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06.10.25 09:00

조상이야기

조회 수 48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08
저자 리처드 도킨스
출판사 까치글방
발표자 송윤호 회원
일자 2006-12-26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 이한음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고 199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당선됐다. 지은 책으로 과학소설집 『신이 되고 싶은 컴퓨터』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자연의 빈자리』, 『핀치의 부리』, 『복제양 돌리』, 『인간본성에 대하여』, 『쫓기는 동물들의 생애』, 『진화론과 다윈』, 『살아 있는 지구의 역사』 등이 있다. 현재 과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저자 : 리처드 도킨스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이자 작가이다. 영국 왕립학회의 회원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과학의 대중적 이해 담당 교수로 있다. 그의 첫 저서『이기적 유전자』는 출간 즉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현대 진화생물학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눈먼 시계공』도 세계적으로 알려진 걸작이다. 그 외에『에덴 밖의 강』과『불가능한 산 오르기』『풀리는 무지개』등의 저서도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2003년에는 발표된 글들을 모은『악마의 사도』를 내놓았다.


목차보기



감사의 글

사후 자만심
총서시
순례 여행을 시작하다

랑데부 0 모든 인류
고대 호모 사피엔스
에르가스트인
하빌린인
원인(猿人)
랑데부 1 침팬지
랑데부 2 고릴라
랑데부 3 오랑우탄
랑데부 4 긴팔원숭이
랑데부 5 구대륙원숭이
랑데부 6 신대륙원숭이
랑데부 7 안경원숭이
랑데부 8 여우원숭이, 갈라고 및 친척들
백악기 대격변
랑데부 9 날여우원숭이와 나무땃쥐
랑데부 10 설치류와 토끼류
랑데부 11 로라시아테리아
랑데부 12 빈치류
랑데부 13 아프로테리아
랑데부 14 유대류
랑데부 15 단공류
포유류형 파충류
랑데부 16 사우롭시드
랑데부 17 양서류
랑데부 18 폐어
랑데부 19 실러캔스
랑데부 20 조기어류
랑데부 21 상어와 친척들
랑데부 22 칠성장어와 먹장어
랑데부 23 창고기
랑데부 24 멍게
랑데부 25 암불라크라리아
랑데부 26 선구동물
랑데부 27 무체강편형동물
랑데부 28 자포동물
랑데부 29 유즐동물
랑데부 30 판형동물
랑데부 31 해면동물
랑데부 32 동정편모충
랑데부 33 드립
랑데부 34 균류
랑데부 35 아메바
랑데부 36 식물
랑데부 37 불확실성
대역사 랑데부
랑데부 38 고세균
랑데부 39 진정세균
캔터베리
주인의 귀가

더 읽을 만한 책들
계통도 재구성에 관한 주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인명 색인
학명 색인







ㆍ회원리뷰

• 회원리뷰

우리는 어디에서 왔나
eehwan 님 | 2006-03-15 | 책내용 책상태


나는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며 우선 심호흡이 필요했다. 즉 이 책은 내가 편안하게 읽을 만큼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일단 몇 가지 이유에는 나는 이 책에 어느 정도 겁을 먹고 있었다. 일단 리차드 도킨스의 책이라는 점이 그렇다. 그의 책을 4권이나 읽었었지만, 도킨스의 책은 결코 쉽지 않았다. 두 번째는 까치출판사의 책이다. 이 출판사의 책은 작은 글씨로 빡빡하게 내용을 담아 출판하는 회사로서 유명하다. 그리고 마지막 이유는 700쪽 가량의 이 책 분량이었다.

보통 리차드 도킨스라는 이 책 저자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들도 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은 알 것이다. 이 책은 현대 교양인의 필독서로 알려져 있다. [이기적 유전자]는 리처드 도킨스를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로 만든 그의 첫 번째 책이었다. 이 책에서 그가 말하는 가장 요점은 ‘우리 인간의 주인은 불멸의 복제자인 유전자이고 우리는 유전자를 위한 생존 기계라는 것이었다.’ 그는 1973년 노벨상을 받은 동물행동학자인 니코 틴버겐(콘라트 로렌츠와 공동 수상)의 제자이다. 그러다 보니 [이기적 유전자]에서 그는 자신의 이론을 확립하기 위해 많은 동물을 등장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도 도킨스와의 첫 번째 만남은 그의 명저 <이기적 유전자>였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진화론 관련 서적을 여러 권 읽었었지만, 예상한 대로 쉽지 않은 책이었다. 그 후 [눈먼 시계공], [확장된 표현형], [에덴의 강]을 연속해서 읽었지만 그의 책은 결코 쉽게 넘어가지 않았다. 이 책이 어려운 책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지만 이전의 책들하고 다른 점은 중간중간 화려한 컬러사진과 멋진 도표들이 들어 있어 눈을 즐겁게 해준 면은 기분을 가볍게 해주었다.

도킨스의 책은 거의 10년 단위로 출간된 것 같다. [이기적 유전자]가 1976년, [눈먼 시계공]은 1986년, [에덴의 강]은 1995년이었고, 이 책은 2004년에 발간되어서 많은 새로운 이론이 수록되어 있다. 항상 그의 책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이 책 중간 중간에도 창조론자들을 비웃는 듯한 내용은 여전하다. 다만 [눈먼 시계공] 같은 책에서 보여준 창조론자들에 대한 독설에 가까운 논박은 이 책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의 나이에서 오는 여유로움일 수도 있고, 어차피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자신감의 또 다른 표현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구성은 제프리 초서의 [켄터베리 이야기]의 형식을 빌려오고 있다. 즉 한 화자가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순례 여행이 함께 하고 있는 다양한 신분 계층의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교대로 이야기를 하는 형식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화자는 우리와 공조상을 가지고 있는 각 동물들이다. 이는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첫 번째 의문인 ‘우리는 어떤 존재이고, 어디서 왔는가’에 대한 대답을 하고자 하고자 하는 저자의 이론에 등장하는 각 주인공들이다.

첫 번째 호미니드와의 랑데부에서 시작하여 ‘진정 세균’과의 40번 째 만남을 마지막으로 우리 뿌리를 찾기 위한 진화의 여정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 랑데부 단계마다 우리와 조상을 공유하고 있는 현생 동물들을 화자로 등장시킨다. 그러다 보니 독자들은 엄청나게 많은 동물과 만나게 된다. 나는 그 어떤 책에서도 이렇게 많은 동물들이 나오는 책을 본 적이 없다. 동물 행동학자로서의 그의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각 랑데부 단계 마다 유명한 학자들의 이론이 소개된다. ‘바다표범 이야기’에서 R.A. 피셔의 유명한 성비 균형 이론을 만날 수 있다. ‘오리너구리 이야기’에서는 신경학자인 펜필드의 뇌와 몸의 각 부위가 얼마만큼 대응하고 있는지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 나온다. 인간의 경우에는 손과 입이 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 우스꽝스런 그림이 나온다. ‘코끼리새 이야기’에서는 베게너의 이론인 ‘대륙 이동’의 결과로 대륙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으며, 지금도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은 연간 1센티미터 정도의 속도로 멀어진다고 한다.

손톱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하다고 하는데, 그 결과 1억 년이면 약 1,000킬로미터를 이동한다. 대단하지 않은가! 인간의 역사에서 볼 때 1억 년은 상상할 수 조차 없이 긴 시간이지만, 진화의 시간에서 볼 때 1억 년은 그리 엄청난 숫자는 아닌 것이다. ‘시클리트 이야기’에 나오는 돌프 실루터의 ‘적응 방산 이론’은 같은 지역에서도 한 개체가 많은 유형으로 급속한 분화를 이룰 수 있다는 내용이다. 갈라파고스의 핀치만큼이나 짧은 시간에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렇듯 이 책에는 다윈 이후 150년 간 발표된 모든 진화 관련 이론이 등장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내게 흥미로웠던 것은 인간이 털이 없어진 것에 대한 이론이었다.

우리는 우리의 사촌들과 비교해서 몸에 털이 없다. 데스몬드 모리스의 표현대로 털 없는(naked) 원숭이인 것이다. 도킨스는 털이 없어진 이유를 또 다른 다윈의 진화 이론인 성선택설을 이용해 이를 설명하고 있다. 즉 인간의 남성은 털이 상대적으로 없는 여성을 선호했다는 것이다. 물론 다른 동물들은 암컷이 수컷을 선택하지만 인간은 상호 선택을 한다고 설명을 한다. 남성의 털 없음은 여성의 벌거벗음을 쫓아가기는 했지만 결코 따라잡지는 못했기 때문에 남성들이 여성보다 털이 더 많다고 한 다윈의 이야기를 소개해준다.

전체적으로 많은 동물과 관련한 많은 이론들이 소개되어 있어, 읽는 동안 잠시도 한눈을 팔 틈을 주지 않은 책이다. 조금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내용의 흐름을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방대한 내용을 논리적으로 설파한 글이다. 인간의 유래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읽어볼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아마 모든 사람들이 인간의 유래에 관심이 있기에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생각이 된다. 다만 쉽지 않다는 것도 말해주고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59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89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158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157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1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6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5 263 문학예술 카메라로 명상하기 1 file 유화현 2013.06.15 4802 임민수 작가님 비움과소통 임민수 작가님 2013-06-25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4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153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2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151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27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50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5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49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48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147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18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146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145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481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144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44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43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42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2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141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0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5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9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8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7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7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6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0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5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79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34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7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3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49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32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1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5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0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129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0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28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0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7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5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26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125 120 인문사회 총, 균, 쇠 file 박문호 2007.06.13 5251 제레드 다이아몬드 문학사상사 정영옥 2007-06-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4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123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22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7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121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20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3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