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7.04.11 23:00

팹 (FAB)

조회 수 6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6
저자 닐 거센펠드
출판사 비즈앤비즈
발표자 안윤호
일자 2007-04-24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 소개]

어느 날 책상 위 컴퓨터에 자동차 공장의 제작능력이 주어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비트(정보)를 아톰(물질)으로 만들 수 있다면? MIT미디어랩을 이끄는 닐 거센펠드 교수는 소비자들이 직접 각종 전자제품·완구·옷을 만들 수 있는 가정 기반 제조의 도래를 예측한다. 『FAB』에서 저자는 개인이 복잡한 회로와 정교한 기계장치들에 이르기까지 거의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가능한 방법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새로운 혁명, 바로 개인용 제작(PF)의 시작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는 디지털 혁명을 겪었으나 계속 매달려 있을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개인용 제작은 디지털 세계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물리적 세계로 가져다 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쉽게 말하면,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자신만의 기술적 미래를 창조하는 일에 이 책『FAB 팹』은 충분한 영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저자 소개]

닐 거센펠드(Neil Gershenfeld)

MIT 미디어랩의 Bits & Atom 연구소장이며, Physics & Media Group의 책임자이다. Things That Think(TTT) 프로젝트의 공동책임자를 역임하였다. Harvard Society of Fellows의 Junior Fellow였으며 코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 <컴퓨터는 없다>, 가 있다


[목차]


해설-퍼스널 컴퓨터(PC)의 시대에서 퍼스널 패브리케이션(PF)의 시대로
어떻게 만드나...
...거의 아무거나
과거
하드웨어
현재
새와 자전거
물건 잘라내기
늘어나는 발명가들
물질 더하기
모델 만들기
설계도 그리기
일하면서 놀기
계산하기
감각 만들기
계측
네트워크
통신
예술과 무기
상호작용
미래
기쁨
자세한 이야기 /


[출판사 리뷰]

비트, 컴퓨터를 박차고 나와 아톰이 되다
30여년전 “개인용 컴퓨터(PC)가 집집마다 1대씩 있게될 것”이라는 말은 분명 공상과학 소설처럼 들렸을 것이다. 하지만 불과 20년 만에 PC는 현대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았다. PC가 80년대 산업시대를 90년대 정보화·디지털 시대로 변모시키는 데 중심축 역할했다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정보통신 혁명을 주도한 인터넷과 결합하면서 PC의 역할은 더욱 커졌고, ‘아톰(atoms)에서 비트(bits)로' 를 외치며 디지털 문명은 시작되었다.

비트의 원리가 실제 이상의 '하이퍼 리얼'한 디지털 세계를 창조하지만, ‘비트(정보)를 아톰(물질)으로 만들어 내지 않는 한 완벽한 구현은 아니다’ 라고 MIT 미디어랩의 비트와 아톰센터를 책임지고 있는 닐 거센펠드 교수는 주장한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사진을 프린터로 인쇄하듯 비트가 영상이나 데이터가 아닌 컴퓨터를 박차고 나와 아톰이 눈앞에서 만들어지는 세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패브 랩(Fab Lab)은 ‘fabrication laboratory’(제조 작업실)의 준말인데, 이를 더욱 줄여서 팹(FAB)이라고도 부른다. 팹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제작기(PF:Personal Fabricator)는 쉽게 설명하면 ‘물건’을 찍어내는 프린터와 같다.

잉크젯 프린터는 적색·청색·황색·검정색의 잉크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을 잘 섞어서 정확히 위치시키면 이미지의 완벽한 재현을 만들어 낸다. 현재 MIT연구실에서는 잉크와 비슷한 절연체, 전도체 그리고 반도체를 인쇄하여 회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논리, 센서, 구동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완벽한 동작에 필요한 모든 것 뿐아니라 구조를 만드는 물질을 집적하여 3차원의 형상도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용 제작기(PF)로 제품을 쇼핑하고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책상 위에서 스스로 제품을 만들어 공급할 수 있는 공장을 두는 것과 같다.

분자제조기를 꿈꾸며
초기에 팹은 컴퓨터로 구동되는 작은 밀링머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다음은 플라스틱 레진으로 3차원 성형을 만드는 기계였다. 이 책에서는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하기 간편한 컴퓨터로 조종되는 레이저절단기·밀링머신 같은 설비들을 예로 들어 개인용 제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거센펠드가 90년대 초에 3차원 프린터라고 부른 것들이 바로 이것이다. 요즘은 드문장비도 아니다. 머지않아 팹에 멤스(MEMS)나 나노기술도 이용 가능 할 것이다.

작년 <뉴스위크>는 팹에 대해 이례적으로 ‘단절적 기술(Abrupt Technology)’ 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단절적 기술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기술이 과거의 기술들과 완전히 다른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에 사용된다. 라디오에서TV, 테이프에서CD 등 단절적인 변화를 지칭할 때 흔히 등장하는 예들이었다. 컴퓨터에서는 PC와 인터넷이 그러했다. FAB은 기존 산업 구도와 업계 판도를 일시에 바꿀 수 있는 파괴력을 가진 혁신 기술이 될 것이다.

우리는 디지털 혁명을 겪었으나 계속 매달려 있을 필요는 없다. 개인용 제작은 디지털 세계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물리적 세계로 가져다 줄 것이다. 쉽게 말하면,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자신만의 기술적 미래를 창조하는 일에『FAB팹』이 충분한 영감을 제공해 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80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79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8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5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7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0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6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75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25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274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3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2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1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0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269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39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268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0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267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7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66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65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7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64 217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2 file 강신철 2011.06.29 7707 김조년 바이북스 김조년 교수 2011-07-12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63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3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62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1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61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3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60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59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6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58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2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57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56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1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55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254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53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52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3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51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0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250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49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48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47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46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45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44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43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42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4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241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