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54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7
저자 은정희
출판사 일지사
발표자 박문호
일자 2007-05-0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hompy.buddhapia.com/homepy/wonhyo/content/0000000365_2735_0000133215.asp











"모든 의구심 원효 안에서 풀지요"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갈라진 세상. 마음마저 갈라져 삶은 거칠어져만 간다. 이 같은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논할라치면 빠지지 않는 인물은 원효 스님이고, 화쟁사상이다. 하지만 원효 스님을 꼼꼼히 읽어낸 이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허무한 담론만 무성한 것은 아닐까.
말의 성찬에 등 돌리고 평생 묵묵히 원효 사상 연구에 몰두하며 1991년 <대승기신론소·별기(大乘起信論疏·別記)> 역주와 2000년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 이어 난해하기로 유명한 <이장의(二障義)>까지도 최근 완역하는 쾌거를 이룬 은정희(66) 前 서울교대 교수는 원효 스님을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다.
은 교수는 1983년 박사논문에서 원효 스님이 <대승기신론>을 삼세념(三細念)인 무명업식(無明業識)·전식(轉識)·현식(現識)이 아라야식 자리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점에 주목, 이를 드러내 <대승기신론>이 중관과 유식의 지양·종합이라는 학설을 뒷받침하기도 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뒤 번역에 몰두해 원효의 주요 저술을 세 권이나 번역해 냈으니, 그것만으로도 은 교수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원효 저술은 당시의 철학분야를 넘나드는 자유로움과 웅대한 스케일, 그리고 함축적인 서술로 인해 접근하기 쉽지 않다는 게 정평이다. 그렇기 때문에 은 교수의 업적은 더욱 더 빛을 발한다.

 
 
은정희 교수는 요즘도 7개나 되는 강독 준비로 눈코뜰 새 없이 바쁘다.
 

번역에 가장 애를 먹인 저술은 이번에 출간한 <이장의>다.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는 실천적 단계를 설명한 <이장의>는 유식사상이 집약돼 특히 어려웠다. <이장의>를 읽으며 느낀 절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은 교수는 “한 자 한 자가 암호 같았다”며 고충을 토로한다. 하지만 일본의 오오초오 에니치(橫超慧日) 박사가 편찬한 <이장의>의 연구편에 나오는 전거(典據)를 찾아 하나씩 찾아 읽으며 절망은 희망으로 바뀌었고, 몇 차례의 강독을 거치면서 이해도를 높였다. 결국 수년간의 작업 끝에 오오초오 박사가 찾지 못했던 전거들을 30여개 더 찾아낼 수 있었다. 이처럼 각고의 노력으로 출간된 번역본 <이장의>는 높은 완성도로 학계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더 이상의 번역은 없을 것이다”는 찬사까지 나오고 있다.
은 교수가 이처럼 ‘험난한’ 번역의 길을 선택한 이유는 학자로서의 양심 때문인지도 모른다.
“원효 스님의 원문을 읽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이가 드물다보니 원효 스님에 대한 논문들도 자연 날림이 될 수밖에 없지요. 언어는 기초에 해당하는데 이를 등한시 하고 연구를 하다보니 사상누각이 될 수밖에 없어요. 그게 우리 학계의 가장 큰 문제입니다.”
은 교수에게 원효학은 생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이 문제에 처음 눈뜬 것은 초등학교 5학년 때. 고성(古城)에서 범인을 찾던 탐정 조수가 거미줄이 잔뜩 걸려 있는 왕좌를 보며 “저기에 아름다운 왕비와 위엄 있는 왕이 앉아있었겠지”라고 되뇌는 <괴도 루팡>의 대목은 그에게 큰 충격을 줬다. “내 앞에 있는 책상보다 내가 더 먼저 없어지겠구나”며 죽음의 공포를 느꼈던 소녀는 두어 달 간 밤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고민을 거듭했다. 정답은 찾지 못했지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죽음 앞에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자”고 다짐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그렇게 임시로 봉합됐던 문제의식은 1960년 조계사 일요법회에서 이기영 선생의 <금강삼매경론> 강의를 들으면서 원효 사상을 전공해야겠다는 결심으로 발전했다. “가슴을 후련하게 해준” 이기영 선생의 강의는 그에게 어릴 적부터 마음속에 품어왔던 생사에 대한 의구심을 원효 안에서 풀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주기에 충분했다.
그로부터 8년 후 은 교수는 고려대 철학과 대학원에 진학, 본격적인 원효 연구의 길로 접어들었다. 태동고전연구소와 민족문화추진회에서 8년간 우직하게 한학을 익혔고, 김동화·이종익 교수 등 불교학 거장과 강독을 함께 하며 불교학을 배워나갔다.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발표하고 토론하는 강독은 난해한 불교 개념들을 풀어내는 값진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는 “나의 원효 저술 번역은 강독의 결실이다”고 말한다. 지금도 <인명론(因明論)> <구사론(俱舍論)> <종경록(宗鏡錄)> <조론(肇論)> <예기(禮記)> 등 7개 고전 강독이 그의 동숭동 자택에서 이뤄진다. 덕분에 그의 집은 언제나 공부하는 이들로 문전성시다.
은 교수가 결혼도 하지 않은 채 30여 년간 학문의 길을 한결같이 걸을 수 있었던 데는 어머니 신주련(92) 씨의 보이지 않는 도움이 컸다. 군산 동국사를 다녔던 어머니는 절에서 들은 부처님 말씀을 어린 은 교수에게 전해주곤 했다. 그 말씀들이 어찌나 귀에 쏙쏙 들어오던지 귀 기울여 듣곤 했단다.

 
 
이장의는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는 실천적 단계를 설명한 책이다.
 

불법과의 인연이 지중했던지 출가의 기회도 있었다. 성철 스님과 석남사 인홍 스님은 읽어보라며 책을 주기도 하고, 절에 함께 가자고도 하며 은 교수에게 출가 의사를 은근히 떠 보기도 했다. 은 교수 역시 출가할 마음이 없었던 것도 아니지만, 공부할 여건이 갖춰져 있었고, 함께 공부하는 선후배도 많은 속세를 굳이 떠날 필요까지는 느끼지 못했다. 그래도 원효 스님을 화두삼아 정진하는 그를 두고 주위에서는 ‘유발비구니’라 부르니 반은 출가한 셈이다.
원효 스님 가르침의 핵심은 무엇일까? 은 교수는 주저 없이 ‘부주열반(不住涅槃)’을 꼽는다. “‘열반 상태에 머무르지 말라’는 의미의 이 말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다른 표현입니다. 원효 스님은 줄곧 부주열반을 강조했지요. 원효 스님의 가장 큰 목표는 보살도의 실천이었음을 웅변하는 말입니다.”
지난 해 8월 서울교대 교수직을 정년퇴임한 은 교수는 이제야말로 ‘내 공부’를 할 수 있게 됐다며 희색이 가득하다. 이제 본격적으로 원효 저술을 번역할 계획이다. 자신이 세운 서원대로 원효 저술을 완역하고, 제자들과 한국불교사를 새로이 써나갈 생각이다. 그것이야말로 후학을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은정희 교수는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1960)하고 1983년 고려대 철학과에서 <기신론 소·별기에 나타난 원효의 일심(一心)사상>으로 박사학위 취득. 1984년부터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교수 역임. 역서로는 <대승기신론소·별기> <금강삼매경론> <연산군일기>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원효의 삼세·아라야식설의 창안’ 등이 있다.
 
<현대불교미디어센터 ⓒ 2006>














목 차
해제 = 8
Ⅰ. 종체(宗體)를 나타냄 = 18
Ⅱ. 제명(題名)을 해석함 = 28
Ⅲ.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 42
一. 귀경(歸敬)과 술의(述意) = 42
二. 논(論)의 체(體)를 정립함 = 59
1. 인연분(因緣分) = 60
2. 입의분(立義分) = 78
3. 해석분(解釋分) = 84
1) 정의(正義)를 현시(顯示)함 = 85
(1) 먼저 뜻을 풀이함 = 86
A. 법장문(法章門)을 해석함 = 86
a. 진여문(眞如門) = 103
b. 생멸문(生滅門) = 119
가. 널리 풀이함
ㄱ) 심생멸(心生滅) = 120
각의(覺義) = 140
불각의(不覺義) = 186
ㄴ) 생멸인연(生滅因緣) = 214
ㄷ) 생멸상(生滅相) = 259
나. 훈습론(熏習論) = 276
ㄱ) 염법(染法) 훈습 = 278
ㄴ) 정법(淨法) 훈습 = 283
B. 의장문(義章門)을 해석함 = 300
a. 체상(體相) 이대(二大) = 300
b. 용대(用大) = 304
(2) 진여문(眞如門)에 들어감 = 314
2) 사집(邪執)을 대치함 = 316
(1) 인아견(人我見) = 317
(2) 법아견(法我見) = 321
3) 도(道)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양을 분별함 = 323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 326
(2) 해행발심(解行發心) = 339
(3) 증발심(證發心) = 342
4.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 358
1) 시문(施門)·계문(戒門)·인문(忍門)·진문(進門) = 361
2) 지관문(止觀門) = 366
5.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 412
三. 총결회향(總結廻向) = 416
〔부록〕
Ⅰ. 원효의 저술 = 418
Ⅱ. 원효에 관한 연구업적 = 428
찾아보기 = 441
〔별표〕 원효의 기신론 소·별기의 구조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0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301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379 45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9]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file 조수윤 2022.07.16 246 마쓰이에 마사시 비채 책밤지기 : 도헌정(폴인 에디터) 2022-07-26 이도저도 오후 7:15
378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52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377 42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8] 페르세폴리스 file 조수윤 2021.03.03 265 마르잔 사트라피 휴머니스트 책밤지기 : 김태형 2021-03-09 대전 대흥동 가까운책방 오후 7:15
376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375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74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374 42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7] 사람, 장소, 환대 file 조수윤 2021.02.10 304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책밤지기 : 김겨울 2021-02-23 이도저도 오후 7:15
373 44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6] 우아한 우주 file 조수윤 2022.05.30 318 엘라 프랜시스 샌더스 프시케의숲 책밤지기 : 궤도(안될과학 과학 커뮤니케이터) 2022-06-14 이도저도 오후 7:15
372 45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8]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file 조수윤 2022.06.30 265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사상사 책밤지기 : 곽한영 교수(부산대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2022-07-12 이도저도 오후 7:15
371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29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370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291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369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29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368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2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367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28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366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71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65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1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364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5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363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62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5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1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60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68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9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1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58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26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357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76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56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355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0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4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81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3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29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52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4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1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8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350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204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49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48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77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47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8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46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6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345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0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44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43 65 코스모스 관리자 2005.02.16 3805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조재흥 2005-03-08
342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41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60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