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51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32
저자 션 캐럴
출판사 지호
발표자 황보영 회원
일자 2007-12-26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진화론 이상의 진화론, 이보디보가 들려주는 신비로운 생명 진화의 이야기!

지난 20년간 동물의 게놈을 비교한 결과 알게 된 가장 놀라운 발견은 모든 동물들의 유전자가 거의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인간과 침팬지, 생쥐와 파리 안에 있는 유전자는 거의 차이가 없다. 겉모습의 차이를 생각하면 쉬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유전자가 그토록 닮은데도 모습의 차이가 큰 까닭은 무엇일까?

이 책은 이보디보라는 새로운 학문으로 이 수수께끼에 답한다. 진화와 발생의 행복한 결합으로 시작된 이보디보, 즉 진화발생생물학은 생명 진화의 이야기를 놀라운 방식으로 들려준다. 유전학 교수인 저자는 새롭고, 장엄하며, 아주 넓은 시각으로 생물학의 모든 분야를 아우른다. 오늘날, 생물학의 진정한 통섭을 이끌고 있는 이보디보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션 B. 캐럴 (Sean B. Carroll)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연구자이며 위스콘신-매디슨 대학 유전학과 교수. 이보디보(진화발생생물학)의 주창자 중 한 명이며, 이보디보를 대중적으로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 시대의 가장 선구적인 생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1994년에『타임』은 그를 주목해야 할 젊은 과학자로 선정했다. 그의 연구는 『네이처』『사이언스』를 비롯한 유수의 학술지에 자주 등재되며,『타임』『U. S. 뉴스 & 월드 리포트』『디스커버』『뉴욕 타임스』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다. 주요 저서로 『DNA to Diversity 』『The Making of the Fittest』 등이 있다.









역자 : 김명남




전문번역가. KAIST 화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환경 정책을 공부했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의 편집팀장을 지냈으며, 인문과 과학 분야의 책을 전문적으로 번역하고 있다. 『일렉트릭 유니버스』『도시, 인류 최후의 고향』『시크릿 하우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버자이너 문화사』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 목차보기
 










추천 서문 _ 이보디보 : 미래 생물학의 메가트렌드
머리말
서문

1부 동물 만들기
1. 동물의 구조 : 현재의 형태, 고대의 설계
2. 괴물, 돌연변이 그리고 마스터 유전자
3. 대장균에서 코끼리까지
4. 아기 만들기 : 부품은 유전자 2만 5천 개, 약간의 조립 필요함
5. 게놈의 암흑물질 : 유전자 사용 설명서

2부 화석, 유전자, 그리고 동물 다양성의 탄생
6. 동물 진화의 빅뱅
7. 작은 혁명들 : 날개, 그리고 그 밖의 혁명적 발명
8. 나비는 어떻게 점박무늬를 갖게 되었나
9. 검게 칠해요
10. 아름다운 미모 : 호모 사피엔스의 탄생
11. 최고로 아름답고 무수히 다양한 형태들

자료 및 참고문헌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 출판사 리뷰
 










생물학의 통섭, 이보디보
지금 생물학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그동안 서로 다른 전통 속에서 진화해온 생물학의 세부 분야들이 무엇 때문인지 최근 십여 년 전부터 서로에게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고 있다. 이제는 유전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내분비학, 면역학, 신경생물학, 생화학, 생물물리학 등의 기능생물학 분야와 행동생물학, 생태학, 진화학, 계통분류학, 고생물학, 집단유전학 등을 포함하는 진화생물학 분야, 그리고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생물정보학까지도 하나의 카테고리 안에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바로 이보디보(Evo Devo), 즉 진화발생생물학(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이 생명과 관련된 이 모든 학문 분야를 하나로 묶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이보디보에 자극받은 학자들이 각 생물학 학과들을 통합하여 통합생물학과를 출범시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물학의 통합이 서서히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보디보,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는 오늘날 생물학의 통섭을 이끌고 있는 이보디보를 소개하는 최초의 책이다.

생명의 블랙박스가 열리다
이보디보(진화발생생물학)는 이름 그대로 진화와 발생을 하나로 엮은 학문이다. 다윈 시대서부터 생물학자들은 진화와 발생의 밀접한 관계를 깨닫고 있었다. 단순한 세포 하나에 불과한 수정란이 복잡한 성체로 발생하는 것과, 단순한 생명체가 세대를 거듭하여 점차 복잡한 생명체로 진화하는 현상은 분명 생명이 펼쳐 보이는 가장 놀라운 두 기적이다. 다윈 역시도 진화를 완벽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발생 과정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그 이후 발생은 오랫동안 생물학의 ‘변방’에 머물러 있었다. 발생학을 배제한 집단유전학적 진화론이 생물학계의 주류를 이루었고, 그 결과 변이를 생산하는 발생 메커니즘은 거의 반세기 동안 마치 ‘블랙박스’처럼 취급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속속 발견되었고, 그것들이 진화에서 맡는 역할이 알려지면서 발생의 문제는 다시 생물학의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리고 그 ‘블랙박스’ 안에는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중대한 사실들이 있었다.

다시 보는 동물 진화
이보디보가, 그리고 이 책이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사실은 모든 동물들의 유전자가 아주 닮았다는 것이다. 거의 똑같은 유전자가 인간이든, 침팬지든, 생쥐든, 파리든 간에 똑같은 일을 담당한다. 예컨대 파리의 눈 발생을 담당하는 아이리스(Eyeless) 유전자를 생쥐의 배아에 삽입하면 어떻게 될까? 놀랍게도 정상적인 생쥐의 눈이 발생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파리의 눈과 생쥐 같은 포유류의 눈은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른데도 말이다. 심지어 인간의 눈 발생 유전자를 파리에 삽입해도 정상적인 파리 눈이 발생할 것이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비단 눈 발생 유전자만이 아니라 사지를 만드는 유전자, 심장을 만드는 유전자, 신체의 배열을 담당하는 유전자들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예상과는 전연 다르게 동물들의 유전자는 매우 닮았으며, 아주 오래전서부터 전해진 것들이다.
이 사실과 이어지는 두번째 사항은 진화는 이들 유전자의 사용방식이 변하면서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진화는 유전자 자체의 변화가 아니라 유전자의 사용방식, 즉 ‘유전자 스위치’의 변화로 이루어진다. 저자가 말하듯이 “진화는 오래된 유전자에게 새로운 기교를 가르치는 것”인 셈이다. 그전까지 생물학자들은 실제로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구조 유전자’만 신경 쓰며 그것만이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보디보의 성과로 유전자 스위치 기능을 담당하는 ‘조절 유전자’가 더욱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었다. 게다가 이 조절 기능은 아주 세심하게 조정되기 때문에 동물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가능하게 한다. 언제, 어디서, 얼마만큼 유전자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유전자 스위치가 무한하리만큼 다양한 동물들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발생과 진화로 묶은 생물학
동물들의 ‘오랜된 유전자’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 스위치’는 모두 배아의 발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그렇지만 이 사실들은 전통적인 발생학 영역을 넘어 생물학 전 분야와 관련된 내용들이다. 우선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분자생물학 · 세포생물학 · 발생유전학적 지식들이 필수적으로 들어오고,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한 유전체학과 그 발현 과정을 연구하는 단백질학도 필요하며, 상이한 문들(phyla) 간의 상동성을 따져보기 위한 계통학도 개입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런 상동성은 진화생물학으로 설명된다. 게다가 고생물학은 생명이 진화의 역사를 거치면서 어떻게 새로운 몸과 새 형질들을 획득하게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발생의 수수께끼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이보디보는 이 모든 분야들을 진화와 발생이라는 키워드로 묶어 생명체의 모든 변화를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이 책은 그간 이보디보가 거둔 성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소개하면서 이보디보의 힘을 느끼게 해준다. 저자는 여러 환상적인 사례들을 ― 외눈박이 양, 더듬이 대신 다리가 난 파리, 발가락이 다섯 개인 병아리 등 ― 보여주며, 그런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의 진화 이론을 재정립하고 있다. 이보디보는 캄브리아기에 어떻게 한꺼번에 다양한 종들이 탄생했는지, 곤충의 아가미가 어떻게 날개가 되었는지, 수만 종류의 다양한 나비 날개 무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떻게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육상동물의 다리와 발가락 그리고 날개가 되었는지 등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동물 형태의 실제 발생 과정을 포함한 저자의 설명은 추론에만 의존한 기존의 설명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다.

생물학을 뒤흔들 이보디보의 힘
이 책의 저자인 션 캐럴은 위스콘신 대학의 생물학 교수이며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대표 연구자로 지난 수년 동안 이보디보 분야의 개척자와 대변인 역할을 해온 탁월한 학자이다. 이 책에서 그는 지난 20년간 축적된 이보디보의 놀라운 연구 성과들을 대중의 눈높이에서 친절하고 정확하게 소개해주고 있다. 말하자면 이 책은 이보디보의 세계적 석학이 그에 관해 쓴 세계 최초의 대중서이다. 석학이 쓴 글답게 이 책은 풍부하고 깊은 과학적 사유로 가득하지만 설명을 찬찬히 따라가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자세하고 친절하다. 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아주 만족스러운 독서가 될 것이다.
물론 이보디보는 아직 어린, 정확히 말해 스무 살이 채 안 된 학문이다. 하지만 이보디보가 생물학을 새롭게 종합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에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가 너무도 중요한 것들이며, 앞으로의 생물학에서는 분명 이보디보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한 권에서 우리는 거의 모든 생명의 변화에 대한 통합 이론을 만나게 될 것이며, 미래 생물학을 이끌 메가트렌드를 알게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00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9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8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7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6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5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4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3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1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292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1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1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1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0 413 문학예술 노인과 바다 2 file 조수윤 2020.10.28 299 어니스트 헤밍웨이 민음사 이정원(대전 백북스) 2020-11-10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9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8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3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7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6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5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1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4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47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3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2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2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75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1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09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0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617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9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88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78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27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7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62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6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60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5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48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4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184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3 43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file 조수윤 2021.11.16 478 미겔 탕코 문학동네 한빛찬, 임석희, 박정애, 조수윤,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박순필, 김홍섭, 태병권 2021-11-23 대전 신성동 책방 이도저도 오후 7:15
272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271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0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49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69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68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67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66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65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4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264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3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2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1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0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