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54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7
저자 은정희
출판사 일지사
발표자 박문호
일자 2007-05-0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hompy.buddhapia.com/homepy/wonhyo/content/0000000365_2735_0000133215.asp











"모든 의구심 원효 안에서 풀지요"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갈라진 세상. 마음마저 갈라져 삶은 거칠어져만 간다. 이 같은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논할라치면 빠지지 않는 인물은 원효 스님이고, 화쟁사상이다. 하지만 원효 스님을 꼼꼼히 읽어낸 이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허무한 담론만 무성한 것은 아닐까.
말의 성찬에 등 돌리고 평생 묵묵히 원효 사상 연구에 몰두하며 1991년 <대승기신론소·별기(大乘起信論疏·別記)> 역주와 2000년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 이어 난해하기로 유명한 <이장의(二障義)>까지도 최근 완역하는 쾌거를 이룬 은정희(66) 前 서울교대 교수는 원효 스님을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다.
은 교수는 1983년 박사논문에서 원효 스님이 <대승기신론>을 삼세념(三細念)인 무명업식(無明業識)·전식(轉識)·현식(現識)이 아라야식 자리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점에 주목, 이를 드러내 <대승기신론>이 중관과 유식의 지양·종합이라는 학설을 뒷받침하기도 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뒤 번역에 몰두해 원효의 주요 저술을 세 권이나 번역해 냈으니, 그것만으로도 은 교수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원효 저술은 당시의 철학분야를 넘나드는 자유로움과 웅대한 스케일, 그리고 함축적인 서술로 인해 접근하기 쉽지 않다는 게 정평이다. 그렇기 때문에 은 교수의 업적은 더욱 더 빛을 발한다.

 
 
은정희 교수는 요즘도 7개나 되는 강독 준비로 눈코뜰 새 없이 바쁘다.
 

번역에 가장 애를 먹인 저술은 이번에 출간한 <이장의>다.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는 실천적 단계를 설명한 <이장의>는 유식사상이 집약돼 특히 어려웠다. <이장의>를 읽으며 느낀 절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은 교수는 “한 자 한 자가 암호 같았다”며 고충을 토로한다. 하지만 일본의 오오초오 에니치(橫超慧日) 박사가 편찬한 <이장의>의 연구편에 나오는 전거(典據)를 찾아 하나씩 찾아 읽으며 절망은 희망으로 바뀌었고, 몇 차례의 강독을 거치면서 이해도를 높였다. 결국 수년간의 작업 끝에 오오초오 박사가 찾지 못했던 전거들을 30여개 더 찾아낼 수 있었다. 이처럼 각고의 노력으로 출간된 번역본 <이장의>는 높은 완성도로 학계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더 이상의 번역은 없을 것이다”는 찬사까지 나오고 있다.
은 교수가 이처럼 ‘험난한’ 번역의 길을 선택한 이유는 학자로서의 양심 때문인지도 모른다.
“원효 스님의 원문을 읽고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이가 드물다보니 원효 스님에 대한 논문들도 자연 날림이 될 수밖에 없지요. 언어는 기초에 해당하는데 이를 등한시 하고 연구를 하다보니 사상누각이 될 수밖에 없어요. 그게 우리 학계의 가장 큰 문제입니다.”
은 교수에게 원효학은 생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이 문제에 처음 눈뜬 것은 초등학교 5학년 때. 고성(古城)에서 범인을 찾던 탐정 조수가 거미줄이 잔뜩 걸려 있는 왕좌를 보며 “저기에 아름다운 왕비와 위엄 있는 왕이 앉아있었겠지”라고 되뇌는 <괴도 루팡>의 대목은 그에게 큰 충격을 줬다. “내 앞에 있는 책상보다 내가 더 먼저 없어지겠구나”며 죽음의 공포를 느꼈던 소녀는 두어 달 간 밤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고민을 거듭했다. 정답은 찾지 못했지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죽음 앞에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자”고 다짐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그렇게 임시로 봉합됐던 문제의식은 1960년 조계사 일요법회에서 이기영 선생의 <금강삼매경론> 강의를 들으면서 원효 사상을 전공해야겠다는 결심으로 발전했다. “가슴을 후련하게 해준” 이기영 선생의 강의는 그에게 어릴 적부터 마음속에 품어왔던 생사에 대한 의구심을 원효 안에서 풀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주기에 충분했다.
그로부터 8년 후 은 교수는 고려대 철학과 대학원에 진학, 본격적인 원효 연구의 길로 접어들었다. 태동고전연구소와 민족문화추진회에서 8년간 우직하게 한학을 익혔고, 김동화·이종익 교수 등 불교학 거장과 강독을 함께 하며 불교학을 배워나갔다.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발표하고 토론하는 강독은 난해한 불교 개념들을 풀어내는 값진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는 “나의 원효 저술 번역은 강독의 결실이다”고 말한다. 지금도 <인명론(因明論)> <구사론(俱舍論)> <종경록(宗鏡錄)> <조론(肇論)> <예기(禮記)> 등 7개 고전 강독이 그의 동숭동 자택에서 이뤄진다. 덕분에 그의 집은 언제나 공부하는 이들로 문전성시다.
은 교수가 결혼도 하지 않은 채 30여 년간 학문의 길을 한결같이 걸을 수 있었던 데는 어머니 신주련(92) 씨의 보이지 않는 도움이 컸다. 군산 동국사를 다녔던 어머니는 절에서 들은 부처님 말씀을 어린 은 교수에게 전해주곤 했다. 그 말씀들이 어찌나 귀에 쏙쏙 들어오던지 귀 기울여 듣곤 했단다.

 
 
이장의는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는 실천적 단계를 설명한 책이다.
 

불법과의 인연이 지중했던지 출가의 기회도 있었다. 성철 스님과 석남사 인홍 스님은 읽어보라며 책을 주기도 하고, 절에 함께 가자고도 하며 은 교수에게 출가 의사를 은근히 떠 보기도 했다. 은 교수 역시 출가할 마음이 없었던 것도 아니지만, 공부할 여건이 갖춰져 있었고, 함께 공부하는 선후배도 많은 속세를 굳이 떠날 필요까지는 느끼지 못했다. 그래도 원효 스님을 화두삼아 정진하는 그를 두고 주위에서는 ‘유발비구니’라 부르니 반은 출가한 셈이다.
원효 스님 가르침의 핵심은 무엇일까? 은 교수는 주저 없이 ‘부주열반(不住涅槃)’을 꼽는다. “‘열반 상태에 머무르지 말라’는 의미의 이 말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다른 표현입니다. 원효 스님은 줄곧 부주열반을 강조했지요. 원효 스님의 가장 큰 목표는 보살도의 실천이었음을 웅변하는 말입니다.”
지난 해 8월 서울교대 교수직을 정년퇴임한 은 교수는 이제야말로 ‘내 공부’를 할 수 있게 됐다며 희색이 가득하다. 이제 본격적으로 원효 저술을 번역할 계획이다. 자신이 세운 서원대로 원효 저술을 완역하고, 제자들과 한국불교사를 새로이 써나갈 생각이다. 그것이야말로 후학을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은정희 교수는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1960)하고 1983년 고려대 철학과에서 <기신론 소·별기에 나타난 원효의 일심(一心)사상>으로 박사학위 취득. 1984년부터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교수 역임. 역서로는 <대승기신론소·별기> <금강삼매경론> <연산군일기>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원효의 삼세·아라야식설의 창안’ 등이 있다.
 
<현대불교미디어센터 ⓒ 2006>














목 차
해제 = 8
Ⅰ. 종체(宗體)를 나타냄 = 18
Ⅱ. 제명(題名)을 해석함 = 28
Ⅲ.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 42
一. 귀경(歸敬)과 술의(述意) = 42
二. 논(論)의 체(體)를 정립함 = 59
1. 인연분(因緣分) = 60
2. 입의분(立義分) = 78
3. 해석분(解釋分) = 84
1) 정의(正義)를 현시(顯示)함 = 85
(1) 먼저 뜻을 풀이함 = 86
A. 법장문(法章門)을 해석함 = 86
a. 진여문(眞如門) = 103
b. 생멸문(生滅門) = 119
가. 널리 풀이함
ㄱ) 심생멸(心生滅) = 120
각의(覺義) = 140
불각의(不覺義) = 186
ㄴ) 생멸인연(生滅因緣) = 214
ㄷ) 생멸상(生滅相) = 259
나. 훈습론(熏習論) = 276
ㄱ) 염법(染法) 훈습 = 278
ㄴ) 정법(淨法) 훈습 = 283
B. 의장문(義章門)을 해석함 = 300
a. 체상(體相) 이대(二大) = 300
b. 용대(用大) = 304
(2) 진여문(眞如門)에 들어감 = 314
2) 사집(邪執)을 대치함 = 316
(1) 인아견(人我見) = 317
(2) 법아견(法我見) = 321
3) 도(道)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양을 분별함 = 323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 326
(2) 해행발심(解行發心) = 339
(3) 증발심(證發心) = 342
4.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 358
1) 시문(施門)·계문(戒門)·인문(忍門)·진문(進門) = 361
2) 지관문(止觀門) = 366
5.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 412
三. 총결회향(總結廻向) = 416
〔부록〕
Ⅰ. 원효의 저술 = 418
Ⅱ. 원효에 관한 연구업적 = 428
찾아보기 = 441
〔별표〕 원효의 기신론 소·별기의 구조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0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19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8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117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6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8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115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4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4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3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1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2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11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0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9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1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8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0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7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106 46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file 조수윤 2023.02.15 365 앤드루 포터 문학동네 책밤지기 : 박혜진 문학평론가 2023-02-28 이도저도 오후 7:15
105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4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64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3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3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102 44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2]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file 조수윤 2022.03.29 361 하미나 동아시아 책밤지기 : 정인경 작가 2022-04-12 이도저도 오후 7:15
101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00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0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99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58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8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97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2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6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1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95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4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50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93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92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91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0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4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89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88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35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87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6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5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4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29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83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29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82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81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28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