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6.07.29 09:00

마음찾기

조회 수 40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9
저자 박영의
출판사 여시아문
발표자 박영의
일자 2006-08-0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자 강연제목: 현대미국소설론

효산 박영의 < 마음찾기> 여시아문 2005년6월 : 불교영어시집


저자는 해방 직후부터 약 60여 년 동안 기독교에서 진리를 찾으려 노력하였으나, 복종적 믿음에 대한 참된 신과 인간관계를 갈망하던 중 'Herman Meville'의 작품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에서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 후 진정 하나님과 부처님은 둘이 아닌 하나임을 깨닫게 되었으며, 참된 자아를 찾는 길이 유일신이 아닌 자기 본성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참나를 찾기 위한 수행과 함께, 참종교에 대한 가르침의 올바른 방향을 알리는 일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문학개관> 등 다수
충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역임, 한국 동서비교문학회 초대회장.
추천도서:월리엄 포크너의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8월의 빛>

************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081
윌리엄 포크너 (Willium Faulkner)
20세기 미국 문학이 낳은 위대한 작가 윌리엄 포크너는 1897년 미시시피 주의 뉴올버니에서 태어났다. 군인이자 작가, 정치가였던 증조부와 변호사로 성공한 조부 밑에서 유복한 유년기를 보내며 미국 남부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문학에 조예가 깊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의 사업차 이주한 옥스퍼드에서 학교를 다녔으나 혼자만의 독서와 사색에 심취하여 고등학교 때 자퇴하였다.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고 군대에 자원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작가 수업을 쌓으며 첫 소설 <병사의 보수>를 출간했다. 소꿉친구였던 에스텔 프랭클린과 결혼한 다음 <음향과 분노>를 내놓으며 소설가로서 기틀을 다졌고 곧이어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와 <8월의 빛><압살롬, 압살롬!> 같은 문제작을 완성했다.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거칠면서도 아름다운 자연과 투박하고도 인간의 진실한 삶을 다룬 작품을 차례로 내놓으면서 현대 미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자신의 고향인 남부 지역 특유의 지방색에 고도의 상징과 의식의 흐름 기법과 같은 실험성을 접목하여 삶과 죽음, 운명과 욕망 같은 보편적인 주제에 도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로 내셔널 북 어워드와 퓰리처상, 노벨 문학상을 차례로 수상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인정받았다. 1962년 고향 미시시피에서 심장병으로 별세했다.




독자리뷰

장 그르니에의 소설, [섬] 은 내용보다 서문이 더 유명한 책이다. 그르니에를 충실하게 따랐던 작가, 알베르 카뮈가 서문을 썼기 때문이다. 서문의 마지막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지금 이 책을 펼친 그 누구가 나는, 세상에서 가장 부럽다."
책을 펼쳐들고 한 자, 한 자 읽어나갈 때의 설레임과 감동. 그리고 그것을 고스란히 느낄 '새로운 독자'의 심정이 아마 부러웠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런 똑같은 놀라움은 아마 이미 책을 탐독한 그가 다시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은 그 전부터 좋아했다. 아니, 국내에 발간 된 소설이 몇 권 없기 때문에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를 읽기 전에는 단 한 권 밖에 읽지 못한 채였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포크너에 매료되기에는 충분했다. 그 책은 포크너를 단번에 작가 대열로 오르게 했던 [음향과 분노]였다. 이 책은 한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가족'이란 설정은 어쩌면 우리가 쉽게 속아 넘어가는 어떤 이미지를 제시할 뿐이다. 그러니까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마는, 보통의 소설에서 설정할 수 있는 관계설정을 가장 편한 방법으로 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포크너의 놀라운 점은 그들이 가족이라는, 어쩔 수 없이 공통된 분모를 가지고 있는 인간이라는 설정을 뛰어넘는다는 것에 있다. 그들은 가족이지만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기도 하다. 각각의 캐릭터가 확실하고, 성격도 다양하다. 좁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한 설계같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의 상상을 뛰어넘어 버린다. 그리고 난해하다는 통념이 무색하게 좀 더 빨리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역시 음향과 분노와 비슷한 구성을 갖고 출발한다. 우선, 한 가족이 등장한다. 그들이 처해있는 어떤 상황과 가족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점 사이에서 그들은 고민한다. 그것은 개별적인 욕망과 가장 표면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는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서로가 서로를 의식하며 발생하는 증오나 불안 등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는 표리부동적인 고민을 하는 것이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중 누구도 완벽하게 선하거나 악한 인물은 없다. 모두가 수긍할 수 있을 만큼 실제적인 인물들이다. 그들은 내 바로 옆에서 숨쉬고 있는 인간 중 하나일거란 느낌이 든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자유롭게 등장인물 중 누군가를 미워할 수도 있고, 좋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그들 중 누군가를 완벽하게 좋아하지는 못할 것이다. 우리는 그들을 알고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이 소설의 리얼리티이다. 하지만 소설이 끝나고 나서 침대나 쇼파에 걸터앉아 어떤 배신감과 허탈함을 경험하고 난 후, 우리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공평한 감정을 갖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연민' 이다.


윌리엄 포크너는 우리나라에서 만큼은 그다지 인기가 없는 작가인 것 같다. 그에 대한 전면적인 이미지 때문일 것이다. 처음에도 언급했듯이 그의 소설은 난해하다, 시점이 혼란스럽다, 글씨체가 자꾸 바뀐다는 식의 평을 어디에서든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읽은 그의 소설 두 편을 중심으로 생각해 봤을 때, 그의 소설은 오히려 아주 객관적이고, 구체적이고 어쩐지 작가의 배려가 숨어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것은 형식상의 문제이고, 내용적으로는 이 작가는 슬픔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구나,라고 생각했다. 인간에 대한 애착이 소설 전반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포크너의 소설을 읽고 싶다면,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를 제일 먼저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나는 [압살롬, 압살롬!]을 읽고 있기 때문에 느낀 것인데,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가 가장 포크너의 문체를 이해하기 쉽고, 그가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인상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포크너에게 관심을 갖기 가장 쉬운 길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되도록이면 그에 대해 관심을 갖아서 그의 소설을 모조리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후회는 남는다. 이 소설을 좀 더 빨리 읽어서 내 오랜 친구들이 이 소설을 마음 속 깊이까지 공유하도록 만들었어야 하는데. 혹은, 이것을 아주 나중에 만나서 내가 이 소설을 읽기위해 그동안 이 책에서 저 책으로 전전긍긍했구나 하고 실감할 수 있었다면 정말 좋았을 텐데, 하고 말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80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93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279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9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8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27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77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81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6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8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75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72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4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8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273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7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72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37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271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6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70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31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9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8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8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602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7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904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66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4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5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67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64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5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263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63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262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5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61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7002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260 2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file 관리자 2003.06.21 4385 소큐도미코 선영사 박상찬 교수 2003-06-24
259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8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8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66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57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6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56 45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5] 커리어 그리고 가정 file 조수윤 2022.10.12 252 클라우디아 골딘 생각의힘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2022-10-25 이도저도 오후 7:15
255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254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81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53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8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252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9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1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6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250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7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49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22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248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905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247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4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46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245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84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4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21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43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608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242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506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41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87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