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51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32
저자 션 캐럴
출판사 지호
발표자 황보영 회원
일자 2007-12-26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진화론 이상의 진화론, 이보디보가 들려주는 신비로운 생명 진화의 이야기!

지난 20년간 동물의 게놈을 비교한 결과 알게 된 가장 놀라운 발견은 모든 동물들의 유전자가 거의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인간과 침팬지, 생쥐와 파리 안에 있는 유전자는 거의 차이가 없다. 겉모습의 차이를 생각하면 쉬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유전자가 그토록 닮은데도 모습의 차이가 큰 까닭은 무엇일까?

이 책은 이보디보라는 새로운 학문으로 이 수수께끼에 답한다. 진화와 발생의 행복한 결합으로 시작된 이보디보, 즉 진화발생생물학은 생명 진화의 이야기를 놀라운 방식으로 들려준다. 유전학 교수인 저자는 새롭고, 장엄하며, 아주 넓은 시각으로 생물학의 모든 분야를 아우른다. 오늘날, 생물학의 진정한 통섭을 이끌고 있는 이보디보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션 B. 캐럴 (Sean B. Carroll)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연구자이며 위스콘신-매디슨 대학 유전학과 교수. 이보디보(진화발생생물학)의 주창자 중 한 명이며, 이보디보를 대중적으로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 시대의 가장 선구적인 생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1994년에『타임』은 그를 주목해야 할 젊은 과학자로 선정했다. 그의 연구는 『네이처』『사이언스』를 비롯한 유수의 학술지에 자주 등재되며,『타임』『U. S. 뉴스 & 월드 리포트』『디스커버』『뉴욕 타임스』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다. 주요 저서로 『DNA to Diversity 』『The Making of the Fittest』 등이 있다.









역자 : 김명남




전문번역가. KAIST 화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환경 정책을 공부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의 편집팀장을 지냈으며, 인문과 과학 분야의 책을 전문적으로 번역하고 있다. 『일렉트릭 유니버스』『도시, 인류 최후의 고향』『시크릿 하우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버자이너 문화사』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 목차보기
 










추천 서문 _ 이보디보 : 미래 생물학의 메가트렌드
머리말
서문

1부 동물 만들기
1. 동물의 구조 : 현재의 형태, 고대의 설계
2. 괴물, 돌연변이 그리고 마스터 유전자
3. 대장균에서 코끼리까지
4. 아기 만들기 : 부품은 유전자 2만 5천 개, 약간의 조립 필요함
5. 게놈의 암흑물질 : 유전자 사용 설명서

2부 화석, 유전자, 그리고 동물 다양성의 탄생
6. 동물 진화의 빅뱅
7. 작은 혁명들 : 날개, 그리고 그 밖의 혁명적 발명
8. 나비는 어떻게 점박무늬를 갖게 되었나
9. 검게 칠해요
10. 아름다운 미모 : 호모 사피엔스의 탄생
11. 최고로 아름답고 무수히 다양한 형태들

자료 및 참고문헌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 출판사 리뷰
 










생물학의 통섭, 이보디보
지금 생물학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그동안 서로 다른 전통 속에서 진화해온 생물학의 세부 분야들이 무엇 때문인지 최근 십여 년 전부터 서로에게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고 있다. 이제는 유전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내분비학, 면역학, 신경생물학, 생화학, 생물물리학 등의 기능생물학 분야와 행동생물학, 생태학, 진화학, 계통분류학, 고생물학, 집단유전학 등을 포함하는 진화생물학 분야, 그리고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생물정보학까지도 하나의 카테고리 안에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바로 이보디보(Evo Devo), 즉 진화발생생물학(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이 생명과 관련된 이 모든 학문 분야를 하나로 묶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이보디보에 자극받은 학자들이 각 생물학 학과들을 통합하여 통합생물학과를 출범시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물학의 통합이 서서히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보디보,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는 오늘날 생물학의 통섭을 이끌고 있는 이보디보를 소개하는 최초의 책이다.

생명의 블랙박스가 열리다
이보디보(진화발생생물학)는 이름 그대로 진화와 발생을 하나로 엮은 학문이다. 다윈 시대서부터 생물학자들은 진화와 발생의 밀접한 관계를 깨닫고 있었다. 단순한 세포 하나에 불과한 수정란이 복잡한 성체로 발생하는 것과, 단순한 생명체가 세대를 거듭하여 점차 복잡한 생명체로 진화하는 현상은 분명 생명이 펼쳐 보이는 가장 놀라운 두 기적이다. 다윈 역시도 진화를 완벽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발생 과정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그 이후 발생은 오랫동안 생물학의 ‘변방’에 머물러 있었다. 발생학을 배제한 집단유전학적 진화론이 생물학계의 주류를 이루었고, 그 결과 변이를 생산하는 발생 메커니즘은 거의 반세기 동안 마치 ‘블랙박스’처럼 취급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속속 발견되었고, 그것들이 진화에서 맡는 역할이 알려지면서 발생의 문제는 다시 생물학의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리고 그 ‘블랙박스’ 안에는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중대한 사실들이 있었다.

다시 보는 동물 진화
이보디보가, 그리고 이 책이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사실은 모든 동물들의 유전자가 아주 닮았다는 것이다. 거의 똑같은 유전자가 인간이든, 침팬지든, 생쥐든, 파리든 간에 똑같은 일을 담당한다. 예컨대 파리의 눈 발생을 담당하는 아이리스(Eyeless) 유전자를 생쥐의 배아에 삽입하면 어떻게 될까? 놀랍게도 정상적인 생쥐의 눈이 발생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파리의 눈과 생쥐 같은 포유류의 눈은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른데도 말이다. 심지어 인간의 눈 발생 유전자를 파리에 삽입해도 정상적인 파리 눈이 발생할 것이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비단 눈 발생 유전자만이 아니라 사지를 만드는 유전자, 심장을 만드는 유전자, 신체의 배열을 담당하는 유전자들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예상과는 전연 다르게 동물들의 유전자는 매우 닮았으며, 아주 오래전서부터 전해진 것들이다.
이 사실과 이어지는 두번째 사항은 진화는 이들 유전자의 사용방식이 변하면서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진화는 유전자 자체의 변화가 아니라 유전자의 사용방식, 즉 ‘유전자 스위치’의 변화로 이루어진다. 저자가 말하듯이 “진화는 오래된 유전자에게 새로운 기교를 가르치는 것”인 셈이다. 그전까지 생물학자들은 실제로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구조 유전자’만 신경 쓰며 그것만이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보디보의 성과로 유전자 스위치 기능을 담당하는 ‘조절 유전자’가 더욱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었다. 게다가 이 조절 기능은 아주 세심하게 조정되기 때문에 동물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가능하게 한다. 언제, 어디서, 얼마만큼 유전자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유전자 스위치가 무한하리만큼 다양한 동물들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발생과 진화로 묶은 생물학
동물들의 ‘오랜된 유전자’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 스위치’는 모두 배아의 발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그렇지만 이 사실들은 전통적인 발생학 영역을 넘어 생물학 전 분야와 관련된 내용들이다. 우선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분자생물학 · 세포생물학 · 발생유전학적 지식들이 필수적으로 들어오고,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한 유전체학과 그 발현 과정을 연구하는 단백질학도 필요하며, 상이한 문들(phyla) 간의 상동성을 따져보기 위한 계통학도 개입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런 상동성은 진화생물학으로 설명된다. 게다가 고생물학은 생명이 진화의 역사를 거치면서 어떻게 새로운 몸과 새 형질들을 획득하게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발생의 수수께끼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이보디보는 이 모든 분야들을 진화와 발생이라는 키워드로 묶어 생명체의 모든 변화를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이 책은 그간 이보디보가 거둔 성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소개하면서 이보디보의 힘을 느끼게 해준다. 저자는 여러 환상적인 사례들을 ― 외눈박이 양, 더듬이 대신 다리가 난 파리, 발가락이 다섯 개인 병아리 등 ― 보여주며, 그런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의 진화 이론을 재정립하고 있다. 이보디보는 캄브리아기에 어떻게 한꺼번에 다양한 종들이 탄생했는지, 곤충의 아가미가 어떻게 날개가 되었는지, 수만 종류의 다양한 나비 날개 무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떻게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육상동물의 다리와 발가락 그리고 날개가 되었는지 등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동물 형태의 실제 발생 과정을 포함한 저자의 설명은 추론에만 의존한 기존의 설명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다.

생물학을 뒤흔들 이보디보의 힘
이 책의 저자인 션 캐럴은 위스콘신 대학의 생물학 교수이며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대표 연구자로 지난 수년 동안 이보디보 분야의 개척자와 대변인 역할을 해온 탁월한 학자이다. 이 책에서 그는 지난 20년간 축적된 이보디보의 놀라운 연구 성과들을 대중의 눈높이에서 친절하고 정확하게 소개해주고 있다. 말하자면 이 책은 이보디보의 세계적 석학이 그에 관해 쓴 세계 최초의 대중서이다. 석학이 쓴 글답게 이 책은 풍부하고 깊은 과학적 사유로 가득하지만 설명을 찬찬히 따라가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자세하고 친절하다. 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아주 만족스러운 독서가 될 것이다.
물론 이보디보는 아직 어린, 정확히 말해 스무 살이 채 안 된 학문이다. 하지만 이보디보가 생물학을 새롭게 종합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에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가 너무도 중요한 것들이며, 앞으로의 생물학에서는 분명 이보디보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한 권에서 우리는 거의 모든 생명의 변화에 대한 통합 이론을 만나게 될 것이며, 미래 생물학을 이끌 메가트렌드를 알게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39 265 나는 왜 일하는가 file 유화현 2013.07.11 4754 헬렌 S. 정 인라잇먼트 문경목 회원님 2013-07-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38 36 생각이 솔솔 file 관리자 2003.12.09 3881 애드워드 드 보노 (주)한언 문경수 2003-12-20
337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336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35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34 344 자연과학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 file 이근완 2016.12.20 290 문경수 마음산책 문경수(과학탐험가) 2016-1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3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7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332 143 문학예술 가재미 3 file 박문호 2008.05.28 5279 문태준 문학과 지성 문태준 시인 2008-06-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1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39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330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329 153 착한인생 file 박문호 2008.10.29 5467 박경철 리더스 박경철 2008-1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8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27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8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26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325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24 35 꿈 (Dreaming) file 관리자 2003.10.29 4098 앨런홉슨 아카넷 박문호 2003-12-03
323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322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321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28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0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9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8 155 뇌 생각의 출현 file 박문호 2008.11.26 5399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2-09
317 56 영조와 정조의 나라 file 관리자 2004.10.11 3742 박광용 푸른역사 박문호 2004-10-26
316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92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315 90 유뇌론 file 관리자 2006.03.20 3646 요로다케시 재인 박문호 2006-03-28
314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3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57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2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11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8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310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6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09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08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307 294 유니버설 랭귀지 file 유화현 2014.10.21 3482 박문호의자연과학세상 엑셈 박문호 박사 2014-10-2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06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305 244 고산자 1 file 김형렬 2012.08.14 5350 박범신 문학동네 박범신 2012-08-26 장동산림욕장 16:00
304 271 수학 읽는 CEO file 유화현 2013.10.10 4855 박병하 21세기북스 박병하 박사 2013-10-22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03 2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file 관리자 2003.06.21 4382 소큐도미코 선영사 박상찬 교수 2003-06-24
302 100 자연과학 블랙홀이 불쑥불쑥 file 관리자 2006.08.10 4598 박석재 주니어김영사 박석재 원장 2006-08-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01 76 영교시 수업 file 관리자 2005.08.08 4018 박성일 어드북스 박성일 2005-08-23
300 88 (자연이 주는 최상의 약) 물 file 관리자 2006.02.09 3822 F.뱃맨겔리지 동도원 박성일 2006-02-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