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7.07.25 21:08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조회 수 54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3
저자 존 맨
출판사 예지
발표자 정원수
일자 2007-08-07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알파벳을 사용한 그리스인들은 문명의 질적 도약을 이루었고 이후 서양문명의 바탕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을 가능케 한 알파벳의 힘, 그것은 인간이 내는 소리를 20~30개의 뜻 모를 기호로 표기한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단순함과 모호함이다. 알파벳이 지금의 단순함을 얻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인류 문명의 교류와 그에 따른 지적 진화를 살펴보는 일에 다름 아니다.

알파벳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그리스인들이 그 최초의 사용자는 아니다. 그들은 운 좋게도 알파벳을 만든 문화권 가까이에 있었고, 또 알파벳을 받아들이기에 유리한 사회 진화의 단계에 있었을 뿐이다. 이보다 훨씬 오래전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상인과 성직자들이 기록한 장부에서 알파벳의 맹아를 찾아낼 수 있다. 이것이 이집트와 히브리를 거쳐 페니키아에 이르러 제대로 알파벳의 모양을 갖추고, 그리스에 이르러 그 폭발력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알파벳의 성립과정을 따라가며 그 도상에 있었던 문화들을 생생하게 재현해놓은 팩션(faction. fact와 fiction의 합성어)이다. 그 과정에서 현대사에서는 국제 분쟁의 뜨거운 감자가 되어버린 중동의 고대 도시들이 지금의 파리, 런던, 뉴욕처럼 되살아난다. 또한 경쟁이 치열했던 유적지 발굴과 비문 해독의 과정을 보는 재미도 적지 않다.

특히 현재 알파벳 철자법의 문제점들을 짚어보는 과정에서 한글에 대해 평가하고 있는 부분이 흥미롭다. 한글도 알파벳의 이 기나긴 여정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한글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으로 평가받기에 손색이 없다는 저자의 지적에서 우리는 한글을 문명 교류의 관점에서 다시 평가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독일 연구와 과학사를 전공한 영국의 역사가이며, 몽골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저서로는『구텐베르크 혁명』이 있다. 또한『고비 사막을 따라가며』와『서기 1000년의 세계 지도』를 썼다. 영국의 Channel 4와 Radio 4에 다수의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 알파벳 다시 보기
들어가며 : 단순한 알파벳의 힘

1. 알파벳의 진짜 발명가는?
2. 언어의 난점
3. 알파벳 선배들의 운명
4. 황야에서 시작되다
5. 알파벳의 꿈, 한글
6. 성서의 땅, 시나이
7. 자주색의 땅, 페니키아
8. 이기적인 알파벳
9. 위대한 도약
10. 비운의 에트루리아 문자
11. 동방에서 멈추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내용중에서

 

나는 글을 알았던 그 아시아인들이 뭔가 혁명적인 것을 발명한다는 생각을 가졌다고 상상하고 싶다. 말하자면 그들의 생각은 이러했을 것이다. 성용문자와 상형문자는 그들의 것이고, 이 문자는 우리의 것이다. 이 문자를 통해 우리는 경멸스런 외국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이집트인들은 모르고 우리만 쉽게 이해하는 문자기호가 있다면, 우리는 우리의 무역과 재산 내역을 기록할 수 있고 아시아의 여러 민족이 스스로의 문자로 묘비명을 새길 수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발명이 엄청난 혁명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을 것이다. 새로 발명된 문자는 떠오르는 신흥 민족에게 구심점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문화와 언어의 경계를 넘어 사방으로 퍼져나가 야심을 가진 주변부 사회들이 단순한 문자 체계의 이득을 폭넓게 누릴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p.138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0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8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9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8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4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7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55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16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41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5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106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502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3 361 인문사회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file 이근완 2017.09.21 209 마셜 맥루언 저, 김성기 역 민음사 강신철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2017-09-26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19시 30분
12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11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40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10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8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8 28 생각의 속도 1 file 관리자 2003.07.21 3887 빌게이츠 청림출판 강신철 2003-08-12
7 43 변경 file 관리자 2004.03.23 3514 렁청진 더난출판 강신철 2004-04-07
6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3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5 85 경영.경제.인생 강좌 45편 file 관리자 2005.12.21 3613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강신철 2006-01-10
4 307 인문사회 모델링 file 강신철 2015.05.04 1246 강신철 글누리 강신철 2015-05-12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 67 양자역학의 모험 관리자 2005.03.21 4405 T.C of LEX 과학과문화 (science culture) 강성열 2005-04-13
2 286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file 유화현 2014.05.30 5219 강명관 천년의 상상 강명관 교수(저자) 2014-06-10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7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