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7.10.27 01:20

열하광인

조회 수 54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9
저자 김탁환
출판사 민음사
발표자 김탁환
일자 2007-11-1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이미지보기 중이미지보기


                 상                                   하 



책소개










조선 후기 정치사의 최대 미스터리로 손꼽히는 문체 반정을 배경으로 한 김탁환의 2007년 신작 장편소설이다. 개혁의 정점에서 박지원의 목에 갑자기 칼을 들이댄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 최대 베스트셀러여쓰나 정조에 의해 금서가 되어버린 『열하일기』가 몰고 다닌 불행의 비밀은 무엇일까? 이 책은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연쇄 살인의 비밀을 파헤친다.

정조가 문체 반정을 일으킨 1792년에 초점을 맞추었다. 백탁파 서생들을 유난히 아끼던 정조가 문체가 단정하지 못함을 이유로 백탑파의 우두머리인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등을 탄압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금서로 낙인찍힌 『열하일기』를 몰래 숨어 읽는 사람들의 모임인 ''열하광'의 우두머리인 이명방은 연쇄 살인 사건의 살인자로 지목이 되게 되는데.....

한국형 팩션의 새 장을 열어온 작가로 평가받는 김탁환의 역사소설은 언제나 그 시대를 섬세하게 재현하는 동시에 현대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 된다. 『열하일기』를 둘러싼 연쇄 살인과 암투의 비밀을 파헤침으로써 개혁 군주인 정조가 절대 군주가 되어가는 과정은 우리의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열하광인』은 상,하권으로 이루어졌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김탁환




1968년 진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장편 소설로 『허균, 최후의 19일』, 『압록강』, 『독도 평전』, 『나, 황진이』,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방각본 살인 사건』, 『리심, 파리의 조선 궁녀』 등을 펴냈다. 이 밖에 소설집 『진해 벚꽃』, 문학 비평집 『소설 중독』, 『진정성 너머의 세계』, 『한국 소설 창작 방법 연구』 등이 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가르치고 있다.




















저 : 김탁환




1968년 진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94년 ≪상상≫ 여름호에 「동아시아 소설의 힘」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 1995년부터 3년간 진해에 있는 해군사관학교에서 국어 교수로 재직했다. 장편 소설로 『허균, 최후의 19일』, 『압록강』, 『독도 평전』, 『나, 황진이』,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방각본 살인 사건』, 『리심, 파리의 조선 궁녀』 등을 펴냈다. 이 밖에 소설집 『진해 벚꽃』, 문학 비평집 『소설 중독』, 『진정성 너머의 세계』, 『한국 소설 창작 방법 연구』 등이 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가르치고 있다.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상권

열하의 꿈
1장~11장

하권

12장~21장
다시, 열하의 꿈

참고문헌
작가의 말









• 책속으로
 















현재 의금부 당상들은 고문을 숭상하고 사도세자를 폐세자할 때 찬동한 이들이 대부분이다. 탕평평평, 금상께선 당파 가리지 않고 인재를 고루 쓰겠다 하셨지만, 아직 의금부가 노론의 손에서 벗어난 적은 없다. 여전히 이 나라는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인 자들이 조정 중론을 지배했다.--- 본문 중에서
그럼 나는 뭘까? 자송문을 쓰도록 권하는 서찰을 부여와 안의에 가져다주고 또 한양으로 돌아와서 자송문 때문에 힘겨워하는 이덕무를 바라보며 맺거니 듣거니 눈물 짓는 나는? <열하>를 주해한 모임에 속하면서도 그 모임을 적발하라는 명을 받든 나는? 아버지처럼 형제처럼 젊은 날을 함게 보낸 백탑 서생을 감시하라는 명을 거절하지 못한 나는? 의금부 도사이면서도 의금부 관원에게 쫓기는 나는? 내가 나이기 위해서는 내가 나였던 과거를 지우거나 내가 나일 수 있는 미래를 지워야만 하는 나는? 그 둘 사이에서 이리저리 휩쓸리는 나는?

불현듯 바로 내가 자송문이라는 앙똥한 확신이 들었다. 완성되면 허위로 가득 차고 찢어지거나 불살라야만 진실이 드러나는 문장이야말로 지금 내 처지를 대변한다. 이덕무는 저렇듯 평온함을 잃고 미친 사람처럼 발광하는데 나는 나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했던가? 아무리 어명이라고 할지라도 백탑 서생을 몰래 살펴 고하라는 하교를 들었을 때, 피가 날 만큼 이마로 바닥을 치며 그 명만은 거두어 주소서 목숨을 걸고 아뢸 일이었다. 나는 너무 쉽게 자송문을 요구하는 쪽에 속하였고 급기야 자송문과 같은 신세로 전락했다. 나는 내가 맡은 책무를 완성할 수도 없고 접을 수도 없다. 명을 받들면 허위로 기울고 명을 어길 때만 진실과 만난다.

이왕 서책이 될 거라며 자송문이 아니라 <열하>로 거듭날 일이다. 자송문을 쓴 이도 자송문을 읽는 이도 반성하는 문장에 진실이 없음을 안다. 많은 글자로 자송문이 채워졌으되, 그 글자들은 없음보다도 못하다. 차라리 빈 백지라면 새로운 시와 문을 지어 보련마는 이미 글자들이 빽빽이 들어찬 자송문 위로는 단 한 글자도 써 넣기 힘들다. 모름지기 자기반성이란 마음으로 하는 것이다. 예의를 갖춘 문장은 거추장스러운 노리개와 같다. 지금부터 무슨 일을 하든지, 지금까지보다 더 못할 때, 글자를 하나 자 쓰는 것보다 빈자리로 그냥 두는 편이 나을 때, 나는 어찌 할 것인가. --- pp.287~288





 










• 출판사 리뷰
 










▶ 금서 『열하일기』를 둘러싼 연쇄 살인과 암투의 비밀을 파헤친다.
김탁환의 2007년 신작 장편 소설 『열하광인』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열하광인』은 조선 후기 정치사의 최대 미스터리 중 하나인 문체 반정을 배경으로, 당시 최대 베스트셀러였으나 정조에 의해 금서로 묶인 『열하일기』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연쇄 살인의 비밀을 파헤친다.
정조가 『열하일기』를 금서로 묶은 지 50여 일이 지난 어느 날, 『열하일기』를 읽기만 해도 패가망신할 수 있는 삼엄한 상황 속에서 비밀리에 모여 『열하일기』를 읽는 모임 ‘열하광’의 일원이 무장 괴한들에 의해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무장 괴한들의 뒤에 절대 군주를 꿈꾸는 정조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백탑파를 사사건건 견제해 온 노론 세력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백탑 서생에게 불만을 품은 자의 소행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열하광’ 광인들을 모두 공포에 떤다.
그 와중에 왕실 종친이자 ‘열하광’의 일원인 의금부 도사 이명방은 정조에게서 『열하일기』를 읽는 자들을 적발해 내라는 명을 받고 커다란 혼란에 빠진다.
동시대 최고의 역사 소설가로 호평받는 김탁환의 백탑파 연작은 우리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시기 중 하나인 18세기 말 정조 치세를 배경으로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백동수 등 젊은 실학자들의 이야기를 추리 소설의 형식에 녹여 낸 작품이다. 『열하광인』은 『방각본 살인 사건』(2003년), 『열녀문의 비밀』(2005년)에 이은 세 번째 장편이다.

▶ 조선 후기 정치사의 최대 미스터리, 문체 반정
이 소설은 정조(正祖)가 문체 반정을 일으킨 1792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체 반정이란 정조가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패관기서와 소품문을 멀리하고 전통적 고문(古文)을 모범으로 삼도록 명한 일을 가리킨다. 중국의 신문물을 참신한 문체로 묘사하여 젊은 지식인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조선의 문풍을 어지럽히는 대표적인 금서로 낙인 찍힌다. 이 일로 모처럼 싹트려던 조선 후기 문예 부흥의 싹은 짓밟혔고, 정조는 점차 개혁 군주의 면모를 버리고 절대 군주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 단순한 추리 소설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 속에 재인식되어야 할 작품
백탑파 연작은 18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한다. 안으로는 임진·병자 양대 난을 겪은 후 상업이 발달하고 흥성한 문화가 서민층에까지 미쳐 소설이라는 대중문화가 싹트기 시작하고, 대외적으로는 명말 청초 문집, 서양학, 천주교 등이 북경의 유리창을 통해 쏟아져 들어와 주자학의 아성을 해체해 가던 시기이다. 『열하광인』은 정조의 문체 반정을 통해 고문(古文)으로 상징되는 보수 세력과 중국의 신문물로 대표되는 혁신 세력이 나라의 운명을 놓고 벌이는 한 판 승부를 그려 내 보인다.

▶ 한국형 팩션의 신기원을 이룩한 작품
백탑파 연작은 2003년 첫 장편 『방각본 살인 사건』을 시작으로 『다빈치 코드』로 세계적인 팩션 열풍이 일기 전부터 한국형 팩션의 새 장을 열어 왔다. 또한 김탁환의 역사 소설은 언제나 그 시대를 섬세하게 재현하는 동시에 지금 우리 시대의 주제와 긴밀하게 조응해 왔다.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혁신’이라는 기치를 반성하기 위해 이 소설을 썼다. 수구와 혁신에서의 양자택일은 이미 낡은 도덕적 틀이다. 이제는 누구를 위한 혁신인가를 더 깊이 따져 보아야 한다.”라고 말한다. 개혁 군주를 표방하던 정조가 돌연 절대 군주로 나아가는 길에 접어든 것은 개혁 정권의 한 장이 마무리되는 요즈음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작가는 조심스럽게 귀띔한다.

▶ 줄거리 소개
1792년 10월 19일 백탑파 서생들에게 날벼락이 떨어진다. 백탑파 서생들에게 아낌없는 사랑을 표시하던 정조가 문체가 단정하지 못함을 이유로 백탑파의 우두머리인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등을 탄압하기 시작한 것. 특히 박지원이 쓴 『열하일기』는 중국의 신문물 관련 내용이 젊은이들을 현혹할 수 있다는 이유로 요주의 금서로 낙인 찍힌다.
백탑파 서생들은 조만간 정조가 자신들을 모조리 숙청할지 모른다는 불안과 자송문(自訟文, 반성문)만 내면 별 일 없을 거라는 희망 속에서 갈팡질팡한다.
한편 이명방은 『열하일기』를 몰래 숨어 읽는 사람들의 모임인 ‘열하광’의 일원으로서 열심히 활동 중이다. ‘열하광’은 이덕무, 이덕무가 친딸처럼 아끼는 여인 명은주, 역관 조명수, 걸승 덕천, 서쾌 홍인태로 이루어져 있다.
‘열하광’의 마지막 모임이 있던 어느 날 의문의 무사 집단이 난입하여 조명수를 살해한다. 다음 날 정조에게 불려 간 이명방은 『열하』를 읽는 무리를 적발해 내라는 밀명을 받는다. 정조의 밀서를 안의현의 박지원에게 전달하고 부여의 박제가에게 들렀다가 한양으로 돌아온 이명방은 며칠 전 걸승 덕천이 자신의 표창에 찔려 살해당했음을 알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범행 현장인 북한산에서 이명방을 보았다는 목격자까지 나타난다.
졸지에 의금부에 쫓기는 신세가 된 이명방은 감기가 든 이덕무가 걱정되어 청심환을 사 들고 몰래 병문안을 간다. 그러나 다음 날 이덕무는 독살당한 시체로 발견되고 이명방은 꼼짝없이 살인 누명을 쓴다. 이명방은 결백을 밝히고자 동분서주하지만 그럴수록 오히려 불리한 증거만 나타난다.

▶ 등장 인물 소개
이명방 - ‘백탑파’ 연작의 주인공. 왕실의 종친이자 실력 있는 의금부 도사. 『열하일기』의 독서 모임인 『열하광』의 일원으로 활동하던 중, 정조에게서 금서 『열하일기』의 주해서를 낸 무리를 적발해 내라는 밀명을 받고 갈등에 사로잡힌다.
김진 - 이명방의 친구이자 꽃 미치광이. 금강산으로 여행을 떠났다가 후반부에 등장하여 놀라운 관찰력과 추리력으로 사건을 해결한다.
조명수 - 송도의 이름난 역관 집안 출신. ‘열하광’ 중에서 가장 먼저 살해된다.
홍인태 - 책 욕심이 많은 장사꾼. ‘억권루’라는 별채를 차리고 닥치는 대로 책을 수집한다.
덕천 - 수수께끼의 걸승.
명은주 - 이덕무가 친딸처럼 아끼는 여인. ‘열하광’의 일원이자 이명방의 연인.
박지원 - 『열하일기』의 저자. 백탑 서생들의 지도자.
이덕무 - ‘열하광’의 주도적 인물. 정조가 명한 자송문을 쓰느라 고심하다가 체력을 소진해 세상을 뜬다.
이옥 - 응제문을 소품체로 써서 정조로부터 정거(停擧, 일정 기간 과거를 못 보게 하는 일)를 명령받는다. 덕천이 살해되던 날 이명방을 북한산에서 보았다고 증언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01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7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300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3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99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98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7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97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2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96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7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95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4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94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4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93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4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92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291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90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89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88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87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7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286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6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285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1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84 217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2 file 강신철 2011.06.29 7708 김조년 바이북스 김조년 교수 2011-07-12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83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4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82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81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80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279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3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78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20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77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276 352 인문사회 탁월한 사유의 시선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file 이근완 2017.04.13 294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1세기북스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017-04-27 스페이스 C#4층 강당(대전 한국 화학연구원 정문) 2017년 4월 27일 오후 7시
275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3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274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66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273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79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2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74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1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1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0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294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9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5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8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9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67 356 인문사회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1 file 이근완 2017.07.05 312 최병관 미디어숲 최병관 2017-07-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6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65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264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263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62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