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7.01.24 09:00

나비와 전사

조회 수 49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11
저자 고미숙
출판사 휴머니스트
발표자 고미숙
일자 2007-02-1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연구공간 ‘수유+너머’에서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실험들을 벌이고 있는 고전평론가 고미숙 선생의 신작. 지난 10여 년 간 연암을 비롯한 전근대의 고전문학 텍스트, 동아시아와 근대성 담론, 그리고 푸코와 들뢰즈/가타리 등의 탈근대 사유들과 마주쳐온 고미숙, 그는 이 10여 년 간의 공부 속에서 하나의 문제의식을 끄집어냈다. ‘근대는 결코 스스로를 구원하지 못한다.’

저자가 생각하는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신분 질서에서 해방된 ‘중세인’들에게 민족과 학연, 지연, 가족, 순결, 원죄 등 궁극적으로 돌아갈 곳(고향)을 부여해주는 것에 다름 아니다. 신의 자리에 새로운 표상을 새기는 것일 뿐이다. ‘한국의 근대성’을 다룬 작품들은 근대적인 인식론적 기반에 근거해 사유되고 씌어졌다. 그러기에 그곳에는 근대의 풍경, 기원과 사건이 흘러넘쳤지만, 새로운 삶과 사유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비전으로 뻗어 나아가지 못했다.

근대 안에서 근대를 사유하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비전을 찾아낼 수 없었기에, 저자는 근대의 외부를 사유하기 시작했고, 삶과 사유의 비전 탐구를 위해 ‘근대’를 이질적인 상황 속으로 밀어넣었다. 그 성과를 담아낸 책이 『나비와 전사 ― 18세기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우발적 마주침』이다. 이 책에는 18세기 지성사(연암, 다산, 이옥……), 근대계몽기(근대의 기원과 양상), 탈근대적 사유(푸코, 들뢰즈/가타리, 불교) 등 세 가지 사유가 겹치지는 ‘헤테로토피아’의 세계가 펼쳐진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고미숙
1960년생. 강원도 정선군 함백 출신.
직업 : 고전평론가. 2003년, 연암 박지원의《열하일기》을 ‘리라이팅(rewriting)’하면서 생긴 직업. 고전이라는 매트릭스 위를 매끄럽게 활주하면서 그 전위적 역동성을 ‘지금, 여기’로 불러내는 주술사 혹은 매니저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이 직업의 장점 :‘고전의 바다’는 평생 동안 탐사해도 모자랄 만큼 깊고도 넓어 퇴출당할 염려가 전혀 없다. 실업률이 점점 더 높아진다는데, 많은 친구들이 이 직업을 통해 인생역전을 했으면 참, 좋겠다.

이 책을 쓴 이유 : 10년 전, 고전을 공부하다 근대에 도달했다. 이제 근대를 통해 다시 고전으로 돌아가고 싶다. 근대로부터 떠나기 위해, 아니 나 자신으로부터 떠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지금 하고 있는 일 : 연구공간 ‘수유 + 너머’에서 ‘지식인 코뮌의 전 지구적 연대’를 향한 여러 가지 실험을 하고 있다. 특히 요즘 나를 사로잡고 있는 건 ‘청소년 고전학교’다. 청소년들로 하여금 고전을 통해 삶의 비전을 탐구하는 장을 열어주고 싶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한국고전시가선》(창비), 《18세기에서 20세기초 한국시가사의 구도》(소명), 《비평기계》(소명),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책세상),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그린비),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휴머니스트) 등이 있다.





목차

• 목차보기



1. 속도의 경이, 시공간의 재배치
入口
1. 속도의 파시즘 - 죽거나 나쁘거나!
2. 기차 - 매혹과 폭력 사이
3. '잠/꿈/종'의 수사적 배치
4. 철도, 공간을 쏘아버리다!
5. 진화론의 도래
出口

2. 인간, '만물의 영장'이 되다
入口
1. '지독한' 사랑
2. 구국의 길, 문명의 길 - 기독교!
3. 성서와 칼
4. 신이 인간을 창조한 뜻은?
5. 자연의 '인간화'
出口

3. 성적 판타지, 그 홈 파인 공간
入口
1. 길 위의 여인, '옹녀'
2. <변강쇠가>에 대한 지질학적 탐사
3. 계몽담론과 성적 욕망의 배치
4. 연애 - 신화 또는 신흥종교?

4. 연애의 정석, 죽거나 권태롭거나
1. '순결', 새로운 교리
2. 연애와 죽음충동
3. 자의식과 권태
出口

5. 소월과 만해, '여성-되기'의 두 가지 스펙트럼
入口
1. '님'의 계보
2. 여성성과 '여성-되기'
3. 소월의 '여성-되기'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무상감
4. 만해의 '여성-되기' - 사랑의 절대적 탈영토화
出口

6. 몸: 병리학적 테제 1, 거리를 유지하라
入口
1. 내 몸은 '나의 것'이 아니다
2. '가시성'의 배치
3. 양생(養生)에서 위생(衛生)으로
4. 근대적 '매너'의 탄생
出口

7. 몸: 병리학적 테제 2, 뇌수(腦髓)를 개조하라
入口
1. '사스' 체험기
2. 전염병, '생체권력'의 장
3. 너의 몸은 국가의 것이다?
4. 너의 영혼은 민족의 것이다!
出口

8. 허준, 푸코를 만나다!
入口
1. 기도의 교화
2. 몸 - 무엇을 '볼' 것인가!
3. 은유는 없다!
4. 질병, 섹스, 죽음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두세 가지 것들
出口

9. 근대적 '앎'의 배치와 '국수(國粹)'
入口
1. 이매진 노 스쿨, 이매진 노 커리큘럼!
2. 앎에는 국경이 있다!
3. 천리(天理)에서 격치(格致)로
4. '국민 만들기(Nation Bildung)'와 국수(國粹)
出口

10. 18세기 지성사에 대한 두 개의 '첨부 파일'
메모
첨부 파일 1: '천기론(天機論)'과 18세기 비평담론의 배치
1. 전략
2. '천기(天機)', 그 수사적 스펙트럼
3. '향연'을 위하여!
첨부 파일 2: 연암과 다산, 유쾌한 노마디즘과 치열한 앙가주망 사이
1. 유목민 또는 정착민
2. 앙가주망 또는 아방가르드
3. 열정의 패러독스 또는 혁명의 파토스
4. 그들은 만나지 않았다!

11. 나비 또는 전사, 연암의 글쓰기와 '탈근대적 비전' 탐구
入口
1. '오래된 미래'를 찾아서
2. 연암과 나비
3. 주체는 없다! - 탈주체화 또는 충만한 신체
4. 모든 것이 텍스트다 - 유목주의와 글쓰기
出口





• 출판사 리뷰



과거, 현재, 미래가 겹쳐지는 뫼비우스적인 글쓰기
― 고미숙! 그만의 사유와 글쓰기

고미숙은 우리 사회의 지적 목마름을 채워주면서, 과거의 텍스트나 인물들을 ‘오늘 여기에서의 이야깃거리’를 만들어내는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연구자이다.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이후 3년 만에 내놓은 그의 신작 《나비와 전사 ― 18세기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우발적 마주침》은 탈근대, 근대, 18세기라는 이 세 개의 그물망을 교차시켜 새로운 앎과 삶을 비전을 탐구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흐름은 ‘시공간 → 인간 → 성(性) → 몸 → 앎 → 글쓰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각각의 주제들은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다른 것들에 인접해 있다. 때로 엇갈리고, 때로 겹치면서.
이 책에는 ‘오늘 여기에서의 이야깃거리’로 만들어내기 위한 그만의 사유와 글쓰기 방식이 잘 드러나 있다. 각장의 시작과 끝에 마련한 입구(入口)와 출구(出口)라는 형식이 그것이다. 입구에는 ‘오늘 여기에서의 삶’의 이야기를 ‘물음’으로 던지고, 출구에는 ‘미래 거기의 삶’으로 날아가는 ‘비전’을 담아내고 있다.

물음 셋
골목에서 한 아이가 정신없이 놀고 있다. 순간, 한 모퉁이에서 트럭이 돌진해온다. 아이는 갑자기 커다란 외침을 듣는다. ‘빨리 피햇!‘ 그 소리에 깜짝 놀라 아이는 자기도 모르게 옆으로 비켜선다. 세월이 한참이 지난 뒤, 그 아이는 승려가 되었다. 쉰이 넘은 어느 날, 참선을 하다 삼매에 들었다. 순간, 눈앞에 한 아이가 골목에서 트럭에 치일 뻔한 장면이 나타난다. 노승은 전신으로 아이에게 메시지를 전한다. ‘빨리 피해!‘라는. 결국 그 옛날 자신을 구해준 목소리는 수십 년 뒤의 ‘자기‘였던 것. 정화 스님이 일본의 한 사찰에서 수행하실 때 전해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미래의 나가 지금의 나, 아니 과거의 나를 구한다고? 영화 〈터미네이터〉, 보르헤스의 소설 따위에 나오는 황당한 픽션이 아니다. 요컨대 미래와 과거는 시작도 끝도 없이 맞닿아 있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그래서 ‘깨달으면 지금 좋고, 미래만 좋은 게 아니라 과거까지 좋아진다.‘
― 본문 21쪽, 〈1. 속도의 경이-시공간의 재배치 入口〉

앎이란 결국 일상으로 돌아오기 위한 과정이다. 아니, 일상의 흐름 속에서 표현되지 않는 앎은 앎이 아니다. 달리 말하면 일상의 모든 것이 공부라는 뜻이 된다. …… 배움이란 배고프면 밥 먹고 목마르면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은 것, 곧 ‘원초적 본능‘인 것이다. 이런 공부법은 얼마나 낯설고 또 얼마나 감동적인지. 불행히도 근대 지식은 이런 역동성과 충만감을 다 잃어버렸다.
…… 공부는 더 이상 취미나 교양이 아니다. 더 이상 이른바 전문가 집단이 독점하는 사적 소유물이 아니다. 한번 생각해보라. 우리네 삶에서 날마다 하고, 평생을 해도 변함없이 삶을 풍요롭게 해줄 수 있는 것이 공부 말고 달리 무엇이 있는지를. 그러므로 대학 안에 있건 없건 누구나 평생 공부해야 한다. 아무런 실용적 목적이 없이도 공부할 수 있을 때, 그때 공부는 비로소 최고의 지식이면서 동시에 자기 삶을 통찰하는 지혜의 수행이 된다. …… 공부와 일상이 이렇게 겹쳐질 때, 지식은 비로소 근대적 표상으로부터 탈주하여 삶의 역동적 흐름 속으로 진입할 수 있으리라.
―본문 591~592쪽, 〈11. 나비와 전사-연암의 글쓰기와 ‘탈근대적’ 비전 탐구 出口〉


근대, 18세기와 탈근대를 만나다
― 18세기, 근대, 탈근대! 세 개의 그물망이 겹쳐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읽기와 쓰기를 실험하고 있는 저자에게 ‘근대’는 수난과 저항의 기록만이 아니다. 그에게는 당시 한반도를 살았던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에 새겨진 인식의 지층들이었다. 그는 또다시 질문을 던진다. “한국의 집합적 체험에서 100년 전의 역사적 근대란 무엇인가?” 저자는 오늘의 인문학이 ‘근대’에 사로잡혀 있다고 진단하면서 근대를 뛰어넘으려면, ‘근대의 외부’를 사유할 수 있는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그 상상력을 적실성있는 사유와 발랄한 글쓰기로 표현하고 있다. 저자는 근대의 시공간에서부터 탈근대, 전근대의 골목길까지 샅샅이 훑어보며 오늘의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지형까지 조망할 수 있게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큰 줄기는 ‘탈근대적 비전 탐구’이다. 고미숙은 이 비전탐구를 전근대 시기인 18세기의 담론과 근대계몽기의 담론을 통해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현실적이고 당면한 ‘지금-여기’의 문제로까지 끌어당기고 있다.

이 글 역시 ‘헤테로토피아‘가 되기를 희망한다. 근대, 탈근대, 근대 이전, 이 세 개의 그물망이 교차되면,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솔직히 이 낯선 배치 앞에서 나 역시 두렵고 떨린다. 다행히도 근대성의 지층을 탐사할 때는 푸코가, 동아시아 지성사의 심연을 자맥질할 때는 연암이 길잡이가 되어주었다. 두 사람은 지난 10여 년 간 내 공부의 버팀목이었다. 푸코를 통해 근대성이 얼마나 견고한 요새로 둘러싸여 있는지를 실감했고, 연암을 통해 그 요새를 돌파하는 것이 얼마나 유쾌한 질주인지를 배웠다. 진정, 그들로 인하여 ‘앎과 혁명‘을 다시 구성하는 길 위에 설 수 있었다. …… 이 책 각각의 주제들은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다른 것들에 인접해 있다. 때로 엇갈리고, 때로 겹치면서. 본문 12쪽, 〈지은이의 말 중에서〉


18세기 문화사의 별들이 곳곳에 등장하다
― 연암, 다산, 이옥, 옹녀, 변강쇠, 그리고 대장금……

연암과 다산, 이옥, 옹녀(변강쇠타령) 등 18세기 담론사의 별들이 이 책의 곳곳에 등장한다. 지은이는 10년 전 고전문학과 만났고, 6년 전 우연히 탈근대적 사유와 마주쳤다. 그리고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알린 연암을 이 과정에서 만났다. 조선후기문학을 전공했으면서도 대학원 시절에는 얼핏 스쳐지나갔을 뿐인 연암(열하일기)의 진면목을 아주 먼 우회로를 거쳐 비로소 엿보게 되었다. 그로부터 6년의 시간이 흘렀다. 연구 공간 ‘수유+너머’에서의 활발한 동으로 연암을 비롯하여 푸코, 들뢰즈, 이지, 허준, 노신, 달라이라마에 이르기까지 탈근대의 드넓은 비전을 제시해줄 사상가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18세기 문화사에서 발굴되어야 하고 우리 시대의 눈의 다시 조명해야 할 이옥, 옹녀, 변강쇠, 대장금 등을 소통의 코드로 매력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이 글들은 이들과의 만남의 기록이고, 이 만남의 기록은 ‘앎과 지식’의 재구성을 가능케 한 연구과정의 기록이자, 그 결과의 기록이다.

출구(出口), 걸으면서 사랑하기-〈대장금의 사랑법〉

옹녀가 매혹적이지만 위험한 여인이라면, 장금이는 치열한 열정의 화신이다. 장금이가 간난신고 끝에 마침내 내의원 의녀가 된 뒤 그의 보디가드이자 연인인 종사관 나리와 숲길을 걸으며 주고받은 대화다. 기쁜가 하면 슬프고, 슬픈가 하면 기쁘고, 두려우면서 설레고 설레면서 또한 두렵기 그지없는 것. 이렇게 정리하면 누구나 사랑에 빠진 연인의 고백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런 열정의 파노라마는 오직 연애에서만 가능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금이는 삶의 고비마다, 아니 매순간 이런 ‘열정 속으로‘ 진입한다. 처음 수라간에 들어갔을 때도, 거기서 쫓겨났을 때도, 다시 내의원 의녀가 될 때도. 장금이의 사랑이 파격적인 건 바로 여기에 있다.……모든 것을 누릴 수 있는 처지임에도 그것의 근원적 허망함을 꿰뚫고 생의 우발적인 흐름에 기꺼이 몸을 맡기는 장면은 참으로 간만에 맛보는 멋진 해피 엔드였다. 옹녀가 다시 길을 떠났듯, 장금이 역시 길 위에 선 것이다.
삶의 유형과 사랑의 유형은 나란히 간다. 그러므로 장금이의 사랑이 남다른 건 당연하다. 지금까지 탐색해보았듯이, 근대 이후 우리 문화의 핵심 코드는 사랑(또는 섹스)이다. 마치 사회 전체가 무슨 열병에나 걸린 듯이 사랑을 갈구하고 또 갈구한다. 그리고 그 모든 ‘사랑의 서사‘를 관통하는 하나의 전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죽음이다. 즉, 대부분의 드라마에서 사랑은 죽음과 깊이 연계되어 있다.
― 본문 246~249쪽, 〈4. 연애의 정석-죽거나 권태롭거나 出口〉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20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40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19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81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8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317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3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6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5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315 294 유니버설 랭귀지 file 유화현 2014.10.21 3489 박문호의자연과학세상 엑셈 박문호 박사 2014-10-2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14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3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81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2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297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1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85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0 41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 향모를 땋으며 1 file 조수윤 2020.12.23 281 로빈 월 키머러 에이도스 책밤지기 : 이정모(국립과천과학관장) 2021-01-12 이도저도 오후 7:15
309 42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2] 대화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5.04 290 시어도어 젤딘 어크로스 책밤지기 : 윤성원(프로젝트 썸원) 2021-05-11 이도저도 오후 7:15
308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8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7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300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06 76 영교시 수업 file 관리자 2005.08.08 4018 박성일 어드북스 박성일 2005-08-23
305 264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4 file 유화현 2013.06.28 4540 알렉산더 즈본킨 양철북 역자 박병하 박사님 2013-07-09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304 161 최초의 3분 file 관리자 2009.02.25 5229 스티븐 와인버그 양문 김봉규 박사 2009-03-10
303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4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2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6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01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60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0 311 문학예술 통찰의 시대 (뇌과학이 밝혀내는 예술과 무의식의 비밀, The Age of Insight) file 이근완 2015.07.17 1363 에릭 캔델 저 /이한음 역 알에이치코리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07-2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9 45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6] 해부학자 file 조수윤 2022.10.26 259 빌 헤이스 알마 책밤지기 : 이지유 작가 2022-11-08 이도저도 오후 7:15
298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8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97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8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6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7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5 121 문학예술 이것이 한국화다 file 박문호 2007.07.02 4646 류병학 아트북스 이종상 2007-07-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4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7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93 35 꿈 (Dreaming) file 관리자 2003.10.29 4103 앨런홉슨 아카넷 박문호 2003-12-03
292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72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91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82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0 44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1] 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file 조수윤 2022.03.14 323 조진주 아웃사이트 책밤지기 : 엄윤미(도서문화재단 씨앗 / 번뇌하는 언니들) 2022-03-22 이도저도 오후 7:15
289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80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288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34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287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95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6 94 인문사회 탐독 file 관리자 2006.05.10 4168 이정우 아고라 이정우 2006-05-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5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284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7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3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7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2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73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1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55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