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7.07.02 20:14

이것이 한국화다

조회 수 46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1
저자 류병학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이종상
일자 2007-07-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랑의 작품세계를 통해 본 한국화의 세계!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복잡다단한 미술계의 지형(地形)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그 작가는 미술계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인물이어야 한다. 미술계의 한복판에서 도도한 미술의 물살을 온몸으로 헤쳐온 작가의 길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한 시대의 미술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일랑 이종상의 경우가 그렇다. 일랑은 한국화의 전통을 이어받으며 한국화의 체질개선에 힘쓰는 한편, 열정적으로 자신의 작품세계를 일궈왔다. 그는 이미 한국현대미술사에 자신의 이름을 굵은 고딕체로 새겨 놓을 만큼 비중있는 작가이다. 그런 만큼 일랑의 삶과 예술을 들여다보는 일은 곧 한국화의 지형지세를 파악하는 일과 다를 바 없다.

『이것이 한국화다』는 한국화가 일랑 이종상(서울대박물관장)의 작품 읽기를 '통해' 한국화의 세계를 조명한 야심찬 기획물이다.

한국 미술계에서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집중 조명한 평론집이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는 거의 유례가 없다. 그만큼 호흡이 긴 미술평론가가 드물기 때문이다. 미술잡지나 전시 도록의 조각 글쓰기에 길든 평론가에게, 한 작가의 전작에 대한 단행본 집필을 기대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은 미술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내용의 질적 평가를 차지하고서라도 출간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각별하다.


현대진경의 길과 한국화의 길

이 책은 일랑 회화의 본령인 현대진경의 궤적을 좇아, 일랑의 초기 작품부터 근작까지를 탐색하고 있다. 지은이는 일랑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각종 글과 관련 자료들을 종횡무진 횡단하며 정치한 작품 읽기를 시도한다. 그러니까 지은이는 다른 평론가가 쓴 기존의 글들에 귀를 기울이되 그 글이 놓치거나 오독(誤讀)한 부분 등을 샅샅이 추적하며, 이를 바로잡아서 재평가하고, 또 확장시킨다.

1960년대 일랑 이종상은 데뷔 당시 3회 연속 국전 입상, 최연소 국전 초대작가로 선정되는 등 출발부터 화단에서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일랑은 화가로서는 드물게 박사학위(철학박사)를 받을 만큼 해박한 이론가로도 알려져 있다. 이런 작가로서 일랑의 삶은 내내 "좌절이 없는 상승세를 유지"해 왔다. 한국화 하면 겸재 정선이나 단원 김홍도의 성취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던 때에 일랑이 발표하는 작업은 놀라운 것이었다. 당시 일상의 모습을 화폭에 담은 신(新) 풍속화로, 고대벽화와 맥락을 이루는 신(新) 벽화 시리즈로, 탑이 서 있고 케이블이 지나가는 남산의 풍경을 솔직하게 그린 현대진경(現代眞景) 시리즈로, 풍수지리 사상을 적극 반영한 '원형상' 시리즈로, 그리고 루브르 카루젤 샤를르 5세 지하홀의 대형 설치작업까지 그는 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해왔다. 그것은 일관성 없는 확장이 아니라 심화를 향한 확장의 과정이었다. 이를 지은이는 현대진경의 구현이라고 정리한다.

이러한 일랑 40년 동안의 전 작품을 이 책에서는 3부로 나눠 담고 있다. 1부에서 신(新) 풍속화와 신(新) 벽화 시리즈, 그리고 현대진경 시리즈 등 일랑 이종상의 초기 작품을 정치, 사회, 미술사적 맥락에서 두루 살펴보며, 2부에서는 일랑 작품의 대표격인 '원형상' 시리즈를 풍수지리, 동양사상, 서양미술 등과 비교하며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일랑이 천착하고자 했던 한국미술의 자생성에 대한 다른 텍스트들에 비판의 칼날과 대안을 들이대며 일랑의 작업을 평가하고, 덧붙여 루브르에서 있었던 한지벽화 작업의 의미를 천착한다.

일랑의 데뷔시절부터 지금까지, 그의 작품에 관해서는 수많은 평문이 생산되었다. 그런데 그것들은 한결같이 작품의 형식적인 분석에만 머물렀다. 지은이는 그 한계를 이렇게 지적한다. "대부분 국내외 평론가들은 이종상의 작품(들)을 언급하면서 그의 작품이 제작된 시기나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을 간과하곤 했다. 물론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특정의 작품이 반드시 그와 같은 배경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허나 적어도 내가 보기에 이종상의 작품은 작품이 제작되던 당시의 다양한 배경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나는 이종상의작품세계를 미술세계라는 삶의 세계와 분리된 것으로 박제화시키는 일에서 거리를 두고자 했다. (……) 결국 나는 이종상(의 작품) 제 몫 찾아주기를 하기 위해 작품 자체뿐만 아니라 (이종상이 의식했건 혹은 의식하지 못했건) 작품을 둘러싼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맥락에 주목했다."
이런 의도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지은이는 작품의 형식적/미학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각 작품이 생산된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작품을 조명한다. 그래서 현실과 무관한 듯 보였던 일랑의 작품이 얼마나 현실과 밀착되어 있는가를 명징하게 보여주고, 한국화단의 중심인물이었던 일랑의 작업 과정이 곧 우리 한국화의 역정이었음을 흥미진진하게 드러낸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과 한국 화단의 실상, 그리고 생활인으로서 작가의 삶까지, 한 작가 작업에 영향을 끼친(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조회함으로써 일랑 회화의 역동적인 힘을 추출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종상 화화의 대장정은 자신의 조어(造語)인 '현대진경'의 구현으로 소실점이 모아진다. 이 현대진경은 겸재 정선의 '동국진경'을 변형시킨 것이다. 겸재는, 중국의 산수화에 젖줄을 댄 관념적인 산수화가 아니라 우리의 실감이 살아있는, 우리의 산수를 모티브로 하여 우리 산수에 맞는 화법으로 그려진 본격적인 신토불이 회화를 선보였다. 그는 이를 중국그림과 구별지어 '동국진경'이라 명명했다. 이 동국진경을 넘어서 현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 일랑의 현대진경인 셈이다. 바로 지금 여기에 필요한 현대적 감각으로 끌어올린, 즉 초기의 대장간 그림에서부터 아파트와 케이블이 들어선 남산의 풍경을 그린 '남산' 시리즈, 독도의 실경을 그린 '독도' 시리즈 등 그는 한결같이 자신이 호흡하고 있는 산하의 풍경을 실경(實景) 그대로 화폭에 담아왔다. 이런 행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풍수지리 사상에 기초한 '원형상' 시리즈로 무르익어 '현대진경'의 절창을 낳는다. 이 책은 이런 일랑의 회화세계를 '현대진경'이라는 키워드로 조명하되, 일랑의 예술적 성취를 그의 개인적인 성과물로 축소하지 않고, 드넓은 한국화의 문제의식으로 확장시킨다. 이 책의 가치는 이 점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99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98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97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6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5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1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4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6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93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720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92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49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91 295 도마시장 file 유화현 2014.10.31 3611 박재홍 시인 개미 박재홍 시인 2014-11-11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90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9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8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8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287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6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79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5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0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4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283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2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1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7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280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79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78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277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6 30 최고경영자 예수 file 관리자 2003.08.29 3792 로리 베스 존스 한언 송윤호 2003-09-19
275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274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27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72 46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file 조수윤 2022.11.09 250 박주영 판사 김영사 송태호, 진종식,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태병권, 박순필, 송우주, 허은영 2022-11-22 이도저도 오후 7:15
271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72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0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6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69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68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67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266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65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1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4 47 유인원과의 산책 file 관리자 2004.05.25 3831 사이 몽고메리 르네상스 심정자 교수 2004-06-08
263 336 자연과학 뉴튼의 프린키피아 file 관리자 2016.08.02 287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박사 2016-08-09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2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61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0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5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