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8.01.09 17:48

고대문명교류사

조회 수 48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34
저자 정수일
출판사 사계절출판사
발표자 김홍섭 회원
일자 2008-01-22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이번에 같이 출간된 『씰크로드학』이 총론이라면 이 책 『고대문명교류사』는 기원전에서부터 5-6세기까지의 문명교류사를 되짚은 각론이다. '교류를 떠난 문명은 생존할 수 없다. 문명교류사 연구의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고 얘기하는 저자는 시종일관 '충돌'이 아닌 '교류'의 관점에서 얘기한다.

간첩죄로 5년을 복역한 저자이지만 학문의 순수성은 무엇에 의해서도 훼손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역작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정수일




주요 논문으로는 「동서 상이(相異)의 역사적 연원」, 「남해로의 동단 - 고대 한중 해로」,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비문고」 등이 있고, 『신라쪾서역 교류사』(무함마드 깐수), 『실크로드학』, 『고대문명교류사』 등의 저서를 썼다. 논문과 저서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실크로드와 한반도의 연결 문제에서 시작하여, 문명교류의 주요 지역인 실크로드 연구, 나아가 교류사 일반으로 관심의 영역이 확대, 심화되고 있다.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보자면 『고대문명교류사』는 앞으로 출간될 중세 및 근현세 문명교류사와 더불어 가장 포괄적인 교류사 연구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으며, 저자의 가명인 무함마드 깐수가 아닌 본명 정수일로 발표되는 저서로는 『고대문명교류사』가 최초이다.

저자는 독립운동가들과 그 후손들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던 중국 연변에서 출생하였다. 연변고급중학교를 마칠 때까지 한국어로 교육을 받았음에도, 중국어로 실시된 제1회 전국시험(중국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최초의 대입자격고사)을 거쳐 북경대학교 동방학부에 입학했으며, 중국-이집트 국교수립 기념 제1차 국비유학생에 선발되어 카이로 대학교 인문학부로 유학했다. 이후 중국 외교부 및 모로코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근무하였고, 평양국제관계대학교 및 평양외국어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튀니지 대학교 사회경제연구소 연구원, 말레이 대학교 이슬람 아카데미 교수를 거쳐 단국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문학박사)하고 동 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5년간 복역하고 2000년에 출소한 뒤 『이븐 바투타 여행기』를 번역 출간한 바 있다.





















저 : 정수일




정수일 교수는 학자이다. 그러나 파란만장한 삶을 산 학자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 연변의 가난한 유민의 아들로 태어나, 북경대학을 거쳐 중국 외교부에서 근무하며 중국의 엘리트로 거듭났다. 그러다가 자신의 뿌리를 찾아 북한으로 건너 가 평양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게 된다. 그 후 평양대학교를 떠나 10년동안 튀니지,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지의 대학에서 이슬람을 전공한 교수로 활동해왔다가 1984년 그는 한국인이 아닌 아랍계 외국인의 신분으로 남한에 돌아온다. 그는 아랍계 외국인으로서 "무하마드 깐수"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이국스러운 외모와 완벽한 아랍어 구사로 한국에서 만난 아내조차 그를 아랍인으로 믿고 있었다.
단국대학 사학과의 교수로 재직하며 한반도의 고대문명과 아시아와 이슬람간의 문명교류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학술 활동을 전개했지만, 그는 1996년 '정수일'이라는 이름의 북한공작원으로써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긴급 체포되고 사형을 언도받는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삶을 포기하지 않았고 감옥에서 '문명교류학'이라는 그의 학문연구에 몰두했다. 사형이 선도되기 전, 그는 이미 국내 최고의 이슬람 전문가였지만, 감옥 안에서 그는 자신의 얽혀버린 삶을 반성하듯 더욱 더 연구에 매진하여 200자 원고지 2만5,000장 분량의 연구 초고를 완성했다.
그리고, 2000년 8월 광복절 특사로 정수일은 석방되었다. 그는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다>를 통하여 자신의 할 일을 학문에 몰두하는 일이라고 다짐한다.“하나하나를 새로이 출발하고 새로이 쌓아간다는 심정과 자세로 과욕이나 성급함을 버리고 천릿길에 들어선 황소처럼 쉼 없이, 조금도 쉼 없이, 오로지 앞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야 할 것이오. ”현대사의 한국이 놓여있던 갈라짐과 분열의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었던 학자는 사형수로서 독방에서 해왔던 것과 같이 쉼 없이 이슬람과 실크로드에 관한 책을 저술하고 있다. 어긋난 삶의 복원은 그가 추구하는 학문 속에서, 그 지식이 담긴 글 속에서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서장 문명과 문명교류

1. 동양과 서양의 구분
2. 문명
3. 문명교류

1장 문명교류의 시원

1. 인류의 출현과 이동
2. 비너스상과 문명교류

2장 신석기 문화의 교류

1. 신석기 문화와 문화권
2. 거석 문화의 교류
3. 즐문토기의 교류
4. 채도 문화의 교류
5. 세석기 문화의 교류

3장 청동기 문화의 교류

1. 청동기와 청동기 문화
2. 청동기의 유라시아 전파

4장 보석 문화의 교류

1. 보석문화
2. 옥의 교류
3. 유리의 교류
4. 기타 보석류의 교류

5장 유목기마민족과 문명교류

1. 유목기마민족의 출현
2. 스키타이와 문명교류
3. 흉노와 문명교류
4. 북방 유목기마민족 문화와 한국

6장 로마와 한의 교류

1. 로마와 한의 상호이해
2. 로마와 한의 교역
3. 헬레니즘과 동서교류
4. 비단의 서전

7장 서역 개통과 문명 교류

1. 서역개념
2. 서역개통
3. 서역 문물의 동전
4. 서역 문물의 한반도 전래

8장 종교의 교류

1. 불교의 전파
2. 고대 동방 기독교의 전파

9장 고대의 실크로드

1. 실크로드의 개념과 의의
2. 초원로
3. 오아시스로
4. 해로

후기

부록









• 책속으로
 










고대 오리엔트 문명의 창조자들로부터 그리스와 로마제국, 페르시아제국과 이슬람제국, 선진시대 중국과 몽골제국, 석가 시대의 인도와 티무르제국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북방 유목민족들의 흥망과 중앙 아시아 여러나라등의 출몰에 이르기까지 모든 역사적 사변들은 예외없이 실크로드를 따라 전개되었고, 또 이길에 의해 서로 연관됨으로써 비로소 모든 변화가 가능하였다. 다리우스, 알렉산더, 한 무제, 당 태종, 이슬람 할리파들, 칭기스칸, 티무르 등 세계적 영웅호걸들이 이 길을 주름잡고 다니며 역사의 지휘봉을 휘들렀던 것이다. 이 길이 없었던들 세계사의 전개는 인류가 경험한 그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본문 중에서






 











• 출판사 리뷰
 











인류의 5천 년 문명사는 서로 다른 문명들의 만남과 나눔의 역사, 즉 교류의 역사다.

교류를 떠난 문명사의 연구는 편파성이나 불완전성을 면할 수 없게 되며, 특히 동시적이고 범지구적인 교류확산의 시대를 맞이한 20세기 이후 그 필요성은 더욱 절박하다. 문명교류사에 대한 학문적 정립을 시도한 본서는, 동양과 서양으로 지구를 양분하는 서양중심적 틀을 넘어서 인류 문명교류의 전체상을 이해하는 체계를 세우고자 하며, 이를 통해 문명의 충돌이 아니라 만남과 화해를 준비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를 밝히고자 하는 소망을 담고 있다. (책을 내면서)


1_ 출간 의의
국내 학자의 세계사 서술은 흔하지 않다. 더욱이 서양중심적 관점을 벗어나 독자적인 시각으로 세계사를 재구성하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조선족으로 중국 연변에서 출생하여 중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이집트, 튀니지, 말레이 등에서 연구를 수행한 독특한 경력의 학자인 정수일의 저서는, 이러한 점에서 국내에서 보기 드문 학문적 시도로 평가할 만하다.
정수일의 독특한 세계사 서술은 무엇보다도 교류사라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한 문명 혹은 한 국가의 역사가 그 자체로 성립하기보다는 주변과의 부단한 교류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저자의 관점은 세계사에서 주로 어떻게 인류 상호간의 교류가 가능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물론 이러한 교류에 대한 연구가 처음은 아니다. 비단의 교류라든가 유리의 교류 등 특정 유물을 중심으로 그 교류의 흔적을 찾아보았던 시도는 19세기 말부터 꾸준히 이어져 왔으며, 한국을 중심으로 한 한일 혹은 한중 관계사 등 부분적인 교류사 연구서가 적지 않게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를 종합하여 교류의 관점에서 세계사를 재구성하는 시도는 국내에서 최초이며, 세계적으로도 그 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고대, 중세, 근현세로 나누어지는 3부작 가운데 그 첫 편인 『고대문명교류사』는 교류사를 학문적으로 정초하기 위한 필생의 역작이라 할 수 있다(후속편은 현재 집필 중). 근자에 학문적 전통의 수입에 대한 분분한 문제제기가 있는 가운데, 저자의 연구는 우리의 시각으로 세계사를 재해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지만, 나아가 서양인들 스스로 대립과 투쟁의 세계관이라 비판하는 서양중심주의를 넘어서 화해와 협력의 메시지를 담아낸 연구서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은 연구라 하겠다. 저자의 바람과 같이 이 책은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준비하는 역사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_ 이 책의 아홉 가지 특징

1) 서양 중심의 세계사 해석 지양
이미 일반화되어 있는 동양과 서양의 구분 자체가 근대의 산물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왜냐하면 원, 명대 문헌에서 이미 동양과 서양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때의 의미는 오늘날과 현저히 다르기 때문이다. 과거 문헌에서는 그야말로 바다를 중심으로 동양과 서양을 구분한 반면, 오늘날에는 서양을 중심으로 서양 이외의 방대한 지역을 자의적으로 동양으로 지칭하고 있다. 인류 문명의 교류사를 다만 동서교류사로 볼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 교류를 중심으로 세계사를 재해석
서양을 중심으로 생각하자면 신대륙의 발견이겠지만, 인류 전체의 교류사에서 보자면 신대륙의 발견은 기존 문명교류의 새로운 국면에 불과하다. 그래서 서양의 시각을 벗어나면 교류사의 시기는 고인류의 이동 시기까지 소급된다. 문제는 역사 시대 이전의 교류사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시 비너스상, 거석 기념물, 청동기 유물 등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교류사적으로 재해석하여 고대문명교류를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실제를 보여주고 있다.

3) 야만으로 취급되던 유목민족의 교류사적 의의 재평가
동서양 구분에서 알 수 있듯이 서양중심의 일방적인 시각이 아니라 보편적인 시각에서 교류사를 재구성하는 면은 유목민족의 연구에서도 잘 드러난다. 스키타이 - 흉노 - 훈으로 이어지는 고대 유목기마민족은 문명에 비해 야만으로 취급되었으나, 그들 나름의 문화를 일구었을뿐만 아니라 때로는 침략으로, 때로는 무역으로 방대한 지역의 교류를 중개했던 유목민족의 교류사적 의의를 재평가하였다.

4) 고대의 흥미로운 교류사적 사실들
일반적으로 서양인들이 동양에 출몰한 것은 근대 이후라는 고정관념이 있지만, 실제로 로마 황제 안토니우스가 중국에 공식 사절을 파견한 것은 기원후 2세기의 일이다. 이러한 예는 로마의 문헌에서 중국을 어떻게 묘사하였는지, 또한 중국의 문헌에서 로마를 어떻게 묘사하였는지를 분석하는 가운데 발견될 수 있었다. 연구에 의하면 로마가 중국을 알게 된 계기는 비단이었다.

5) 기독교의 전파 또한 고대의 사실
최초로 기독교가 동양에 전파된 것 또한 근대 이후의 일이 아니었다. 고대 기독교가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기독교(카톨릭), 그리스를 중심으로 한 동방 기독교(그리스 정교)로 나누어졌던 시기, 동방 기독교의 일파가 중국으로 전파되어 당 태종의 공식 승인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에서도 불국사에서 석제 십자가 유물이 발견되었고, 성모마리아 소상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6) 세계문명교류의 맥락에서 한국사를 재해석할 수 있는 근거 마련.
실크로드와 한국사의 연결은 저자의 일관된 관심사 가운데 하나였다. 한반도 일대의 고인돌과 거석 기념물의 관련, 경주 출토 유리병과 로만 글라스의 관련, 불국사 출토 석십자가와 고대 기독교의 관련 등을 통해 한국사를 교류사적 측면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세계문명교류사의 맥락 속에서 한국사를 재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7) 실크로드 전도
실크로드의 개념을 중앙아시아 비단 무역로가 아니라 문명교류의 통로로 재정의한다면, 전 지구적 범위에서 주요 교류 루트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본서 화보에 실린 실크로드 전도는 바로 이러한 인류 문명교류의 주요 통로를 나타낸 것이며, 저자의 교류사 기획 전반을 요약하는 내용이다.

8) 책의 내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도
실크로드 전도가 전체 내용의 요약이라고 한다면, 각 장의 시작 부분에는 해당 내용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 지도가 삽입되어 있다. 예컨대 청동기 시대 문화권이나 흉노의 이동과 훈족의 활동 범위 등을 나타낸 지도들은 모두 문헌 고증을 거쳐 저자가 직접 데이터를 제공하고 정보공학연구소에서 제작한 지도들이다.

9) 고대문명교류사 최대의 두 사건
기원후 5세기까지 고대 인류문명교류의 양대 사건은 알렉산더의 제국 건설과 장건의 서역 탐험(서역 개통)이라고 할 수 있다. 화보에서는 두 사건의 주요 장면을 컬러로 실었다. 알렉산더의 이쑤스 전투를 그린 벽화는 폼페이 유적에서 발굴되었고 현재 이탈리아 나폴리 고고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엄밀한 고증을 거쳐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였고, 장건의 서역 탐험은 복장 등에 대한 고증을 거쳐 상상한 장면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1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49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0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77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9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95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8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74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7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222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6 413 문학예술 노인과 바다 2 file 조수윤 2020.10.28 308 어니스트 헤밍웨이 민음사 이정원(대전 백북스) 2020-11-10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5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63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4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8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3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2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2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7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1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73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0 306 문학예술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file 이정원 2015.04.20 1119 허나영 미진사 저자 허나영 2015-04-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9 34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file 이근완 2016.10.29 261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2016-11-0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8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9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7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401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86 338 기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1 file 관리자 2016.09.26 328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황소자리 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2016-09-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5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7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4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3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3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8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82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81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9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0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20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9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81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8 334 인문사회 파격의 고전 file 이근완 2016.07.06 54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2016-07-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7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71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6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7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5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401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4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91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3 344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이근완 2016.12.20 299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2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71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1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4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0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9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7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8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8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7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6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6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5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5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7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64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6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63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5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62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9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