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7.07.02 20:14

이것이 한국화다

조회 수 46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1
저자 류병학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이종상
일자 2007-07-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랑의 작품세계를 통해 본 한국화의 세계!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복잡다단한 미술계의 지형(地形)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그 작가는 미술계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인물이어야 한다. 미술계의 한복판에서 도도한 미술의 물살을 온몸으로 헤쳐온 작가의 길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한 시대의 미술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일랑 이종상의 경우가 그렇다. 일랑은 한국화의 전통을 이어받으며 한국화의 체질개선에 힘쓰는 한편, 열정적으로 자신의 작품세계를 일궈왔다. 그는 이미 한국현대미술사에 자신의 이름을 굵은 고딕체로 새겨 놓을 만큼 비중있는 작가이다. 그런 만큼 일랑의 삶과 예술을 들여다보는 일은 곧 한국화의 지형지세를 파악하는 일과 다를 바 없다.

『이것이 한국화다』는 한국화가 일랑 이종상(서울대박물관장)의 작품 읽기를 '통해' 한국화의 세계를 조명한 야심찬 기획물이다.

한국 미술계에서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집중 조명한 평론집이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는 거의 유례가 없다. 그만큼 호흡이 긴 미술평론가가 드물기 때문이다. 미술잡지나 전시 도록의 조각 글쓰기에 길든 평론가에게, 한 작가의 전작에 대한 단행본 집필을 기대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은 미술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내용의 질적 평가를 차지하고서라도 출간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각별하다.


현대진경의 길과 한국화의 길

이 책은 일랑 회화의 본령인 현대진경의 궤적을 좇아, 일랑의 초기 작품부터 근작까지를 탐색하고 있다. 지은이는 일랑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각종 글과 관련 자료들을 종횡무진 횡단하며 정치한 작품 읽기를 시도한다. 그러니까 지은이는 다른 평론가가 쓴 기존의 글들에 귀를 기울이되 그 글이 놓치거나 오독(誤讀)한 부분 등을 샅샅이 추적하며, 이를 바로잡아서 재평가하고, 또 확장시킨다.

1960년대 일랑 이종상은 데뷔 당시 3회 연속 국전 입상, 최연소 국전 초대작가로 선정되는 등 출발부터 화단에서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일랑은 화가로서는 드물게 박사학위(철학박사)를 받을 만큼 해박한 이론가로도 알려져 있다. 이런 작가로서 일랑의 삶은 내내 "좌절이 없는 상승세를 유지"해 왔다. 한국화 하면 겸재 정선이나 단원 김홍도의 성취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던 때에 일랑이 발표하는 작업은 놀라운 것이었다. 당시 일상의 모습을 화폭에 담은 신(新) 풍속화로, 고대벽화와 맥락을 이루는 신(新) 벽화 시리즈로, 탑이 서 있고 케이블이 지나가는 남산의 풍경을 솔직하게 그린 현대진경(現代眞景) 시리즈로, 풍수지리 사상을 적극 반영한 '원형상' 시리즈로, 그리고 루브르 카루젤 샤를르 5세 지하홀의 대형 설치작업까지 그는 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해왔다. 그것은 일관성 없는 확장이 아니라 심화를 향한 확장의 과정이었다. 이를 지은이는 현대진경의 구현이라고 정리한다.

이러한 일랑 40년 동안의 전 작품을 이 책에서는 3부로 나눠 담고 있다. 1부에서 신(新) 풍속화와 신(新) 벽화 시리즈, 그리고 현대진경 시리즈 등 일랑 이종상의 초기 작품을 정치, 사회, 미술사적 맥락에서 두루 살펴보며, 2부에서는 일랑 작품의 대표격인 '원형상' 시리즈를 풍수지리, 동양사상, 서양미술 등과 비교하며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일랑이 천착하고자 했던 한국미술의 자생성에 대한 다른 텍스트들에 비판의 칼날과 대안을 들이대며 일랑의 작업을 평가하고, 덧붙여 루브르에서 있었던 한지벽화 작업의 의미를 천착한다.

일랑의 데뷔시절부터 지금까지, 그의 작품에 관해서는 수많은 평문이 생산되었다. 그런데 그것들은 한결같이 작품의 형식적인 분석에만 머물렀다. 지은이는 그 한계를 이렇게 지적한다. "대부분 국내외 평론가들은 이종상의 작품(들)을 언급하면서 그의 작품이 제작된 시기나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을 간과하곤 했다. 물론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특정의 작품이 반드시 그와 같은 배경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허나 적어도 내가 보기에 이종상의 작품은 작품이 제작되던 당시의 다양한 배경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나는 이종상의작품세계를 미술세계라는 삶의 세계와 분리된 것으로 박제화시키는 일에서 거리를 두고자 했다. (……) 결국 나는 이종상(의 작품) 제 몫 찾아주기를 하기 위해 작품 자체뿐만 아니라 (이종상이 의식했건 혹은 의식하지 못했건) 작품을 둘러싼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맥락에 주목했다."
이런 의도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지은이는 작품의 형식적/미학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각 작품이 생산된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작품을 조명한다. 그래서 현실과 무관한 듯 보였던 일랑의 작품이 얼마나 현실과 밀착되어 있는가를 명징하게 보여주고, 한국화단의 중심인물이었던 일랑의 작업 과정이 곧 우리 한국화의 역정이었음을 흥미진진하게 드러낸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과 한국 화단의 실상, 그리고 생활인으로서 작가의 삶까지, 한 작가 작업에 영향을 끼친(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조회함으로써 일랑 회화의 역동적인 힘을 추출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종상 화화의 대장정은 자신의 조어(造語)인 '현대진경'의 구현으로 소실점이 모아진다. 이 현대진경은 겸재 정선의 '동국진경'을 변형시킨 것이다. 겸재는, 중국의 산수화에 젖줄을 댄 관념적인 산수화가 아니라 우리의 실감이 살아있는, 우리의 산수를 모티브로 하여 우리 산수에 맞는 화법으로 그려진 본격적인 신토불이 회화를 선보였다. 그는 이를 중국그림과 구별지어 '동국진경'이라 명명했다. 이 동국진경을 넘어서 현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 일랑의 현대진경인 셈이다. 바로 지금 여기에 필요한 현대적 감각으로 끌어올린, 즉 초기의 대장간 그림에서부터 아파트와 케이블이 들어선 남산의 풍경을 그린 '남산' 시리즈, 독도의 실경을 그린 '독도' 시리즈 등 그는 한결같이 자신이 호흡하고 있는 산하의 풍경을 실경(實景) 그대로 화폭에 담아왔다. 이런 행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풍수지리 사상에 기초한 '원형상' 시리즈로 무르익어 '현대진경'의 절창을 낳는다. 이 책은 이런 일랑의 회화세계를 '현대진경'이라는 키워드로 조명하되, 일랑의 예술적 성취를 그의 개인적인 성과물로 축소하지 않고, 드넓은 한국화의 문제의식으로 확장시킨다. 이 책의 가치는 이 점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06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305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304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6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303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02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01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0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9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8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1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7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35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6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5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4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3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2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1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5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0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9 326 문학예술 단순한 기쁨 file 이근완 2016.02.26 1587 아베 피에르(신부) 마음산책 이충무(건양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 2016-03-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8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7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6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2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5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4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3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2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1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0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9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8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7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2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76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5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74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73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72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1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0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9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68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67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