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07.02.28 09:00

면역의 의미론

조회 수 49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3
저자 타다 토미오
출판사 한울
발표자 엄준호
일자 2007-03-1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여러 과학기술 분야 중에서 사이비 이론과 허구가 가장 횡행하는 분야는 건강,의학 분야일 것이다. 이는 아마도 건강,의학 분야는 단지 이론으로만 끝나지 않고 우리의 생로병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사이비 이론으로 돈을 벌 수 있으므로.) 그리고 의료체계가 양,한방으로 이원화되어있는 우리사회에서는 더 많은 혼돈이 보이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건강,의학과 관련된 사이비 이론에서 가장 많이 원용하는 정통 의학의 용어는 아마 면역(immune)일 것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건강의 개념을 질병이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의 전반적인 질병저항력이 강한 상태로 인식하는 (예를 들어 당장 질병이 없어도 보약을 먹어 몸을 보하는) 우리사회에서 서양의학에서의 면역의 개념이 이러한 전통적 개념의 건강 상태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서양의학에서의 면역의 개념은 그러한 것이 아니다.

의학에서의 여러 분야 중 면역학은 그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른 분야 중의 하나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면역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접할 기회를 갖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세계적인 일본의 면역학자가 면역의 개념과 이에 관련된 여러 의학적 주제를 비교적 알기 쉽게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비 “면역” 용어가 통하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이에 호도되지 않고 올바른 개념을 알기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이 책의 구성은 정통적인 면역학 교과서의 구성을 거의 따르고 있지만, 그 내용은 일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한편, 면역학 지식이 이미 있는 전문가 독자들도 3장의 예르네와 네트워크설 이야기, 5장의 supersystem으로서의 면역시스템, 이외에도 교과서에서는 알 수 없는 여러 뒷 이야기들을 새롭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특히, 면역시스템에도 신경계와 같은 창발성(emergence)이 있음을 강조하여 supersystem으로 정의하는 내용은 일선의 면역학 연구자들이 귀 기울여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1.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2.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3.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4. 블랙홀과 시간여행

  5. 반 룬의 예술사

  6. No Image 25Nov
    by 관리자
    2004/11/25 by 관리자
    Views 26872 

    사랑을 위한 과학

  7. 몽골의 역사

  8.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9. 언어의 탄생

  10. 뇌와 내부세계

  11. 뇌과학과 학습혁명

  12. 물리주의

  13. 생명이란 무엇인가

  14. 면역의 의미론

  15. 담금질

  16.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17. No Image 24Jan
    by 관리자
    2006/01/24 by 관리자
    Views 4086 

    알기쉬운 요가

  18.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19. No Image 06Oct
    by 관리자
    2005/10/06 by 관리자
    Views 4069 

    요가와 뇌

  20. 팹 (FAB)

  21. 궁궐의 우리나무

  22.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23. 뉴튼의 프린키피아

  24. No Image 25May
    by 관리자
    2004/05/25 by 관리자
    Views 3831 

    유인원과의 산책

  25.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26. 무한의 신비

  2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28. 저항의 인문학

  29. 시각과 예술

  30. 낙타

  31. 믿음의 엔진

  32.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33. 조상이야기

  34.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35. No Image 29Aug
    by 관리자
    2003/08/29 by 관리자
    Views 3792 

    최고경영자 예수

  36. No Image 10Mar
    by 관리자
    2004/03/10 by 관리자
    Views 3726 

    소유의 종말

  37.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38.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9.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40.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