로 건너가 건축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오로지 책과 씨름할 수밖에 없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그는 문학책에 푹 빠져 지낸다. 그리고 문학 속에 등장한 수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공간’이라는 존재를 접하면서 새로이 건축에 눈을 뜬다...

 

나는 ‘건축과’에서 건축을 배우지 못했다
건축가 김억중. 처음부터 그는 건축가가 될 생각이 아니었다. 다만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유로 건축과에 진학했을 뿐이다. 학생시위가 난무하던 시절 탓에 제대로 수업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졸업을 하게 된 그때까지도 건축이란 그에게 그저 제도판 위에 반듯이 줄을 긋는 일이었을 뿐이다.


그러나 행운처럼 찾아온 유학길에서 그의 인생은 뒤바뀐다. 프랑스 파리에서 신부이자 화가인 큰형님에게 그림 수업을 받고, 다시 스위스로 건너가 건축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오로지 책과 씨름할 수밖에 없었던 6년의 유학 생활 동안 그는 문학책에 푹 빠져 지낸다.

 

그리고 문학 속에 등장한 수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공간’이라는 존재를 접하면서 새로이 건축에 눈을 뜬다. 문학 속 주인공들이 공간에 대해 느꼈던 정직한 고백들은 무뎌졌던 건축의 감각을 일깨워 주었고, 건축이란 어떤 의미를 지닌 공간인지 몸소 깨닫게 했다. ‘건축과’라는 제도권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동떨어진 대상을 통해 건축을 배운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문학’에 몰입하다
공간을 주제로 문학과 건축을 연결한 책은 그리 많지 않다. 같은 주제를 담은 책들 역시 대부분 문학의 배경이 된 공간을 ‘역사적인 현장’에서 바라본다. 본문에서 몇 문장을 인용하면서, “소설 속 주인공 00이 살고 있는 00동은 박정희 시대 당시 000사건이 일어났던...하는 식으로 배경이 된 시대에 초점을 맞춘다. 문학과 건축이 접할 수 있는 많은 지점들 중 역사 이야기만이 부각되는 것이다.


“문학 따로 건축 따로” 나눠져 진행되는 이야기 속에 문학 속 화자와의 소통은 단절되어 있다. 책장을 덮으며 ‘이 문학 작품이 어떤 시대를 배경으로 탄생했구나’ 하는 깨달음은 얻지만 문학 속 인물들의 감정과 느낌은 살갗에 다가오지 않는다. 문학을 ‘있는 그대로의 문학’으로 읽지 않고, 건축 이야기를 위한 소재로 가공했기 때문이다.

나는 문학 속의 집을 순례하면서 그 안에 기거하는 수많은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과 함께 기뻐했으며 슬퍼했고 때로는 분노하기도 했다. 나는 그들이 어렸을 적 행복해 했던 추억의 집에서부터 찌들려 소외된 삶을 살아가야만 하는 고통의 집에 이르기까지 어디든 함께 하고자 했다. -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13쪽


김억중의 ‘문학 읽기’가 반가운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는 문학 속 인물들의 삶에 몰입한다. 그들과 동감할 수 있는 삶의 기억들을 하나 둘 씩 꺼내다보면 어느새 그의 이야기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자연스레 다다른다. 임철우의 소설 <달빛 밟기>에 등장하는 ‘밤길을 걷는 주인공’들을 만났을 때, 김억중은 명절마다 어둔 밤길을 헤치고 찾아갔던 어린 시절 귀향길의 추억을 떠올린다.

 

밤새도록 함께 걸으며 복수심에 불타던 마음도, 오래도록 쌓인 증오의 감정도 용서로 승화시킨 소설 속 ‘달 밝은 밤길’의 오묘한 힘. 달이 빛나던 밤이면 도깨비에 홀린 듯 유난히 빨리 도착했던 귀향길의 추억은 소설 속 달빛의 힘과도 닿아있다. 그의 몸속에 공간에 대한 감각이 새로이 돋아나는 순간이다.

…… 달빛 때문이었을까? 신기하게도 그런 밤이면 그토록 멀게만 느껴졌던 길이 도깨비에 홀린 듯 어느새 동산골 어귀에 다다르곤 하였다. 지금도 나는 그 몽환의 길을 잊을 수가 없다. 그 가물가물했던 달빛의 여운을. -‘달빛 밟기’ 101쪽

…… 사내는 품에 지니고 있던 복수의 칼을 수면 아래 가만히 떨어뜨린다. 알고 보면 우리 모두 불쌍한 인간들이니 모두가 서로 요서하고 화해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깨달음과 함께 어느덧 밤골에 다다른다. 달빛의 위대한 힘이요 화엄의 세계다. -‘달빛 밟기’ 102쪽

문학 속에서 건축을 배우다
김억중은 은희경의 소설 '아내의 상자'에서 홀로 아파트에 남겨진 채 고통 받는 한 여인의 삶을 이렇게 묘사한다.

…… 세상으로부터 받은 상처에 웅크리며 살아가는 아내는 자고 나면 온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몸이 말라비틀어지거나 삐그덕 거린다고 하소연한다. 그녀에게 벽은 집안의 온갖 물을 다 빨아들이는 흡반처럼 느껴져 자신을 억압하는 존재일 뿐이다. -‘아파트의 꿈’ 177쪽

그는 이 여인의 몸과 아파트 공간 사이에 벌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단순히 민감증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건축가의 예리한 눈으로 그녀가 살고 있는 아파트 공간 구조에 의심을 품는다.


- 효율만을 따져 획일적인 동선으로 마름질 된 공간 구조
- 자신만의 은밀한 공간을 가질 수 없이 사방으로 열린 ‘깊이 없는’ 공간 구조
문학 속에 등장한 한 여인의 삶을 통해 그는 아파트 공간에 비친 부정적인 단면을 온몸으로 발견한다. 그리고 성냥갑 찍어내듯 시멘트로 찍어낸 획일적인 아파트 풍경을 바라보며 그는 다짐한다. “기능도 중요하지만 정서적인 가치를 듬뿍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이렇듯 김억중은 문학 속에서 호흡하는 인물들의 삶을 거울삼아 자신에게 비춰보면서 그들이 울고 웃었던 공간을 함께 경험한다. 문학은 평범했던 그의 감성을 깨워 건축가의 눈을 가지도록 했으며, 어떠한 건축을 해야 하는지 답을 말해주기도 했다. 문학이 없었다면 지금의 건축가 김억중은 존재하지 않았으리라!

나는 삶의 진실이 몸에 밴 그들에게서 집이 무엇인지를 배우려 했으며 좋은 집은 어떠해야 하는지 대놓고 물어보려 했다. 그들은 집에 대한 꿈과 그리움, 절망 또는 억압과 상처를 어떻게 느끼고 견디어 내는지를 솔직하게 말해 주었다.
그러고 보면 문학 속에 비쳐진 집의 모습은 영락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이었다. …… 그 속에는 집에 대한 이해, 가치와 사고방식이 리트머스 시험지에 묻힌 시약처럼 정직하게 녹아들어 있었으니, 문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집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었던 셈이다. - ‘문학과 건축, 그 동상이몽’ 13쪽

이제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는 김억중의 흥미로운 고백을 독자들이 확인할 차례다. 자신을 건축가로 만들어 주었던 문학의 세계, 건축과 문학이 만나는 자리로 초대하는 그의 목소리에 귀가 솔깃해진다.


그림이 된 문학
이 책은 그림과 글이 한 페이지씩 짝을 지어 구성되어 있다. 김억중은 자신만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학 속에 등장하는 공간들을 그림으로 옮겼다.
- 태어나서 죽기까지 한 사람의 인생사가 담긴 방
- 달빛으로 충만한 공간의 힘


말로 설명될 수 없는 공간의 의미와 개념들은 그의 그림 속에서 분명한 이미지로 표현된다.
김억중이 말하려고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들을 옮겨 놓은 이 그림을 보면서, 독자들은 문학과 건축이 만나는 지점을 즐거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80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5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9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78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5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77 21 경영경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4471 짐 콜린스 김영사 2003-04-22
76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57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5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69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4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27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73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2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72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1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1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19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70 356 인문사회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1 file 이근완 2017.07.05 312 최병관 미디어숲 최병관 2017-07-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9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8 3 세계가 놀란 히딩크의 힘 file 관리자 2003.06.21 4512 최영균외 중앙M&B 2002-07-09
67 6 영혼이 있는 승부 file 관리자 2003.06.21 4577 최인호 김영사 2002-08-27
66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0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5 352 인문사회 탁월한 사유의 시선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file 이근완 2017.04.13 294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1세기북스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017-04-27 스페이스 C#4층 강당(대전 한국 화학연구원 정문) 2017년 4월 27일 오후 7시
64 131 경영경제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file 박문호 2007.12.01 5275 최홍섭 w미디어 이언오 SERI전무 2007-12-11
63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62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35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61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59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0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59 65 코스모스 관리자 2005.02.16 3805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조재흥 2005-03-08
58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2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57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6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56 64 뮤지킹 음악하기 file 관리자 2005.01.31 3605 크리스토퍼 스몰 효형출판 전정임 2005-02-15
55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7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54 481 자연과학 생명 그 자체의 감각 file 조수윤 2024.06.13 33 크리스토프 코흐 arte(아르테) 박제윤 2024-06-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53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 45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5] 커리어 그리고 가정 file 조수윤 2022.10.12 234 클라우디아 골딘 생각의힘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2022-10-25 이도저도 오후 7:15
51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50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9 113 자연과학 면역의 의미론 file 관리자 2007.02.28 4910 타다 토미오 한울 엄준호 2007-03-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8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2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47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2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46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5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84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44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726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3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34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42 37 연금술사 file 관리자 2003.12.16 3785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유현숙 2004-01-07
41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