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7.01.24 09:00

나비와 전사

조회 수 49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1
저자 고미숙
출판사 휴머니스트
발표자 고미숙
일자 2007-02-1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연구공간 ‘수유+너머’에서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실험들을 벌이고 있는 고전평론가 고미숙 선생의 신작. 지난 10여 년 간 연암을 비롯한 전근대의 고전문학 텍스트, 동아시아와 근대성 담론, 그리고 푸코와 들뢰즈/가타리 등의 탈근대 사유들과 마주쳐온 고미숙, 그는 이 10여 년 간의 공부 속에서 하나의 문제의식을 끄집어냈다. ‘근대는 결코 스스로를 구원하지 못한다.’

저자가 생각하는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신분 질서에서 해방된 ‘중세인’들에게 민족과 학연, 지연, 가족, 순결, 원죄 등 궁극적으로 돌아갈 곳(고향)을 부여해주는 것에 다름 아니다. 신의 자리에 새로운 표상을 새기는 것일 뿐이다. ‘한국의 근대성’을 다룬 작품들은 근대적인 인식론적 기반에 근거해 사유되고 씌어졌다. 그러기에 그곳에는 근대의 풍경, 기원과 사건이 흘러넘쳤지만, 새로운 삶과 사유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비전으로 뻗어 나아가지 못했다.

근대 안에서 근대를 사유하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비전을 찾아낼 수 없었기에, 저자는 근대의 외부를 사유하기 시작했고, 삶과 사유의 비전 탐구를 위해 ‘근대’를 이질적인 상황 속으로 밀어넣었다. 그 성과를 담아낸 책이 『나비와 전사 ― 18세기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우발적 마주침』이다. 이 책에는 18세기 지성사(연암, 다산, 이옥……), 근대계몽기(근대의 기원과 양상), 탈근대적 사유(푸코, 들뢰즈/가타리, 불교) 등 세 가지 사유가 겹치지는 ‘헤테로토피아’의 세계가 펼쳐진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고미숙
1960년생. 강원도 정선군 함백 출신.
직업 : 고전평론가. 2003년, 연암 박지원의《열하일기》을 ‘리라이팅(rewriting)’하면서 생긴 직업. 고전이라는 매트릭스 위를 매끄럽게 활주하면서 그 전위적 역동성을 ‘지금, 여기’로 불러내는 주술사 혹은 매니저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이 직업의 장점 :‘고전의 바다’는 평생 동안 탐사해도 모자랄 만큼 깊고도 넓어 퇴출당할 염려가 전혀 없다. 실업률이 점점 더 높아진다는데, 많은 친구들이 이 직업을 통해 인생역전을 했으면 참, 좋겠다.

이 책을 쓴 이유 : 10년 전, 고전을 공부하다 근대에 도달했다. 이제 근대를 통해 다시 고전으로 돌아가고 싶다. 근대로부터 떠나기 위해, 아니 나 자신으로부터 떠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지금 하고 있는 일 : 연구공간 ‘수유 + 너머’에서 ‘지식인 코뮌의 전 지구적 연대’를 향한 여러 가지 실험을 하고 있다. 특히 요즘 나를 사로잡고 있는 건 ‘청소년 고전학교’다. 청소년들로 하여금 고전을 통해 삶의 비전을 탐구하는 장을 열어주고 싶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한국고전시가선》(창비), 《18세기에서 20세기초 한국시가사의 구도》(소명), 《비평기계》(소명),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책세상),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그린비),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휴머니스트) 등이 있다.





목차

• 목차보기



1. 속도의 경이, 시공간의 재배치
入口
1. 속도의 파시즘 - 죽거나 나쁘거나!
2. 기차 - 매혹과 폭력 사이
3. '잠/꿈/종'의 수사적 배치
4. 철도, 공간을 쏘아버리다!
5. 진화론의 도래
出口

2. 인간, '만물의 영장'이 되다
入口
1. '지독한' 사랑
2. 구국의 길, 문명의 길 - 기독교!
3. 성서와 칼
4. 신이 인간을 창조한 뜻은?
5. 자연의 '인간화'
出口

3. 성적 판타지, 그 홈 파인 공간
入口
1. 길 위의 여인, '옹녀'
2. <변강쇠가>에 대한 지질학적 탐사
3. 계몽담론과 성적 욕망의 배치
4. 연애 - 신화 또는 신흥종교?

4. 연애의 정석, 죽거나 권태롭거나
1. '순결', 새로운 교리
2. 연애와 죽음충동
3. 자의식과 권태
出口

5. 소월과 만해, '여성-되기'의 두 가지 스펙트럼
入口
1. '님'의 계보
2. 여성성과 '여성-되기'
3. 소월의 '여성-되기'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무상감
4. 만해의 '여성-되기' - 사랑의 절대적 탈영토화
出口

6. 몸: 병리학적 테제 1, 거리를 유지하라
入口
1. 내 몸은 '나의 것'이 아니다
2. '가시성'의 배치
3. 양생(養生)에서 위생(衛生)으로
4. 근대적 '매너'의 탄생
出口

7. 몸: 병리학적 테제 2, 뇌수(腦髓)를 개조하라
入口
1. '사스' 체험기
2. 전염병, '생체권력'의 장
3. 너의 몸은 국가의 것이다?
4. 너의 영혼은 민족의 것이다!
出口

8. 허준, 푸코를 만나다!
入口
1. 기도의 교화
2. 몸 - 무엇을 '볼' 것인가!
3. 은유는 없다!
4. 질병, 섹스, 죽음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두세 가지 것들
出口

9. 근대적 '앎'의 배치와 '국수(國粹)'
入口
1. 이매진 노 스쿨, 이매진 노 커리큘럼!
2. 앎에는 국경이 있다!
3. 천리(天理)에서 격치(格致)로
4. '국민 만들기(Nation Bildung)'와 국수(國粹)
出口

10. 18세기 지성사에 대한 두 개의 '첨부 파일'
메모
첨부 파일 1: '천기론(天機論)'과 18세기 비평담론의 배치
1. 전략
2. '천기(天機)', 그 수사적 스펙트럼
3. '향연'을 위하여!
첨부 파일 2: 연암과 다산, 유쾌한 노마디즘과 치열한 앙가주망 사이
1. 유목민 또는 정착민
2. 앙가주망 또는 아방가르드
3. 열정의 패러독스 또는 혁명의 파토스
4. 그들은 만나지 않았다!

11. 나비 또는 전사, 연암의 글쓰기와 '탈근대적 비전' 탐구
入口
1. '오래된 미래'를 찾아서
2. 연암과 나비
3. 주체는 없다! - 탈주체화 또는 충만한 신체
4. 모든 것이 텍스트다 - 유목주의와 글쓰기
出口





• 출판사 리뷰



과거, 현재, 미래가 겹쳐지는 뫼비우스적인 글쓰기
― 고미숙! 그만의 사유와 글쓰기

고미숙은 우리 사회의 지적 목마름을 채워주면서, 과거의 텍스트나 인물들을 ‘오늘 여기에서의 이야깃거리’를 만들어내는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연구자이다.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이후 3년 만에 내놓은 그의 신작 《나비와 전사 ― 18세기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우발적 마주침》은 탈근대, 근대, 18세기라는 이 세 개의 그물망을 교차시켜 새로운 앎과 삶을 비전을 탐구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흐름은 ‘시공간 → 인간 → 성(性) → 몸 → 앎 → 글쓰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각각의 주제들은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다른 것들에 인접해 있다. 때로 엇갈리고, 때로 겹치면서.
이 책에는 ‘오늘 여기에서의 이야깃거리’로 만들어내기 위한 그만의 사유와 글쓰기 방식이 잘 드러나 있다. 각장의 시작과 끝에 마련한 입구(入口)와 출구(出口)라는 형식이 그것이다. 입구에는 ‘오늘 여기에서의 삶’의 이야기를 ‘물음’으로 던지고, 출구에는 ‘미래 거기의 삶’으로 날아가는 ‘비전’을 담아내고 있다.

물음 셋
골목에서 한 아이가 정신없이 놀고 있다. 순간, 한 모퉁이에서 트럭이 돌진해온다. 아이는 갑자기 커다란 외침을 듣는다. ‘빨리 피햇!‘ 그 소리에 깜짝 놀라 아이는 자기도 모르게 옆으로 비켜선다. 세월이 한참이 지난 뒤, 그 아이는 승려가 되었다. 쉰이 넘은 어느 날, 참선을 하다 삼매에 들었다. 순간, 눈앞에 한 아이가 골목에서 트럭에 치일 뻔한 장면이 나타난다. 노승은 전신으로 아이에게 메시지를 전한다. ‘빨리 피해!‘라는. 결국 그 옛날 자신을 구해준 목소리는 수십 년 뒤의 ‘자기‘였던 것. 정화 스님이 일본의 한 사찰에서 수행하실 때 전해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미래의 나가 지금의 나, 아니 과거의 나를 구한다고? 영화 〈터미네이터〉, 보르헤스의 소설 따위에 나오는 황당한 픽션이 아니다. 요컨대 미래와 과거는 시작도 끝도 없이 맞닿아 있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그래서 ‘깨달으면 지금 좋고, 미래만 좋은 게 아니라 과거까지 좋아진다.‘
― 본문 21쪽, 〈1. 속도의 경이-시공간의 재배치 入口〉

앎이란 결국 일상으로 돌아오기 위한 과정이다. 아니, 일상의 흐름 속에서 표현되지 않는 앎은 앎이 아니다. 달리 말하면 일상의 모든 것이 공부라는 뜻이 된다. …… 배움이란 배고프면 밥 먹고 목마르면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은 것, 곧 ‘원초적 본능‘인 것이다. 이런 공부법은 얼마나 낯설고 또 얼마나 감동적인지. 불행히도 근대 지식은 이런 역동성과 충만감을 다 잃어버렸다.
…… 공부는 더 이상 취미나 교양이 아니다. 더 이상 이른바 전문가 집단이 독점하는 사적 소유물이 아니다. 한번 생각해보라. 우리네 삶에서 날마다 하고, 평생을 해도 변함없이 삶을 풍요롭게 해줄 수 있는 것이 공부 말고 달리 무엇이 있는지를. 그러므로 대학 안에 있건 없건 누구나 평생 공부해야 한다. 아무런 실용적 목적이 없이도 공부할 수 있을 때, 그때 공부는 비로소 최고의 지식이면서 동시에 자기 삶을 통찰하는 지혜의 수행이 된다. …… 공부와 일상이 이렇게 겹쳐질 때, 지식은 비로소 근대적 표상으로부터 탈주하여 삶의 역동적 흐름 속으로 진입할 수 있으리라.
―본문 591~592쪽, 〈11. 나비와 전사-연암의 글쓰기와 ‘탈근대적’ 비전 탐구 出口〉


근대, 18세기와 탈근대를 만나다
― 18세기, 근대, 탈근대! 세 개의 그물망이 겹쳐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읽기와 쓰기를 실험하고 있는 저자에게 ‘근대’는 수난과 저항의 기록만이 아니다. 그에게는 당시 한반도를 살았던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에 새겨진 인식의 지층들이었다. 그는 또다시 질문을 던진다. “한국의 집합적 체험에서 100년 전의 역사적 근대란 무엇인가?” 저자는 오늘의 인문학이 ‘근대’에 사로잡혀 있다고 진단하면서 근대를 뛰어넘으려면, ‘근대의 외부’를 사유할 수 있는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그 상상력을 적실성있는 사유와 발랄한 글쓰기로 표현하고 있다. 저자는 근대의 시공간에서부터 탈근대, 전근대의 골목길까지 샅샅이 훑어보며 오늘의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지형까지 조망할 수 있게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큰 줄기는 ‘탈근대적 비전 탐구’이다. 고미숙은 이 비전탐구를 전근대 시기인 18세기의 담론과 근대계몽기의 담론을 통해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현실적이고 당면한 ‘지금-여기’의 문제로까지 끌어당기고 있다.

이 글 역시 ‘헤테로토피아‘가 되기를 희망한다. 근대, 탈근대, 근대 이전, 이 세 개의 그물망이 교차되면,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솔직히 이 낯선 배치 앞에서 나 역시 두렵고 떨린다. 다행히도 근대성의 지층을 탐사할 때는 푸코가, 동아시아 지성사의 심연을 자맥질할 때는 연암이 길잡이가 되어주었다. 두 사람은 지난 10여 년 간 내 공부의 버팀목이었다. 푸코를 통해 근대성이 얼마나 견고한 요새로 둘러싸여 있는지를 실감했고, 연암을 통해 그 요새를 돌파하는 것이 얼마나 유쾌한 질주인지를 배웠다. 진정, 그들로 인하여 ‘앎과 혁명‘을 다시 구성하는 길 위에 설 수 있었다. …… 이 책 각각의 주제들은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다른 것들에 인접해 있다. 때로 엇갈리고, 때로 겹치면서. 본문 12쪽, 〈지은이의 말 중에서〉


18세기 문화사의 별들이 곳곳에 등장하다
― 연암, 다산, 이옥, 옹녀, 변강쇠, 그리고 대장금……

연암과 다산, 이옥, 옹녀(변강쇠타령) 등 18세기 담론사의 별들이 이 책의 곳곳에 등장한다. 지은이는 10년 전 고전문학과 만났고, 6년 전 우연히 탈근대적 사유와 마주쳤다. 그리고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알린 연암을 이 과정에서 만났다. 조선후기문학을 전공했으면서도 대학원 시절에는 얼핏 스쳐지나갔을 뿐인 연암(열하일기)의 진면목을 아주 먼 우회로를 거쳐 비로소 엿보게 되었다. 그로부터 6년의 시간이 흘렀다. 연구 공간 ‘수유+너머’에서의 활발한 동으로 연암을 비롯하여 푸코, 들뢰즈, 이지, 허준, 노신, 달라이라마에 이르기까지 탈근대의 드넓은 비전을 제시해줄 사상가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18세기 문화사에서 발굴되어야 하고 우리 시대의 눈의 다시 조명해야 할 이옥, 옹녀, 변강쇠, 대장금 등을 소통의 코드로 매력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이 글들은 이들과의 만남의 기록이고, 이 만남의 기록은 ‘앎과 지식’의 재구성을 가능케 한 연구과정의 기록이자, 그 결과의 기록이다.

출구(出口), 걸으면서 사랑하기-〈대장금의 사랑법〉

옹녀가 매혹적이지만 위험한 여인이라면, 장금이는 치열한 열정의 화신이다. 장금이가 간난신고 끝에 마침내 내의원 의녀가 된 뒤 그의 보디가드이자 연인인 종사관 나리와 숲길을 걸으며 주고받은 대화다. 기쁜가 하면 슬프고, 슬픈가 하면 기쁘고, 두려우면서 설레고 설레면서 또한 두렵기 그지없는 것. 이렇게 정리하면 누구나 사랑에 빠진 연인의 고백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런 열정의 파노라마는 오직 연애에서만 가능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금이는 삶의 고비마다, 아니 매순간 이런 ‘열정 속으로‘ 진입한다. 처음 수라간에 들어갔을 때도, 거기서 쫓겨났을 때도, 다시 내의원 의녀가 될 때도. 장금이의 사랑이 파격적인 건 바로 여기에 있다.……모든 것을 누릴 수 있는 처지임에도 그것의 근원적 허망함을 꿰뚫고 생의 우발적인 흐름에 기꺼이 몸을 맡기는 장면은 참으로 간만에 맛보는 멋진 해피 엔드였다. 옹녀가 다시 길을 떠났듯, 장금이 역시 길 위에 선 것이다.
삶의 유형과 사랑의 유형은 나란히 간다. 그러므로 장금이의 사랑이 남다른 건 당연하다. 지금까지 탐색해보았듯이, 근대 이후 우리 문화의 핵심 코드는 사랑(또는 섹스)이다. 마치 사회 전체가 무슨 열병에나 걸린 듯이 사랑을 갈구하고 또 갈구한다. 그리고 그 모든 ‘사랑의 서사‘를 관통하는 하나의 전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죽음이다. 즉, 대부분의 드라마에서 사랑은 죽음과 깊이 연계되어 있다.
― 본문 246~249쪽, 〈4. 연애의 정석-죽거나 권태롭거나 出口〉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01 28 생각의 속도 1 file 관리자 2003.07.21 3876 빌게이츠 청림출판 강신철 2003-08-12
200 279 릴케의 침묵 file 유화현 2014.02.12 4939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4-02-25 탄방동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99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198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8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7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3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6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195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194 273 더 선(The Son) 3 file 유화현 2013.11.15 5237 필립 마이어 (Philipp Meyer) 올(사피엔스21) 임재서 번역가(백북스 회원) 2013-11-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3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3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2 271 수학 읽는 CEO file 유화현 2013.10.10 4857 박병하 21세기북스 박병하 박사 2013-10-22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1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6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190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7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189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3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8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7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187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67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6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85 265 나는 왜 일하는가 file 유화현 2013.07.11 4757 헬렌 S. 정 인라잇먼트 문경목 회원님 2013-07-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4 264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4 file 유화현 2013.06.28 4540 알렉산더 즈본킨 양철북 역자 박병하 박사님 2013-07-09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183 263 문학예술 카메라로 명상하기 1 file 유화현 2013.06.15 4802 임민수 작가님 비움과소통 임민수 작가님 2013-06-25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2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2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181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80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41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179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1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178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6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77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51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76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4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75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74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3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73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1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172 25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 file 관리자 2013.01.11 7302 유창복 또하나의문화 저자 유창복 2013-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71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170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5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169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77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68 2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file 관리자 2003.06.21 4384 소큐도미코 선영사 박상찬 교수 2003-06-24
167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166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42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65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5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164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63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162 244 고산자 1 file 김형렬 2012.08.14 5351 박범신 문학동네 박범신 2012-08-26 장동산림욕장 16: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