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6.07.29 09:00

마음찾기

조회 수 40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9
저자 박영의
출판사 여시아문
발표자 박영의
일자 2006-08-0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자 강연제목: 현대미국소설론

효산 박영의 < 마음찾기> 여시아문 2005년6월 : 불교영어시집


저자는 해방 직후부터 약 60여 년 동안 기독교에서 진리를 찾으려 노력하였으나, 복종적 믿음에 대한 참된 신과 인간관계를 갈망하던 중 'Herman Meville'의 작품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에서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 후 진정 하나님과 부처님은 둘이 아닌 하나임을 깨닫게 되었으며, 참된 자아를 찾는 길이 유일신이 아닌 자기 본성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참나를 찾기 위한 수행과 함께, 참종교에 대한 가르침의 올바른 방향을 알리는 일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문학개관> 등 다수
충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역임, 한국 동서비교문학회 초대회장.
추천도서:월리엄 포크너의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8월의 빛>

************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081
윌리엄 포크너 (Willium Faulkner)
20세기 미국 문학이 낳은 위대한 작가 윌리엄 포크너는 1897년 미시시피 주의 뉴올버니에서 태어났다. 군인이자 작가, 정치가였던 증조부와 변호사로 성공한 조부 밑에서 유복한 유년기를 보내며 미국 남부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문학에 조예가 깊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의 사업차 이주한 옥스퍼드에서 학교를 다녔으나 혼자만의 독서와 사색에 심취하여 고등학교 때 자퇴하였다.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고 군대에 자원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작가 수업을 쌓으며 첫 소설 <병사의 보수>를 출간했다. 소꿉친구였던 에스텔 프랭클린과 결혼한 다음 <음향과 분노>를 내놓으며 소설가로서 기틀을 다졌고 곧이어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와 <8월의 빛><압살롬, 압살롬!> 같은 문제작을 완성했다.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거칠면서도 아름다운 자연과 투박하고도 인간의 진실한 삶을 다룬 작품을 차례로 내놓으면서 현대 미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자신의 고향인 남부 지역 특유의 지방색에 고도의 상징과 의식의 흐름 기법과 같은 실험성을 접목하여 삶과 죽음, 운명과 욕망 같은 보편적인 주제에 도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로 내셔널 북 어워드와 퓰리처상, 노벨 문학상을 차례로 수상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인정받았다. 1962년 고향 미시시피에서 심장병으로 별세했다.




독자리뷰

장 그르니에의 소설, [섬] 은 내용보다 서문이 더 유명한 책이다. 그르니에를 충실하게 따랐던 작가, 알베르 카뮈가 서문을 썼기 때문이다. 서문의 마지막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지금 이 책을 펼친 그 누구가 나는, 세상에서 가장 부럽다."
책을 펼쳐들고 한 자, 한 자 읽어나갈 때의 설레임과 감동. 그리고 그것을 고스란히 느낄 '새로운 독자'의 심정이 아마 부러웠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런 똑같은 놀라움은 아마 이미 책을 탐독한 그가 다시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은 그 전부터 좋아했다. 아니, 국내에 발간 된 소설이 몇 권 없기 때문에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를 읽기 전에는 단 한 권 밖에 읽지 못한 채였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포크너에 매료되기에는 충분했다. 그 책은 포크너를 단번에 작가 대열로 오르게 했던 [음향과 분노]였다. 이 책은 한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가족'이란 설정은 어쩌면 우리가 쉽게 속아 넘어가는 어떤 이미지를 제시할 뿐이다. 그러니까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마는, 보통의 소설에서 설정할 수 있는 관계설정을 가장 편한 방법으로 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포크너의 놀라운 점은 그들이 가족이라는, 어쩔 수 없이 공통된 분모를 가지고 있는 인간이라는 설정을 뛰어넘는다는 것에 있다. 그들은 가족이지만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기도 하다. 각각의 캐릭터가 확실하고, 성격도 다양하다. 좁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한 설계같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의 상상을 뛰어넘어 버린다. 그리고 난해하다는 통념이 무색하게 좀 더 빨리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역시 음향과 분노와 비슷한 구성을 갖고 출발한다. 우선, 한 가족이 등장한다. 그들이 처해있는 어떤 상황과 가족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점 사이에서 그들은 고민한다. 그것은 개별적인 욕망과 가장 표면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는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서로가 서로를 의식하며 발생하는 증오나 불안 등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는 표리부동적인 고민을 하는 것이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중 누구도 완벽하게 선하거나 악한 인물은 없다. 모두가 수긍할 수 있을 만큼 실제적인 인물들이다. 그들은 내 바로 옆에서 숨쉬고 있는 인간 중 하나일거란 느낌이 든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자유롭게 등장인물 중 누군가를 미워할 수도 있고, 좋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그들 중 누군가를 완벽하게 좋아하지는 못할 것이다. 우리는 그들을 알고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이 소설의 리얼리티이다. 하지만 소설이 끝나고 나서 침대나 쇼파에 걸터앉아 어떤 배신감과 허탈함을 경험하고 난 후, 우리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공평한 감정을 갖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연민' 이다.


윌리엄 포크너는 우리나라에서 만큼은 그다지 인기가 없는 작가인 것 같다. 그에 대한 전면적인 이미지 때문일 것이다. 처음에도 언급했듯이 그의 소설은 난해하다, 시점이 혼란스럽다, 글씨체가 자꾸 바뀐다는 식의 평을 어디에서든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읽은 그의 소설 두 편을 중심으로 생각해 봤을 때, 그의 소설은 오히려 아주 객관적이고, 구체적이고 어쩐지 작가의 배려가 숨어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것은 형식상의 문제이고, 내용적으로는 이 작가는 슬픔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구나,라고 생각했다. 인간에 대한 애착이 소설 전반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포크너의 소설을 읽고 싶다면,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를 제일 먼저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나는 [압살롬, 압살롬!]을 읽고 있기 때문에 느낀 것인데,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가 가장 포크너의 문체를 이해하기 쉽고, 그가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인상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포크너에게 관심을 갖기 가장 쉬운 길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되도록이면 그에 대해 관심을 갖아서 그의 소설을 모조리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후회는 남는다. 이 소설을 좀 더 빨리 읽어서 내 오랜 친구들이 이 소설을 마음 속 깊이까지 공유하도록 만들었어야 하는데. 혹은, 이것을 아주 나중에 만나서 내가 이 소설을 읽기위해 그동안 이 책에서 저 책으로 전전긍긍했구나 하고 실감할 수 있었다면 정말 좋았을 텐데, 하고 말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20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2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9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118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4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7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9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116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5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5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4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2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3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9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12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1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10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2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9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2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8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107 46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file 조수윤 2023.02.15 365 앤드루 포터 문학동네 책밤지기 : 박혜진 문학평론가 2023-02-28 이도저도 오후 7:15
106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65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5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4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04 44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2]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file 조수윤 2022.03.29 364 하미나 동아시아 책밤지기 : 정인경 작가 2022-04-12 이도저도 오후 7:15
103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2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4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101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00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58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9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98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3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97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53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96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3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5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4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8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93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92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5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91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0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39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89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88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6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7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6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5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29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84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29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83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29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82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