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06.10.25 09:00

조상이야기

조회 수 48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08
저자 리처드 도킨스
출판사 까치글방
발표자 송윤호 회원
일자 2006-12-26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 이한음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고 199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당선됐다. 지은 책으로 과학소설집 『신이 되고 싶은 컴퓨터』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자연의 빈자리』, 『핀치의 부리』, 『복제양 돌리』, 『인간본성에 대하여』, 『쫓기는 동물들의 생애』, 『진화론과 다윈』, 『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 등이 있다. 현재 과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저자 : 리처드 도킨스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이자 작가이다. 영국 왕립학회의 회원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과학의 대중적 이해 담당 교수로 있다. 그의 첫 저서『이기적 유전자』는 출간 즉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현대 진화생물학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눈먼 시계공』도 세계적으로 알려진 걸작이다. 그 외에『에덴 밖의 강』과『불가능한 산 오르기』『풀리는 무지개』등의 저서도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2003년에는 발표된 글들을 모은『악마의 사도』를 내놓았다.


목차보기



감사의 글

사후 자만심
총서시
순례 여행을 시작하다

랑데부 0 모든 인류
고대 호모 사피엔스
에르가스트인
하빌린인
원인(猿人)
랑데부 1 침팬지
랑데부 2 고릴라
랑데부 3 오랑우탄
랑데부 4 긴팔원숭이
랑데부 5 구대륙원숭이
랑데부 6 신대륙원숭이
랑데부 7 안경원숭이
랑데부 8 여우원숭이, 갈라고 및 친척들
백악기 대격변
랑데부 9 날여우원숭이와 나무땃쥐
랑데부 10 설치류와 토끼류
랑데부 11 로라시아테리아
랑데부 12 빈치류
랑데부 13 아프로테리아
랑데부 14 유대류
랑데부 15 단공류
포유류형 파충류
랑데부 16 사우롭시드
랑데부 17 양서류
랑데부 18 폐어
랑데부 19 실러캔스
랑데부 20 조기어류
랑데부 21 상어와 친척들
랑데부 22 칠성장어와 먹장어
랑데부 23 창고기
랑데부 24 멍게
랑데부 25 암불라크라리아
랑데부 26 선구동물
랑데부 27 무체강편형동물
랑데부 28 자포동물
랑데부 29 유즐동물
랑데부 30 판형동물
랑데부 31 해면동물
랑데부 32 동정편모충
랑데부 33 드립
랑데부 34 균류
랑데부 35 아메바
랑데부 36 식물
랑데부 37 불확실성
대역사 랑데부
랑데부 38 고세균
랑데부 39 진정세균
캔터베리
주인의 귀가

더 읽을 만한 책들
계통도 재구성에 관한 주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인명 색인
학명 색인







ㆍ회원리뷰

• 회원리뷰

우리는 어디에서 왔나
eehwan 님 | 2006-03-15 | 책내용 책상태


나는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며 우선 심호흡이 필요했다. 즉 이 책은 내가 편안하게 읽을 만큼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일단 몇 가지 이유에는 나는 이 책에 어느 정도 겁을 먹고 있었다. 일단 리차드 도킨스의 책이라는 점이 그렇다. 그의 책을 4권이나 읽었었지만, 도킨스의 책은 결코 쉽지 않았다. 두 번째는 까치출판사의 책이다. 이 출판사의 책은 작은 글씨로 빡빡하게 내용을 담아 출판하는 회사로서 유명하다. 그리고 마지막 이유는 700쪽 가량의 이 책 분량이었다.

보통 리차드 도킨스라는 이 책 저자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들도 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은 알 것이다. 이 책은 현대 교양인의 필독서로 알려져 있다. [이기적 유전자]는 리처드 도킨스를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로 만든 그의 첫 번째 책이었다. 이 책에서 그가 말하는 가장 요점은 ‘우리 인간의 주인은 불멸의 복제자인 유전자이고 우리는 유전자를 위한 생존 기계라는 것이었다.’ 그는 1973년 노벨상을 받은 동물행동학자인 니코 틴버겐(콘라트 로렌츠와 공동 수상)의 제자이다. 그러다 보니 [이기적 유전자]에서 그는 자신의 이론을 확립하기 위해 많은 동물을 등장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도 도킨스와의 첫 번째 만남은 그의 명저 <이기적 유전자>였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진화론 관련 서적을 여러 권 읽었었지만, 예상한 대로 쉽지 않은 책이었다. 그 후 [눈먼 시계공], [확장된 표현형], [에덴의 강]을 연속해서 읽었지만 그의 책은 결코 쉽게 넘어가지 않았다. 이 책이 어려운 책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지만 이전의 책들하고 다른 점은 중간중간 화려한 컬러사진과 멋진 도표들이 들어 있어 눈을 즐겁게 해준 면은 기분을 가볍게 해주었다.

도킨스의 책은 거의 10년 단위로 출간된 것 같다. [이기적 유전자]가 1976년, [눈먼 시계공]은 1986년, [에덴의 강]은 1995년이었고, 이 책은 2004년에 발간되어서 많은 새로운 이론이 수록되어 있다. 항상 그의 책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이 책 중간 중간에도 창조론자들을 비웃는 듯한 내용은 여전하다. 다만 [눈먼 시계공] 같은 책에서 보여준 창조론자들에 대한 독설에 가까운 논박은 이 책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의 나이에서 오는 여유로움일 수도 있고, 어차피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자신감의 또 다른 표현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구성은 제프리 초서의 [켄터베리 이야기]의 형식을 빌려오고 있다. 즉 한 화자가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순례 여행이 함께 하고 있는 다양한 신분 계층의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교대로 이야기를 하는 형식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화자는 우리와 공조상을 가지고 있는 각 동물들이다. 이는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첫 번째 의문인 ‘우리는 어떤 존재이고, 어디서 왔는가’에 대한 대답을 하고자 하고자 하는 저자의 이론에 등장하는 각 주인공들이다.

첫 번째 호미니드와의 랑데부에서 시작하여 ‘진정 세균’과의 40번 째 만남을 마지막으로 우리 뿌리를 찾기 위한 진화의 여정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 랑데부 단계마다 우리와 조상을 공유하고 있는 현생 동물들을 화자로 등장시킨다. 그러다 보니 독자들은 엄청나게 많은 동물과 만나게 된다. 나는 그 어떤 책에서도 이렇게 많은 동물들이 나오는 책을 본 적이 없다. 동물 행동학자로서의 그의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각 랑데부 단계 마다 유명한 학자들의 이론이 소개된다. ‘바다표범 이야기’에서 R.A. 피셔의 유명한 성비 균형 이론을 만날 수 있다. ‘오리너구리 이야기’에서는 신경학자인 펜필드의 뇌와 몸의 각 부위가 얼마만큼 대응하고 있는지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 나온다. 인간의 경우에는 손과 입이 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 우스꽝스런 그림이 나온다. ‘코끼리새 이야기’에서는 베게너의 이론인 ‘대륙 이동’의 결과로 대륙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으며, 지금도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은 연간 1센티미터 정도의 속도로 멀어진다고 한다.

손톱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하다고 하는데, 그 결과 1억 년이면 약 1,000킬로미터를 이동한다. 대단하지 않은가! 인간의 역사에서 볼 때 1억 년은 상상할 수 조차 없이 긴 시간이지만, 진화의 시간에서 볼 때 1억 년은 그리 엄청난 숫자는 아닌 것이다. ‘시클리트 이야기’에 나오는 돌프 실루터의 ‘적응 방산 이론’은 같은 지역에서도 한 개체가 많은 유형으로 급속한 분화를 이룰 수 있다는 내용이다. 갈라파고스의 핀치만큼이나 짧은 시간에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렇듯 이 책에는 다윈 이후 150년 간 발표된 모든 진화 관련 이론이 등장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내게 흥미로웠던 것은 인간이 털이 없어진 것에 대한 이론이었다.

우리는 우리의 사촌들과 비교해서 몸에 털이 없다. 데스몬드 모리스의 표현대로 털 없는(naked) 원숭이인 것이다. 도킨스는 털이 없어진 이유를 또 다른 다윈의 진화 이론인 성선택설을 이용해 이를 설명하고 있다. 즉 인간의 남성은 털이 상대적으로 없는 여성을 선호했다는 것이다. 물론 다른 동물들은 암컷이 수컷을 선택하지만 인간은 상호 선택을 한다고 설명을 한다. 남성의 털 없음은 여성의 벌거벗음을 쫓아가기는 했지만 결코 따라잡지는 못했기 때문에 남성들이 여성보다 털이 더 많다고 한 다윈의 이야기를 소개해준다.

전체적으로 많은 동물과 관련한 많은 이론들이 소개되어 있어, 읽는 동안 잠시도 한눈을 팔 틈을 주지 않은 책이다. 조금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내용의 흐름을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방대한 내용을 논리적으로 설파한 글이다. 인간의 유래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읽어볼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아마 모든 사람들이 인간의 유래에 관심이 있기에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생각이 된다. 다만 쉽지 않다는 것도 말해주고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59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458 409 자연과학 우주날씨 이야기 file 조수윤 2019.11.13 272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플루토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2019-11-26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57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6 92 꽃의 고요 file 관리자 2006.04.12 3693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황동규 2006-04-25
455 71 몰입의 즐거움 관리자 2005.05.18 423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해냄 황농문 2005-06-14
454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2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3 119 마이크로코스모스 file 박문호 2007.05.29 502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범양사 홍욱희 2007-06-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2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1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50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49 40 7인의 베스트 CEO file 관리자 2004.02.10 4007 제프리 크레임스 물푸레 현영석 교수 2004-02-24
448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4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7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446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45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444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443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2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41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3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440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19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39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438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437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49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6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2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435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434 43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file 조수윤 2021.11.16 478 미겔 탕코 문학동네 한빛찬, 임석희, 박정애, 조수윤,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박순필, 김홍섭, 태병권 2021-11-23 대전 신성동 책방 이도저도 오후 7:15
433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32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2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31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5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30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29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6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8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427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426 352 인문사회 탁월한 사유의 시선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file 이근완 2017.04.13 294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1세기북스 최진석 서강대학교 교수 2017-04-27 스페이스 C#4층 강당(대전 한국 화학연구원 정문) 2017년 4월 27일 오후 7시
425 41 처음 만나던 때 file 관리자 2004.02.26 3903 김광규 문학과 지성사 최종후 2004-03-09
424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29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23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8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422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21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420 356 인문사회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1 file 이근완 2017.07.05 312 최병관 미디어숲 최병관 2017-07-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