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7.07.02 20:14

이것이 한국화다

조회 수 46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1
저자 류병학
출판사 아트북스
발표자 이종상
일자 2007-07-10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랑의 작품세계를 통해 본 한국화의 세계!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복잡다단한 미술계의 지형(地形)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그 작가는 미술계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인물이어야 한다. 미술계의 한복판에서 도도한 미술의 물살을 온몸으로 헤쳐온 작가의 길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한 시대의 미술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일랑 이종상의 경우가 그렇다. 일랑은 한국화의 전통을 이어받으며 한국화의 체질개선에 힘쓰는 한편, 열정적으로 자신의 작품세계를 일궈왔다. 그는 이미 한국현대미술사에 자신의 이름을 굵은 고딕체로 새겨 놓을 만큼 비중있는 작가이다. 그런 만큼 일랑의 삶과 예술을 들여다보는 일은 곧 한국화의 지형지세를 파악하는 일과 다를 바 없다.

『이것이 한국화다』는 한국화가 일랑 이종상(서울대박물관장)의 작품 읽기를 '통해' 한국화의 세계를 조명한 야심찬 기획물이다.

한국 미술계에서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집중 조명한 평론집이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는 거의 유례가 없다. 그만큼 호흡이 긴 미술평론가가 드물기 때문이다. 미술잡지나 전시 도록의 조각 글쓰기에 길든 평론가에게, 한 작가의 전작에 대한 단행본 집필을 기대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은 미술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내용의 질적 평가를 차지하고서라도 출간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각별하다.


현대진경의 길과 한국화의 길

이 책은 일랑 회화의 본령인 현대진경의 궤적을 좇아, 일랑의 초기 작품부터 근작까지를 탐색하고 있다. 지은이는 일랑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각종 글과 관련 자료들을 종횡무진 횡단하며 정치한 작품 읽기를 시도한다. 그러니까 지은이는 다른 평론가가 쓴 기존의 글들에 귀를 기울이되 그 글이 놓치거나 오독(誤讀)한 부분 등을 샅샅이 추적하며, 이를 바로잡아서 재평가하고, 또 확장시킨다.

1960년대 일랑 이종상은 데뷔 당시 3회 연속 국전 입상, 최연소 국전 초대작가로 선정되는 등 출발부터 화단에서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일랑은 화가로서는 드물게 박사학위(철학박사)를 받을 만큼 해박한 이론가로도 알려져 있다. 이런 작가로서 일랑의 삶은 내내 "좌절이 없는 상승세를 유지"해 왔다. 한국화 하면 겸재 정선이나 단원 김홍도의 성취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던 때에 일랑이 발표하는 작업은 놀라운 것이었다. 당시 일상의 모습을 화폭에 담은 신(新) 풍속화로, 고대벽화와 맥락을 이루는 신(新) 벽화 시리즈로, 탑이 서 있고 케이블이 지나가는 남산의 풍경을 솔직하게 그린 현대진경(現代眞景) 시리즈로, 풍수지리 사상을 적극 반영한 '원형상' 시리즈로, 그리고 루브르 카루젤 샤를르 5세 지하홀의 대형 설치작업까지 그는 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해왔다. 그것은 일관성 없는 확장이 아니라 심화를 향한 확장의 과정이었다. 이를 지은이는 현대진경의 구현이라고 정리한다.

이러한 일랑 40년 동안의 전 작품을 이 책에서는 3부로 나눠 담고 있다. 1부에서 신(新) 풍속화와 신(新) 벽화 시리즈, 그리고 현대진경 시리즈 등 일랑 이종상의 초기 작품을 정치, 사회, 미술사적 맥락에서 두루 살펴보며, 2부에서는 일랑 작품의 대표격인 '원형상' 시리즈를 풍수지리, 동양사상, 서양미술 등과 비교하며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일랑이 천착하고자 했던 한국미술의 자생성에 대한 다른 텍스트들에 비판의 칼날과 대안을 들이대며 일랑의 작업을 평가하고, 덧붙여 루브르에서 있었던 한지벽화 작업의 의미를 천착한다.

일랑의 데뷔시절부터 지금까지, 그의 작품에 관해서는 수많은 평문이 생산되었다. 그런데 그것들은 한결같이 작품의 형식적인 분석에만 머물렀다. 지은이는 그 한계를 이렇게 지적한다. "대부분 국내외 평론가들은 이종상의 작품(들)을 언급하면서 그의 작품이 제작된 시기나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을 간과하곤 했다. 물론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특정의 작품이 반드시 그와 같은 배경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허나 적어도 내가 보기에 이종상의 작품은 작품이 제작되던 당시의 다양한 배경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나는 이종상의작품세계를 미술세계라는 삶의 세계와 분리된 것으로 박제화시키는 일에서 거리를 두고자 했다. (……) 결국 나는 이종상(의 작품) 제 몫 찾아주기를 하기 위해 작품 자체뿐만 아니라 (이종상이 의식했건 혹은 의식하지 못했건) 작품을 둘러싼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맥락에 주목했다."
이런 의도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지은이는 작품의 형식적/미학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각 작품이 생산된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작품을 조명한다. 그래서 현실과 무관한 듯 보였던 일랑의 작품이 얼마나 현실과 밀착되어 있는가를 명징하게 보여주고, 한국화단의 중심인물이었던 일랑의 작업 과정이 곧 우리 한국화의 역정이었음을 흥미진진하게 드러낸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과 한국 화단의 실상, 그리고 생활인으로서 작가의 삶까지, 한 작가 작업에 영향을 끼친(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조회함으로써 일랑 회화의 역동적인 힘을 추출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종상 화화의 대장정은 자신의 조어(造語)인 '현대진경'의 구현으로 소실점이 모아진다. 이 현대진경은 겸재 정선의 '동국진경'을 변형시킨 것이다. 겸재는, 중국의 산수화에 젖줄을 댄 관념적인 산수화가 아니라 우리의 실감이 살아있는, 우리의 산수를 모티브로 하여 우리 산수에 맞는 화법으로 그려진 본격적인 신토불이 회화를 선보였다. 그는 이를 중국그림과 구별지어 '동국진경'이라 명명했다. 이 동국진경을 넘어서 현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 일랑의 현대진경인 셈이다. 바로 지금 여기에 필요한 현대적 감각으로 끌어올린, 즉 초기의 대장간 그림에서부터 아파트와 케이블이 들어선 남산의 풍경을 그린 '남산' 시리즈, 독도의 실경을 그린 '독도' 시리즈 등 그는 한결같이 자신이 호흡하고 있는 산하의 풍경을 실경(實景) 그대로 화폭에 담아왔다. 이런 행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풍수지리 사상에 기초한 '원형상' 시리즈로 무르익어 '현대진경'의 절창을 낳는다. 이 책은 이런 일랑의 회화세계를 '현대진경'이라는 키워드로 조명하되, 일랑의 예술적 성취를 그의 개인적인 성과물로 축소하지 않고, 드넓은 한국화의 문제의식으로 확장시킨다. 이 책의 가치는 이 점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5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4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6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29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4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6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2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1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3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0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9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86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0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26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1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3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2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22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19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5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35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17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73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6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5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88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14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3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4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12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0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9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0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8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34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6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18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3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1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2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44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1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