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7.04.11 23:00

팹 (FAB)

조회 수 6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6
저자 닐 거센펠드
출판사 비즈앤비즈
발표자 안윤호
일자 2007-04-24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 소개]

어느 날 책상 위 컴퓨터에 자동차 공장의 제작능력이 주어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비트(정보)를 아톰(물질)으로 만들 수 있다면? MIT미디어랩을 이끄는 닐 거센펠드 교수는 소비자들이 직접 각종 전자제품·완구·옷을 만들 수 있는 가정 기반 제조의 도래를 예측한다. 『FAB』에서 저자는 개인이 복잡한 회로와 정교한 기계장치들에 이르기까지 거의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가능한 방법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새로운 혁명, 바로 개인용 제작(PF)의 시작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는 디지털 혁명을 겪었으나 계속 매달려 있을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개인용 제작은 디지털 세계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물리적 세계로 가져다 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쉽게 말하면,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자신만의 기술적 미래를 창조하는 일에 이 책『FAB 팹』은 충분한 영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저자 소개]

닐 거센펠드(Neil Gershenfeld)

MIT 미디어랩의 Bits & Atom 연구소장이며, Physics & Media Group의 책임자이다. Things That Think(TTT) 프로젝트의 공동책임자를 역임하였다. Harvard Society of Fellows의 Junior Fellow였으며 코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 <컴퓨터는 없다>, 가 있다


[목차]


해설-퍼스널 컴퓨터(PC)의 시대에서 퍼스널 패브리케이션(PF)의 시대로
어떻게 만드나...
...거의 아무거나
과거
하드웨어
현재
새와 자전거
물건 잘라내기
늘어나는 발명가들
물질 더하기
모델 만들기
설계도 그리기
일하면서 놀기
계산하기
감각 만들기
계측
네트워크
통신
예술과 무기
상호작용
미래
기쁨
자세한 이야기 /


[출판사 리뷰]

비트, 컴퓨터를 박차고 나와 아톰이 되다
30여년전 “개인용 컴퓨터(PC)가 집집마다 1대씩 있게될 것”이라는 말은 분명 공상과학 소설처럼 들렸을 것이다. 하지만 불과 20년 만에 PC는 현대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았다. PC가 80년대 산업시대를 90년대 정보화·디지털 시대로 변모시키는 데 중심축 역할했다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정보통신 혁명을 주도한 인터넷과 결합하면서 PC의 역할은 더욱 커졌고, ‘아톰(atoms)에서 비트(bits)로' 를 외치며 디지털 문명은 시작되었다.

비트의 원리가 실제 이상의 '하이퍼 리얼'한 디지털 세계를 창조하지만, ‘비트(정보)를 아톰(물질)으로 만들어 내지 않는 한 완벽한 구현은 아니다’ 라고 MIT 미디어랩의 비트와 아톰센터를 책임지고 있는 닐 거센펠드 교수는 주장한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사진을 프린터로 인쇄하듯 비트가 영상이나 데이터가 아닌 컴퓨터를 박차고 나와 아톰이 눈앞에서 만들어지는 세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패브 랩(Fab Lab)은 ‘fabrication laboratory’(제조 작업실)의 준말인데, 이를 더욱 줄여서 팹(FAB)이라고도 부른다. 팹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제작기(PF:Personal Fabricator)는 쉽게 설명하면 ‘물건’을 찍어내는 프린터와 같다.

잉크젯 프린터는 적색·청색·황색·검정색의 잉크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을 잘 섞어서 정확히 위치시키면 이미지의 완벽한 재현을 만들어 낸다. 현재 MIT연구실에서는 잉크와 비슷한 절연체, 전도체 그리고 반도체를 인쇄하여 회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논리, 센서, 구동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완벽한 동작에 필요한 모든 것 뿐아니라 구조를 만드는 물질을 집적하여 3차원의 형상도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용 제작기(PF)로 제품을 쇼핑하고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책상 위에서 스스로 제품을 만들어 공급할 수 있는 공장을 두는 것과 같다.

분자제조기를 꿈꾸며
초기에 팹은 컴퓨터로 구동되는 작은 밀링머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다음은 플라스틱 레진으로 3차원 성형을 만드는 기계였다. 이 책에서는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하기 간편한 컴퓨터로 조종되는 레이저절단기·밀링머신 같은 설비들을 예로 들어 개인용 제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거센펠드가 90년대 초에 3차원 프린터라고 부른 것들이 바로 이것이다. 요즘은 드문장비도 아니다. 머지않아 팹에 멤스(MEMS)나 나노기술도 이용 가능 할 것이다.

작년 <뉴스위크>는 팹에 대해 이례적으로 ‘단절적 기술(Abrupt Technology)’ 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단절적 기술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기술이 과거의 기술들과 완전히 다른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에 사용된다. 라디오에서TV, 테이프에서CD 등 단절적인 변화를 지칭할 때 흔히 등장하는 예들이었다. 컴퓨터에서는 PC와 인터넷이 그러했다. FAB은 기존 산업 구도와 업계 판도를 일시에 바꿀 수 있는 파괴력을 가진 혁신 기술이 될 것이다.

우리는 디지털 혁명을 겪었으나 계속 매달려 있을 필요는 없다. 개인용 제작은 디지털 세계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물리적 세계로 가져다 줄 것이다. 쉽게 말하면,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자신만의 기술적 미래를 창조하는 일에『FAB팹』이 충분한 영감을 제공해 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39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7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438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13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437 21 경영경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4470 짐 콜린스 김영사 2003-04-22
436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1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5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4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433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432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431 46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file 조수윤 2022.11.09 250 박주영 판사 김영사 송태호, 진종식,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태병권, 박순필, 송우주, 허은영 2022-11-22 이도저도 오후 7:15
430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9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19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28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1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27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5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26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0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25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7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424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2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2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7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421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7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420 44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file 조수윤 2022.02.08 216 데이비드 콰먼 꿈꿀자유 책밤지기 : 박대기 기자 2022-02-08 이도저도 오후 7:15
419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2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418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7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17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26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416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599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415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14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3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5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412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11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1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10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5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409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08 406 문학예술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file 조수윤 2019.09.26 293 이성낙 눌와 이성낙 2019-10-0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07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16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406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40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4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04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3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403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6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02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401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64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00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