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7.07.02 20:14

이것이 한국화다

조회 수 46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1
저자 류병학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이종상
일자 2007-07-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랑의 작품세계를 통해 본 한국화의 세계!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복잡다단한 미술계의 지형(地形)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그 작가는 미술계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인물이어야 한다. 미술계의 한복판에서 도도한 미술의 물살을 온몸으로 헤쳐온 작가의 길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한 시대의 미술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일랑 이종상의 경우가 그렇다. 일랑은 한국화의 전통을 이어받으며 한국화의 체질개선에 힘쓰는 한편, 열정적으로 자신의 작품세계를 일궈왔다. 그는 이미 한국현대미술사에 자신의 이름을 굵은 고딕체로 새겨 놓을 만큼 비중있는 작가이다. 그런 만큼 일랑의 삶과 예술을 들여다보는 일은 곧 한국화의 지형지세를 파악하는 일과 다를 바 없다.

『이것이 한국화다』는 한국화가 일랑 이종상(서울대박물관장)의 작품 읽기를 '통해' 한국화의 세계를 조명한 야심찬 기획물이다.

한국 미술계에서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집중 조명한 평론집이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는 거의 유례가 없다. 그만큼 호흡이 긴 미술평론가가 드물기 때문이다. 미술잡지나 전시 도록의 조각 글쓰기에 길든 평론가에게, 한 작가의 전작에 대한 단행본 집필을 기대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은 미술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내용의 질적 평가를 차지하고서라도 출간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각별하다.


현대진경의 길과 한국화의 길

이 책은 일랑 회화의 본령인 현대진경의 궤적을 좇아, 일랑의 초기 작품부터 근작까지를 탐색하고 있다. 지은이는 일랑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각종 글과 관련 자료들을 종횡무진 횡단하며 정치한 작품 읽기를 시도한다. 그러니까 지은이는 다른 평론가가 쓴 기존의 글들에 귀를 기울이되 그 글이 놓치거나 오독(誤讀)한 부분 등을 샅샅이 추적하며, 이를 바로잡아서 재평가하고, 또 확장시킨다.

1960년대 일랑 이종상은 데뷔 당시 3회 연속 국전 입상, 최연소 국전 초대작가로 선정되는 등 출발부터 화단에서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일랑은 화가로서는 드물게 박사학위(철학박사)를 받을 만큼 해박한 이론가로도 알려져 있다. 이런 작가로서 일랑의 삶은 내내 "좌절이 없는 상승세를 유지"해 왔다. 한국화 하면 겸재 정선이나 단원 김홍도의 성취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던 때에 일랑이 발표하는 작업은 놀라운 것이었다. 당시 일상의 모습을 화폭에 담은 신(新) 풍속화로, 고대벽화와 맥락을 이루는 신(新) 벽화 시리즈로, 탑이 서 있고 케이블이 지나가는 남산의 풍경을 솔직하게 그린 현대진경(現代眞景) 시리즈로, 풍수지리 사상을 적극 반영한 '원형상' 시리즈로, 그리고 루브르 카루젤 샤를르 5세 지하홀의 대형 설치작업까지 그는 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해왔다. 그것은 일관성 없는 확장이 아니라 심화를 향한 확장의 과정이었다. 이를 지은이는 현대진경의 구현이라고 정리한다.

이러한 일랑 40년 동안의 전 작품을 이 책에서는 3부로 나눠 담고 있다. 1부에서 신(新) 풍속화와 신(新) 벽화 시리즈, 그리고 현대진경 시리즈 등 일랑 이종상의 초기 작품을 정치, 사회, 미술사적 맥락에서 두루 살펴보며, 2부에서는 일랑 작품의 대표격인 '원형상' 시리즈를 풍수지리, 동양사상, 서양미술 등과 비교하며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일랑이 천착하고자 했던 한국미술의 자생성에 대한 다른 텍스트들에 비판의 칼날과 대안을 들이대며 일랑의 작업을 평가하고, 덧붙여 루브르에서 있었던 한지벽화 작업의 의미를 천착한다.

일랑의 데뷔시절부터 지금까지, 그의 작품에 관해서는 수많은 평문이 생산되었다. 그런데 그것들은 한결같이 작품의 형식적인 분석에만 머물렀다. 지은이는 그 한계를 이렇게 지적한다. "대부분 국내외 평론가들은 이종상의 작품(들)을 언급하면서 그의 작품이 제작된 시기나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을 간과하곤 했다. 물론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특정의 작품이 반드시 그와 같은 배경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허나 적어도 내가 보기에 이종상의 작품은 작품이 제작되던 당시의 다양한 배경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나는 이종상의작품세계를 미술세계라는 삶의 세계와 분리된 것으로 박제화시키는 일에서 거리를 두고자 했다. (……) 결국 나는 이종상(의 작품) 제 몫 찾아주기를 하기 위해 작품 자체뿐만 아니라 (이종상이 의식했건 혹은 의식하지 못했건) 작품을 둘러싼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맥락에 주목했다."
이런 의도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지은이는 작품의 형식적/미학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각 작품이 생산된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작품을 조명한다. 그래서 현실과 무관한 듯 보였던 일랑의 작품이 얼마나 현실과 밀착되어 있는가를 명징하게 보여주고, 한국화단의 중심인물이었던 일랑의 작업 과정이 곧 우리 한국화의 역정이었음을 흥미진진하게 드러낸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과 한국 화단의 실상, 그리고 생활인으로서 작가의 삶까지, 한 작가 작업에 영향을 끼친(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조회함으로써 일랑 회화의 역동적인 힘을 추출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종상 화화의 대장정은 자신의 조어(造語)인 '현대진경'의 구현으로 소실점이 모아진다. 이 현대진경은 겸재 정선의 '동국진경'을 변형시킨 것이다. 겸재는, 중국의 산수화에 젖줄을 댄 관념적인 산수화가 아니라 우리의 실감이 살아있는, 우리의 산수를 모티브로 하여 우리 산수에 맞는 화법으로 그려진 본격적인 신토불이 회화를 선보였다. 그는 이를 중국그림과 구별지어 '동국진경'이라 명명했다. 이 동국진경을 넘어서 현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 일랑의 현대진경인 셈이다. 바로 지금 여기에 필요한 현대적 감각으로 끌어올린, 즉 초기의 대장간 그림에서부터 아파트와 케이블이 들어선 남산의 풍경을 그린 '남산' 시리즈, 독도의 실경을 그린 '독도' 시리즈 등 그는 한결같이 자신이 호흡하고 있는 산하의 풍경을 실경(實景) 그대로 화폭에 담아왔다. 이런 행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풍수지리 사상에 기초한 '원형상' 시리즈로 무르익어 '현대진경'의 절창을 낳는다. 이 책은 이런 일랑의 회화세계를 '현대진경'이라는 키워드로 조명하되, 일랑의 예술적 성취를 그의 개인적인 성과물로 축소하지 않고, 드넓은 한국화의 문제의식으로 확장시킨다. 이 책의 가치는 이 점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80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3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9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0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8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177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176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75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6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4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3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172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1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0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5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9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8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7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6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5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4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3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5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2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1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1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0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7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158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89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157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56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5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5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4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7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153 98 문학예술 루오전 1 file 관리자 2006.07.11 4582 루오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2006-07-25 대전시립미술관
152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151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50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4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149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148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4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147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2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146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4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145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4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4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3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2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1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