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7.07.25 21:08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조회 수 54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3
저자 존 맨
출판사 예지
발표자 정원수
일자 2007-08-07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알파벳을 사용한 그리스인들은 문명의 질적 도약을 이루었고 이후 서양문명의 바탕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을 가능케 한 알파벳의 힘, 그것은 인간이 내는 소리를 20~30개의 뜻 모를 기호로 표기한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단순함과 모호함이다. 알파벳이 지금의 단순함을 얻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인류 문명의 교류와 그에 따른 지적 진화를 살펴보는 일에 다름 아니다.

알파벳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그리스인들이 그 최초의 사용자는 아니다. 그들은 운 좋게도 알파벳을 만든 문화권 가까이에 있었고, 또 알파벳을 받아들이기에 유리한 사회 진화의 단계에 있었을 뿐이다. 이보다 훨씬 오래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상인과 성직자들이 기록한 장부에서 알파벳의 맹아를 찾아낼 수 있다. 이것이 이집트와 히브리를 거쳐 페니키아에 이르러 제대로 알파벳의 모양을 갖추고, 그리스에 이르러 그 폭발력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알파벳의 성립과정을 따라가며 그 도상에 있었던 문화들을 생생하게 재현해놓은 팩션(faction. fact와 fiction의 합성어)이다. 그 과정에서 현대사에서는 국제 분쟁의 뜨거운 감자가 되어버린 중동의 고대 도시들이 지금의 파리, 런던, 뉴욕처럼 되살아난다. 또한 경쟁이 치열했던 유적지 발굴과 비문 해독의 과정을 보는 재미도 적지 않다.

특히 현재 알파벳 철자법의 문제점들을 짚어보는 과정에서 한글에 대해 평가하고 있는 부분이 흥미롭다. 한글도 알파벳의 이 기나긴 여정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한글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으로 평가받기에 손색이 없다는 저자의 지적에서 우리는 한글을 문명 교류의 관점에서 다시 평가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독일 연구와 과학사를 전공한 영국의 역사가이며, 몽골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저서로는『구텐베르크 혁명』이 있다. 또한『고비 사막을 따라가며』와『서기 1000년의 세계 지도』를 썼다. 영국의 Channel 4와 Radio 4에 다수의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 알파벳 다시 보기
들어가며 : 단순한 알파벳의 힘

1. 알파벳의 진짜 발명가는?
2. 언어의 난점
3. 알파벳 선배들의 운명
4. 황야에서 시작되다
5. 알파벳의 꿈, 한글
6. 성서의 땅, 시나이
7. 자주색의 땅, 페니키아
8. 이기적인 알파벳
9. 위대한 도약
10. 비운의 에트루리아 문자
11. 동방에서 멈추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내용중에서

 

나는 글을 알았던 그 아시아인들이 뭔가 혁명적인 것을 발명한다는 생각을 가졌다고 상상하고 싶다. 말하자면 그들의 생각은 이러했을 것이다. 성용문자와 상형문자는 그들의 것이고, 이 문자는 우리의 것이다. 이 문자를 통해 우리는 경멸스런 외국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이집트인들은 모르고 우리만 쉽게 이해하는 문자기호가 있다면, 우리는 우리의 무역과 재산 내역을 기록할 수 있고 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스스로의 문자로 묘비명을 새길 수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발명이 엄청난 혁명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을 것이다. 새로 발명된 문자는 떠오르는 신흥 민족에게 구심점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문화와 언어의 경계를 넘어 사방으로 퍼져나가 야심을 가진 주변부 사회들이 단순한 문자 체계의 이득을 폭넓게 누릴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p.138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0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304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379 45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9]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file 조수윤 2022.07.16 247 마쓰이에 마사시 비채 책밤지기 : 도헌정(폴인 에디터) 2022-07-26 이도저도 오후 7:15
378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60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377 42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8] 페르세폴리스 file 조수윤 2021.03.03 270 마르잔 사트라피 휴머니스트 책밤지기 : 김태형 2021-03-09 대전 대흥동 가까운책방 오후 7:15
376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9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375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79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374 42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7] 사람, 장소, 환대 file 조수윤 2021.02.10 306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책밤지기 : 김겨울 2021-02-23 이도저도 오후 7:15
373 44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6] 우아한 우주 file 조수윤 2022.05.30 334 엘라 프랜시스 샌더스 프시케의숲 책밤지기 : 궤도(안될과학 과학 커뮤니케이터) 2022-06-14 이도저도 오후 7:15
372 45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8]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file 조수윤 2022.06.30 277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사상사 책밤지기 : 곽한영 교수(부산대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2022-07-12 이도저도 오후 7:15
371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31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370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302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369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42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368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5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367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34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366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92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65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6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364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71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363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90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62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7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1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9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60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76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9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6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58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31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357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81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56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7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355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7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4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87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3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37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2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7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1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9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350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221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49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5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48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8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47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46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68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345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9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44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7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43 65 코스모스 관리자 2005.02.16 3808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조재흥 2005-03-08
342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41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63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