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6.07.29 09:00

마음찾기

조회 수 40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9
저자 박영의
출판사 여시아문
발표자 박영의
일자 2006-08-08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자 강연제목: 현대미국소설론

효산 박영의 < 마음찾기> 여시아문 2005년6월 : 불교영어시집


저자는 해방 직후부터 약 60여 년 동안 기독교에서 진리를 찾으려 노력하였으나, 복종적 믿음에 대한 참된 신과 인간관계를 갈망하던 중 'Herman Meville'의 작품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에서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 후 진정 하나님과 부처님은 둘이 아닌 하나임을 깨닫게 되었으며, 참된 자아를 찾는 길이 유일신이 아닌 자기 본성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참나를 찾기 위한 수행과 함께, 참종교에 대한 가르침의 올바른 방향을 알리는 일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문학개관> 등 다수
충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역임, 한국 동서비교문학회 초대회장.
추천도서:월리엄 포크너의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8월의 빛>

************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081
윌리엄 포크너 (Willium Faulkner)
20세기 미국 문학이 낳은 위대한 작가 윌리엄 포크너는 1897년 미시시피 주의 뉴올버니에서 태어났다. 군인이자 작가, 정치가였던 증조부와 변호사로 성공한 조부 밑에서 유복한 유년기를 보내며 미국 남부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문학에 조예가 깊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의 사업차 이주한 옥스퍼드에서 학교를 다녔으나 혼자만의 독서와 사색에 심취하여 고등학교 때 자퇴하였다.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고 군대에 자원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작가 수업을 쌓으며 첫 소설 <병사의 보수>를 출간했다. 소꿉친구였던 에스텔 프랭클린과 결혼한 다음 <음향과 분노>를 내놓으며 소설가로서 기틀을 다졌고 곧이어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와 <8월의 빛><압살롬, 압살롬!> 같은 문제작을 완성했다.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거칠면서도 아름다운 자연과 투박하고도 인간의 진실한 삶을 다룬 작품을 차례로 내놓으면서 현대 미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자신의 고향인 남부 지역 특유의 지방색에 고도의 상징과 의식의 흐름 기법과 같은 실험성을 접목하여 삶과 죽음, 운명과 욕망 같은 보편적인 주제에 도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로 내셔널 북 어워드와 퓰리처상, 노벨 문학상을 차례로 수상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인정받았다. 1962년 고향 미시시피에서 심장병으로 별세했다.




독자리뷰

장 그르니에의 소설, [섬] 은 내용보다 서문이 더 유명한 책이다. 그르니에를 충실하게 따랐던 작가, 알베르 카뮈가 서문을 썼기 때문이다. 서문의 마지막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지금 이 책을 펼친 그 누구가 나는, 세상에서 가장 부럽다."
책을 펼쳐들고 한 자, 한 자 읽어나갈 때의 설레임과 감동. 그리고 그것을 고스란히 느낄 '새로운 독자'의 심정이 아마 부러웠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런 똑같은 놀라움은 아마 이미 책을 탐독한 그가 다시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은 그 전부터 좋아했다. 아니, 국내에 발간 된 소설이 몇 권 없기 때문에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를 읽기 전에는 단 한 권 밖에 읽지 못한 채였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포크너에 매료되기에는 충분했다. 그 책은 포크너를 단번에 작가 대열로 오르게 했던 [음향과 분노]였다. 이 책은 한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가족'이란 설정은 어쩌면 우리가 쉽게 속아 넘어가는 어떤 이미지를 제시할 뿐이다. 그러니까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마는, 보통의 소설에서 설정할 수 있는 관계설정을 가장 편한 방법으로 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포크너의 놀라운 점은 그들이 가족이라는, 어쩔 수 없이 공통된 분모를 가지고 있는 인간이라는 설정을 뛰어넘는다는 것에 있다. 그들은 가족이지만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기도 하다. 각각의 캐릭터가 확실하고, 성격도 다양하다. 좁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한 설계같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의 상상을 뛰어넘어 버린다. 그리고 난해하다는 통념이 무색하게 좀 더 빨리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역시 음향과 분노와 비슷한 구성을 갖고 출발한다. 우선, 한 가족이 등장한다. 그들이 처해있는 어떤 상황과 가족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점 사이에서 그들은 고민한다. 그것은 개별적인 욕망과 가장 표면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는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서로가 서로를 의식하며 발생하는 증오나 불안 등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는 표리부동적인 고민을 하는 것이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중 누구도 완벽하게 선하거나 악한 인물은 없다. 모두가 수긍할 수 있을 만큼 실제적인 인물들이다. 그들은 내 바로 옆에서 숨쉬고 있는 인간 중 하나일거란 느낌이 든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자유롭게 등장인물 중 누군가를 미워할 수도 있고, 좋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그들 중 누군가를 완벽하게 좋아하지는 못할 것이다. 우리는 그들을 알고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이 소설의 리얼리티이다. 하지만 소설이 끝나고 나서 침대나 쇼파에 걸터앉아 어떤 배신감과 허탈함을 경험하고 난 후, 우리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공평한 감정을 갖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연민' 이다.


윌리엄 포크너는 우리나라에서 만큼은 그다지 인기가 없는 작가인 것 같다. 그에 대한 전면적인 이미지 때문일 것이다. 처음에도 언급했듯이 그의 소설은 난해하다, 시점이 혼란스럽다, 글씨체가 자꾸 바뀐다는 식의 평을 어디에서든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읽은 그의 소설 두 편을 중심으로 생각해 봤을 때, 그의 소설은 오히려 아주 객관적이고, 구체적이고 어쩐지 작가의 배려가 숨어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것은 형식상의 문제이고, 내용적으로는 이 작가는 슬픔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구나,라고 생각했다. 인간에 대한 애착이 소설 전반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포크너의 소설을 읽고 싶다면,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를 제일 먼저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나는 [압살롬, 압살롬!]을 읽고 있기 때문에 느낀 것인데, [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가 가장 포크너의 문체를 이해하기 쉽고, 그가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인상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포크너에게 관심을 갖기 가장 쉬운 길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되도록이면 그에 대해 관심을 갖아서 그의 소설을 모조리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후회는 남는다. 이 소설을 좀 더 빨리 읽어서 내 오랜 친구들이 이 소설을 마음 속 깊이까지 공유하도록 만들었어야 하는데. 혹은, 이것을 아주 나중에 만나서 내가 이 소설을 읽기위해 그동안 이 책에서 저 책으로 전전긍긍했구나 하고 실감할 수 있었다면 정말 좋았을 텐데, 하고 말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81 71 몰입의 즐거움 관리자 2005.05.18 4235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해냄 황농문 2005-06-14
280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279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8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7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276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6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5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6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4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73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8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72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1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271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67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70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69 64 뮤지킹 음악하기 file 관리자 2005.01.31 3605 크리스토퍼 스몰 효형출판 전정임 2005-02-15
268 361 인문사회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file 이근완 2017.09.21 205 마셜 맥루언 저, 김성기 역 민음사 강신철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2017-09-26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19시 30분
267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266 22 미래속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3628 에릭 뉴트 이끌리오 2003-05-06
265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9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64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5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3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65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2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261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74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0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7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9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8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51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257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8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256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5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5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9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54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53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72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52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51 43 변경 file 관리자 2004.03.23 3514 렁청진 더난출판 강신철 2004-04-07
250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49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248 104 경영경제 부의 미래 file 관리자 2006.10.15 4763 앨빈 토플러 청림출판 이재흥 아주미술관 관장 2006-10-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7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246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19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45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1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244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5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3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2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2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2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