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7.07.25 21:08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조회 수 54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3
저자 존 맨
출판사 예지
발표자 정원수
일자 2007-08-07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알파벳을 사용한 그리스인들은 문명의 질적 도약을 이루었고 이후 서양문명의 바탕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을 가능케 한 알파벳의 힘, 그것은 인간이 내는 소리를 20~30개의 뜻 모를 기호로 표기한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단순함과 모호함이다. 알파벳이 지금의 단순함을 얻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인류 문명의 교류와 그에 따른 지적 진화를 살펴보는 일에 다름 아니다.

알파벳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그리스인들이 그 최초의 사용자는 아니다. 그들은 운 좋게도 알파벳을 만든 문화권 가까이에 있었고, 또 알파벳을 받아들이기에 유리한 사회 진화의 단계에 있었을 뿐이다. 이보다 훨씬 오래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상인과 성직자들이 기록한 장부에서 알파벳의 맹아를 찾아낼 수 있다. 이것이 이집트와 히브리를 거쳐 페니키아에 이르러 제대로 알파벳의 모양을 갖추고, 그리스에 이르러 그 폭발력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알파벳의 성립과정을 따라가며 그 도상에 있었던 문화들을 생생하게 재현해놓은 팩션(faction. fact와 fiction의 합성어)이다. 그 과정에서 현대사에서는 국제 분쟁의 뜨거운 감자가 되어버린 중동의 고대 도시들이 지금의 파리, 런던, 뉴욕처럼 되살아난다. 또한 경쟁이 치열했던 유적지 발굴과 비문 해독의 과정을 보는 재미도 적지 않다.

특히 현재 알파벳 철자법의 문제점들을 짚어보는 과정에서 한글에 대해 평가하고 있는 부분이 흥미롭다. 한글도 알파벳의 이 기나긴 여정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한글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으로 평가받기에 손색이 없다는 저자의 지적에서 우리는 한글을 문명 교류의 관점에서 다시 평가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독일 연구와 과학사를 전공한 영국의 역사가이며, 몽골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저서로는『구텐베르크 혁명』이 있다. 또한『고비 사막을 따라가며』와『서기 1000년의 세계 지도』를 썼다. 영국의 Channel 4와 Radio 4에 다수의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 알파벳 다시 보기
들어가며 : 단순한 알파벳의 힘

1. 알파벳의 진짜 발명가는?
2. 언어의 난점
3. 알파벳 선배들의 운명
4. 황야에서 시작되다
5. 알파벳의 꿈, 한글
6. 성서의 땅, 시나이
7. 자주색의 땅, 페니키아
8. 이기적인 알파벳
9. 위대한 도약
10. 비운의 에트루리아 문자
11. 동방에서 멈추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내용중에서

 

나는 글을 알았던 그 아시아인들이 뭔가 혁명적인 것을 발명한다는 생각을 가졌다고 상상하고 싶다. 말하자면 그들의 생각은 이러했을 것이다. 성용문자와 상형문자는 그들의 것이고, 이 문자는 우리의 것이다. 이 문자를 통해 우리는 경멸스런 외국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이집트인들은 모르고 우리만 쉽게 이해하는 문자기호가 있다면, 우리는 우리의 무역과 재산 내역을 기록할 수 있고 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스스로의 문자로 묘비명을 새길 수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발명이 엄청난 혁명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을 것이다. 새로 발명된 문자는 떠오르는 신흥 민족에게 구심점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문화와 언어의 경계를 넘어 사방으로 퍼져나가 야심을 가진 주변부 사회들이 단순한 문자 체계의 이득을 폭넓게 누릴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p.138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21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50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20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9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62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18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3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7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7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2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15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62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14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22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13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2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2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1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40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10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6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9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9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8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7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7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7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06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25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05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204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43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203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105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82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 96 기타 타인최면 file 관리자 2006.06.20 5259 류한평 갑진출판사 류한평 2006-06-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6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 103 인문사회 고수기행 file 관리자 2006.09.27 4935 조용헌 랜덤하우스중앙 조용헌 2006-10-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 94 인문사회 탐독 file 관리자 2006.05.10 4168 이정우 아고라 이정우 2006-05-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7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8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6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2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5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9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4 111 인문사회 나비와 전사 file 관리자 2007.01.24 4932 고미숙 휴머니스트 고미숙 2007-02-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3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30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2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4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1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54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0 100 자연과학 블랙홀이 불쑥불쑥 file 관리자 2006.08.10 4600 박석재 주니어김영사 박석재 원장 2006-08-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9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7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8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74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7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8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6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5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5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4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3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3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6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2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8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