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07.08.09 00:19

생명 최초의 30억년

조회 수 57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4
저자 앤드류 놀
출판사 뿌리와이파리
발표자 이진석 회원
일자 2007-08-21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이 넓디넓은 우주에 지구가 생기고 나서 처음에 무엇이 있었을까? 지구와 우주의 기원에 대한 궁금증 이상으로 사람들의 호기심과 관심과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바로 생명의 기원에 관한 문제일 것이다. CNN과 「타임」지가 선정한 ‘미국 최고의 고생물학자’이자 생명의 진화와 지구환경 변천사 분야에서 손꼽히는 전문가인 앤드류 놀은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고스란히 담아 ‘생명 최초의 30억 년’을 거슬러 오르는 흥미진진한 여행에 우리를 초대한다. 갓 태어난 지구에서 탄생한 생명의 씨앗에서부터 캄브리아기 대폭발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기나긴 역사를 탐구하면서, 다양한 생명의 출현에 대한 새롭고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책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앤드류 놀




1977년에 하버드 대학에서 지질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하버드 대학 자연사 교수이며 미국과학아카데미 회원이다. 현재는 하버드 대학의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의 주임연구원이며, NASA의 화성탐사로봇 연구팀의 일원으로도 활동하면서「사이언스」, 「네이처」와 같은 유수 매체에 수십 편에 달하는 논문을 꾸준히 게재해왔다. 2006년에는 화성에 생물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가장 많은 지역의 하나로 꼽히는 메리디아니 평원의 퇴적지질에 관한 책 『Sedimentary Geology at Meridiani Planum, Mars』를 S. D. 스퀴레스Squyres와 공동으로 펴내기도 했다.









역자 : 김명주




성균관대학교 생물학과와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메이팅 마인드』, 『용-서양의 괴물 동양의 반짝이는 신』, 『사용설명서-술』 등이 있다.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옮긴이의 말
프롤로그

1. 처음에 무엇이 있었을까?
2. 생명의 계통수
3. 암석에 새겨진 생명의 지문
4. 생명이 움트던 시절에
5. 생명의 탄생
6. 산소혁명
7. 생물계의 미생물 영웅, 시아노박테리아
8. 진핵세포의 기원
9. 초기 진핵생물의 화석
10. 동물의 등장
11. 마침내 캄브리아기로
12. 역동적인 지구, 너그러운 생태계
13. 우주로 향하는 고생물학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 책속으로
 







『생명 최초의 30억 년』은 역사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공룡이 살기 전에, 삼엽충이 살기 전에, 온갖 동물들이 나타나기 전에 이 지구에 왔다 간 생명의 역사를 돌아보는 책이다. 내 이야기는 동물의 다양화가 막 시작된 캄브리아기 바다에서 막이 오른다. 그런 후 장면은 지구 초기의 바다에서 만들어진 더 오래된 암석으로 넘어갈 것이다. 그 다음에 생명의 오랜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을 알아본 뒤, 지구의 초기 생물에 대한 끊어지고 잘린 불완전한 기록을 탐구하며 생명의 기원에 대한 이런저런 가능성을 생각해볼 것이다. 그러고 나서 화석과 분자 흔적을 따라서 지질연대를 차차 거슬러 올라갔다가, 마지막에는 다시 캄브리아기 ‘대폭발’로 돌아온다. 그때 여러분은 캄브리아기 대폭발을 선캄브리아 시대의 오랜 생명 역사의 절정인 동시에, 선캄브리아 시대와 이별하는 새로운 출발점으로서 다시 보게 될 것이다.
나는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이 책을 썼다. 첫 번째 목표는 명백하다. (…) 나는 과학판 창세기는 넋을 쏙 빼놓을 만큼 흥미로운 이야기로서, 제대로만 씌어진다면 생물의 과거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를 둘러싼 지구와 자연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생명의 다양성은 지난 40억 년 동안의 진화의 산물이다. 따라서 생명의 오랜 진화사를 제대로 알고 났을 때 우리는 지구의 관리자로서 져야 할 책임을 포함하여 이 세계 속에서 인류의 위치가 어디쯤인지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진화의 첫 부분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흔히 생명의 역사는 아브라함의 자손들처럼 열거된다. 박테리아가 원생동물을 낳고, 원생동물이 무척추동물을 낳고, 무척추동물이 어류를 낳았다는 식이다. 이런 일반상식 목록들은 암기하면 그뿐, 생각할 게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나는 이 이야기를 하나의 프로젝트처럼 이야기할 작정이다. 지구의 후미진 곳에서 우연히 암석과 화석을 발견하고, 실험실에서 분석하고, 오늘날에도 관측 가능한 과정(단, 환경은 반드시 현재 관측 가능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에 비추어 해석하는 프로젝트로서 말이다. 여기서 자연스럽게, 가장 유서 깊은 과학 분야인 고생물학의 발견과 분자생물학 및 지구화학의 최신 연구성과가 함께 엮이게 될 것이다. (…)
마지막 목표는, 우리의 생물학적 과거의 파편들을 캐내어 평가한 다음에 한 발 물러나 미로처럼 얽힌 과거의 개별구성원들을 한눈에 비춰줄 일반원칙을 찾아보는 것이다. (…)
진화사의 한 가지 분명한 주제는 생명의 다양성의 축적이다. 각각의 종(최소한 핵이 있는 생물)은 지질학적인 변천 속에서 왔다가 사라지고, 멸종은 경쟁과 환경변화의 세계에서 개체군이 불안정했다는 표시이다. 하지만 형태적 생리적으로 다양한 삶의 방식들의 역사는 축적된다. 긴 안목으로 바라본 진화는 분명히, 생태계 작동법칙의 지배를 받는 축적의 역사이다. 아브라함의 계보와 같은 주인공 갈아 치우기식 접근은 생물의 역사가 가지고 있는 이런 기본적인 속성을 포착하지 못한다.
진화사의 또 하나의 주제는 지구와 생물의 공진화다. 생물과 환경은 둘 다 시간이 흐르면서 극적인 변화를 겪었고, 이따금씩은 손에 손을 잡고 변화했다. 기후변동, 지리적 조건, 대기와 바다의 조성변화는 진화의 진로에 영향을 주었고, 또 거꾸로 생물의 혁신들이 환경의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사실 지구의 오랜 역사를 아우르는 큰 그림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이다. 화석에 기록된 진화의 대서사는 무엇보다도 유전적 가능성과 생태적 기회 사이의 계속된 상호작용을 담고 있다. (…)
옛 사람들의 창조 이야기에는 경외와 겸손이 깃들어 있다. 과학 쪽 창조 이야기에도 이 둘이 함께한다면 더할 나위 없으리라. 프롤로그 --- p. 14~17

북시베리아의 코투이칸 강을 따라 발견되는 화석들은 캄브리아기 ‘대폭발’을 기록하고 있다. 캄브리아기 대폭발은 약 5억 4,300만 년 전 무렵, 다양한 동물이 폭발하듯 나타난 사건을 말한다. 찰스 다윈은 무려 100여 년 전에, 캄브리아기의 화석들을 보면서 생물 진화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품었다. 캄브리아기에 나타난 이미 복잡한 이 동물들 전에는 어떤 생물들이 살았던 걸까? 캄브리아기 암석보다 더 오래된 암석을 찾을 수 있을까? 찾는다면, 거기에는 지구에 맨 처음 탄생했던 생물의 기록이 남아 있을까? --- p.19

지질기록에 대한 다윈의 묘사는 특히 인상적이다. “세계의 역사는 불완전하게 기록되고, 변화무쌍한 방언으로 씌어진다. 이런 역사 가운데서 우리는 겨우 두세 나라만을 다룬 마지막 한 권만을 가지고 있다. 이 한 권도, 드문드문 남은 몇 개의 장만이 보존되었고, 한 페이지 속에서도 드문드문 몇 줄만이 남아 있다.”
(…) 곧, 퇴적암은 지구 역사의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여기저기서 드문드문 찍은 스냅사진의 연속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 p. 27

다양한 생물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만든 생명의 계통수에서 보면, 식물과 동물들은 고작 가지 한 개의 끄트머리에 달린 작은 잔가지들일 뿐이다. 사실 다양성으로도 한 수 위이며 분명히 역사도 더 깊은 생물은 미생물이다.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에서 초기 생명의 증거를 찾으려면, 우선 박테리아와 고세균이라는 지구 생태계의 자그마한 건축가들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 p.33

생명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지질학과 비교생물학의 지식을 한데 엮어야만 한다. 그러니까 살아 있는 생물의 도움을 받아 굳어버린 화석에 숨결을 불어넣고, 화석의 도움을 받아 생물이 오늘날과 같이 다양해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 p. 35

사실 우리가 박테리아의 세상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니다. 왜 그랬을까를 따지는 것은 역사의 문제일 수 있지만, 생명의 다양성과 생태계 작동의 문제이기도 하다. 진화에서 동물의 대부분은 장식일 뿐이고, 케이크의 본체를 이루고 있는 것은 박테리아다. (…) 크기와 모양에서는 누가 봐도 진핵생물이 낫다. 하지만 형태는 생태학적 중요성을 가늠하는 여러 가지 척도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물질대사, 곧 “생물이 어떻게 물질과 에너지를 얻는가”라는 또 다른 척도를 들이대면 문제는 달라진다. 이 기준에 비추어 보면, 눈부신 다양성을 뽐내는 쪽은 오히려 원핵생물이다. --- p. 38~39

이와 같이 놀랍도록 다양한 원핵생물을 진핵생물과 함께 생물 전체를 아우르는 계통사로 어떻게 정리할 수 있을까? 크기와 모양으로는 할 수가 없고, 생리기능으로도 마찬가지다. 균류와 코끼리, 대장균과 레드우드처럼 제각각인 생물들은 달라도 너무 달라서, 형태와 기능만으로는 신빙성 있는 계통수를 만들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생명을 하나로 결합해주는 대상, 곧 모든 생물이 공유하는 공통된 분자적 특징으로 돌아가야 한다. (…) 워스는 리보솜 서브유닛의 RNA 염기서열을 비교함으로써 미생물의 세계에 계통학을 가져왔고, 이로써 진정한 의미를 갖는 ‘생명의 계통수’의 씨앗을 뿌렸다. --- p. 44~45

우리는 생명의 계통수를 통해 지구 역사를 추측한 후, 이것을 지질학적 기록을 가지고 검증해볼 수 있다. 생명의 계통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우리가 현재 접하는 생물과 환경이 비교적 최근에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곧, 생명의 초기 역사는 미생물의 역사란 것이다. 그리고 하나 더 기억할 것은, 생명이 언제나 그 모습 그대로인 행성에서 진화한 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생명과 환경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생명과 환경이 함께 참여하는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에 의해 공동운명체로 묶인 채로 함께 진화했다. --- p. 53

북빙양(북극해)의 스피츠베르겐 섬에 있는 퇴적암들은 캄브리아기 대폭발이 일어나기 한참 전인 6~8억 년 전에 형성되었다. 이 암석들에는 동물의 흔적은 전혀 없다. 그러나 현미경 아래에서 보면 시아노박테리아, 조류, 원생동물의 미화석이 가득하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스트로마톨라이트다. 이것은 미생물 군집에 의해 만들어진 암초 같이 생긴 암석구조다. 그러나 무엇보다 폭넓게 분포하는 것은 미생물 물질대사가 남긴 화학흔적들이다. --- p. 55

호주 서부에 있는 35억 년 전의 와라우나 층군의 퇴적암은 지구 초기의 생명과 환경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창이다. 와라우나 층군의 암석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박테리아 화석으로 해석될 수 있는 미세구조가 존재하지만 이 해석은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화학흔적은 생명의 처음이 언제인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하지만, 그 흔적이 기록하고 있는 생물이 무엇인지는 불확실하다. 지구 초기의 생명에 대한 지질학적 탐사는 아직까지 어두운 유리창 속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 --- p.79

어느 분자가 먼저 생겼든(만일 둘 중 하나라면) 원시진화의 가장 심오한 수수께끼를 꼽으라면, 단백질과 핵산이 상호작용하면서 상대의 존속을 책임지는 계가 등장한 일일 것이다. 생명의 기원에 대해 깊이 고민했던 저명한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Freeman Dyson은 생명이 실은 두 번 발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 번은 RNA의 길을 통해서고, 또 한 번은 단백질의 길을 통해서. 그 다음에 원시생명의 합병에 의해 단백질과 핵산이 한자리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세포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 동맹에 의한 혁신이야말로 진화의 영원한 주제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문제로 볼 때 다이슨의 주장은 분명히 매력적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보다 훨씬 복잡하다. 자물쇠와 열쇠의 문제가 또 있기 때문이다. 핵산과 단백질이 주고받는 분자의 대화를 중재하는 것은 유전암호다. 유전암호는 뉴클레오티드의 분자언어를 단백질의 구성단위인 아미노산 사슬로 번역할 때 필요한 일련의 화학통신문이다. 유전암호는 정말 프랜시스 크릭의 말처럼 ‘동결사건’(먼 과거의 우발적 사건이 현생 생물의 일반적 특성을 결정했다는 개념: 옮긴이)이었을까? 그랬다면 그 사건은 어떤 사건이었을까? 다시 말해, 이 분자법칙을 지배하는 화학법칙이 있는 걸까? 있다면 그게 뭘까? 유전암호의 기원이 무엇이며, 그것으로부터 복잡한 생화학적 작용을 하는 생명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지금까지 생물의 가장 심오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 p.123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79 409 자연과학 우주날씨 이야기 file 조수윤 2019.11.13 272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플루토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2019-11-26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78 32 마당을 나온 암탉 file 관리자 2003.09.30 3944 황선미 사계절 아동문고 장미란 2003-10-25
477 92 꽃의 고요 file 관리자 2006.04.12 3693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황동규 2006-04-25
476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6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5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4 72 CEO 박정희 file 관리자 2005.06.14 3824 홍하상 국일미디어 이석봉 2005-06-28
473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472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1 265 나는 왜 일하는가 file 유화현 2013.07.11 4754 헬렌 S. 정 인라잇먼트 문경목 회원님 2013-07-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0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3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69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68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467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6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19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65 306 문학예술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file 이정원 2015.04.20 1117 허나영 미진사 저자 허나영 2015-04-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64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49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3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462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461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2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460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459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0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8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457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56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06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455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8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454 7 상하이 리포트 file 관리자 2003.06.21 4343 한국경제 특별 취재팀 은행나무 2002-09-10
453 461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8] 소년이 온다 file 조수윤 2022.11.24 273 한강 창비 책밤지기 : 편성준 작가 2022-12-13 이도저도 오후 7:15
452 9 오만한 제국 file 관리자 2003.06.21 4723 하워드 진 당대 2002-08-14
451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50 44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2]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file 조수윤 2022.03.29 363 하미나 동아시아 책밤지기 : 정인경 작가 2022-04-12 이도저도 오후 7:15
449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39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448 273 더 선(The Son) 3 file 유화현 2013.11.15 5234 필립 마이어 (Philipp Meyer) 올(사피엔스21) 임재서 번역가(백북스 회원) 2013-11-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47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446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445 10 Next Society file 관리자 2003.06.21 4544 피터드러커 한국경제신문 2002-10-26
444 45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1] 욕망의 모호한 대상 file 조수윤 2022.08.11 268 피에르 루이스 불란서책방 책밤지기 : 조진주 바이올리니스트 2022-08-23 이도저도 오후 7:15
443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3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442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1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1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0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