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6.07.11 09:00

루오전

조회 수 458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8
저자 루오
출판사 대전시립미술관
발표자 이지호
일자 2006-07-25
장소 대전시립미술관
98회 독서토론회에서는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루오의 작품과 관련된 이야기와 작품해설을 이지호 관장님께서 해주시기로 했습니다.


<<루오전 개막을 알리는 대덕넷 기사>>

국내 최초로 20세기를 대표하는 프랑스 화가 조르주 루오(1871~1958)의 초년기부터 말년까지 이르는 작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가 개최될 전망이다.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이지호)는 국내 첫 대규모 전시인 '루오-영혼의 자유를 지킨 화가'의 개막식이 오는 3일 오후 미술관 2층 로비에서 개최된다고 2일 밝혔다.

개막식에는 루오의 친손자인 장 이브 루오와 외손자인 올리비예 누아이예, 외손녀인 안 마리 뒤게 등 루오 재단 대표자들과 루오를 비롯한 인상주의 화가의 작품을 대거 소장하고 있는 일본 요시이 재단의 대표 초조 요시이 등과 공동주최사 대표 등 전시 관계자와 장 뤽 말랭 프랑스 대사관 문정관, 김인중 신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달 4일부터 8월 27일까지 미술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루오의 대표작들이 대거 소개돼 작품의 질이나 양 모든 면에서 관람객들을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루오의 작품은 지난 1985년 중앙일보사가 개최한 판화전시회와 지난해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마티스와 색채의 마술사들'을 통해 일부 작품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전시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정치적 격변기 속에 어린 시절을 보냈던 루오의 초기 작품들로부터 1958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평생에 걸친 대표작 240점으로 이뤄졌다.

모로의 제자로 공부하던 초기의 작품부터 아틀리에에 은둔하여 오직 작업에만 몰두하던 만년까지 루오의 예술 세계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드문 기회로 평가된다.

특히 유화와 크레용, 수채화 등 회화 작품들 외에도 그의 필생의 역작으로 일컬어지는 '미제레레', '악의 꽃', '그리스도의 수난' 등 판화 연작들이 동판화 원판과 함께 전시되며 생전에 쓰던 붓, 팔레트, 책 등 희귀한 유품들도 대중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전시가 시작되는 4일에는 장 이브 루오와 올리비예 누아이예가 강연회를 갖고 13일에는 프랑스, 일본, 한국의 석학들을 초청해 루오에 대한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전시기간 중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2004년부터 추진해온 이번 전시는 지난해 5월 염홍철 대전광역시장의 파리 출장 중 루오 재단 측과 전시 개최에 대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함으로써 본격화됐다. 지난해 10월 루오 재단 대표단이 전시가 열릴 대전시립미술관을 방문하는 등 대전과 파리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협의를 통해 추진됐다.

◇ 루오의 생애(1871~1958)

1. 어린 시절 1871-1902
혼란한 파리 코뮌 시절 태어난 루오는 일찍이 외할아버지에게서 도미에, 마네와 같은 화가에 대해 배웠고 점차 회화에 대한 열정을 키워간다. 스테인드글라스 공방에서 견습생으로 일하며 밤에는 장식예술학교에서 수학하던 그는, 20세가 되던 해인 1890년 국립미술학교 입학해 정식으로 미술교육을 받게 됐다.

루오는 국립미술학교에서 그의 미래에 결정적 영향을 준 스승 귀스타브 모로를 만났다. 모로는 루오를 잘 이해했고 언제나 따뜻한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국립미술학교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루오가 아카데미파 화가들의 반대로 로마상 수상이 무산되자, 스승 모로는 제자 루오에게 학교를 떠나 반 아카데미파 예술가로 그림을 그려보라고 권유했다. 루오는 점차 자신만의 개성을 발견하면서 콩쿠르에서 요구하던 주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진다.

2. 방황기 1902-1914
1898년 정신적 지주였던 스승 귀스타브 모로가 세상을 떠나자 루오는 정신적으로 큰 위기를 맞게 된다. 몸과 마음이 피폐해진 루오는 자연 속에서 휴식하며 안정을 취했다. 파리에 돌아온 후 레옹 블로와(Léon Bloy)의 책에 푹 빠졌는데 특히 레옹 블로와의 정신적 독립성과 직설적 스타일에 매료되어, 그 자신도 새로운 예술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다.

그래서 20세기 초 루오는 데생과 색채의 격렬함, 역동적인 선, 날카로우면서 강렬한 붓 터치가 특징인 자신의 스타일을 완성했다. 또 루오는 창녀와 판사를 기괴하고 우스꽝스러운 형상으로 그려 사회의 부조리를 폭로했다. 당시 사람들은 등장인물의 형상을 왜곡시켜서 강렬하게 표현한 루오 작품의 난폭함에 충격을 받았다.

이 때부터 루오는 재료를 중시해, 1910년경에는 풍부한 채색이 가능한 유화물감을 사용하여, 유화의 비중이 점점 커진다. 루오는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테크닉을 찾아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했다.

3. 고독한 예술가 1914-1930
1917년, 파리의 유명한 미술상인 볼라르가 루오에게 그의 작품들 전체(770점)를 사겠다는 제안을 한다. 루오는 자신의 작업 리듬에 맞게 작업을 마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걸고 승낙한다. 볼라르는 '위비 영감의 재림', '유성 서커스단', '수난', '미제레레', '악의 꽃' 등, 수많은 저서의 삽화 제작을 주문한다. 이제 제작된 판화는 루오의 작품에서는 물론 그의 회화 작업 전개에 있어서도 결정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1917년에서 1926년까지 10년 동안 루오는 판화작업에 열중하여, 회화작품은 많이 그리지 못했다. 이때 제작된 100여점은 서커스 단원들, 종교적 주제, 풍경으로 이 시기는 역동적 선과 통일성과 단순성이 특징이다. 표현적이면서 장식적인 검은색 외곽선들은, 형태의 구조를 이루어 주며 비중 있는 밀도와 움직임을 표출하며 운동감과 깊이를 준다. 판화 기법으로 끊임없이 작업하고 단계를 밟아가던 그는 작품을 완성의 경지까지 천천히 이끌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다.

4. 평온한 성숙기 1930-1948
2차 세계대전 동안, 아틀리에에서 선과 형태와 색채에 대한 실험에 몰두하여 많은 중요한 작품을 완성시켰다. 1930년대에는 평온하면서도 활기찬 색조로 가득 찬 기품 있는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꽃, 풍경, 누드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는 주제를 즐겨 그렸다. 종교적인 주제는 그리스도의 얼굴, 수난도, 성서의 풍경화가 점점 많아진다.

1945년에서 47년경에는 더 밝고 빛나는 색조로 발전한다. 재료는 두꺼워지고, 붓질은 화면위에 불규칙하게 쌓여지면서 표현 기법에 따라 색 반죽이 형태를 잡아간다. 1940년에서 48년 사이에, 물감이 훨씬 더 두껍고 풍부해져서 작품이 실제와 같은 기복을 지니게 된다.

루오는 판화를 통해 데생과 형태를 단순화했는데, 1940년경에는 형태들이 기호나 상징적인 기하학적 구조가 되어버린다. 루오는 구상의 한계를 뛰어넘지는 않지만 자주 추상의 세계로 접근하곤 했다.

5. 마지막 교향곡 1948-1958
화가 루오의 인생에서 마지막 십년은 폭발하는 듯한 색채와 재료에 대한 심취로 특징지어진다. 이 최후의 시기는 그의 작품이 가장 빛을 발하고 완성의 경지에 이른 시기다. 그림에 덜 희석된 물감이 몇 센티의 두께로 곳곳에 쌓여 있다. 폭 넓은 검은 외곽선이 기복 효과를 강화시켜 준다.

오랜 동안 고집스럽게 색을 반죽하고, 주물러서 그 특성이 변화될 정도이다. '사라(Sarah)'의 얼굴은 이 시기의 전형적인 예이다. 색채의 뉘앙스와 빛의 효과를 늘려가며 물감을 중첩시키는 방식은 그림에 조각적인 느낌을 더해준다.

회화의 재료에 대한 고집스런 탐구 작업은 루오의 특징이다. 그는 연금술사처럼 비밀에 싸인 채 끊임없이 자신의 작품들을 변형시키고 완숙의 경지에 이르게 하면서 실험과 연구를 계속해 나간다.
  • ?
    정다겸 2006.07.11 09:00
    우와 이건 나 중학생때 루오전 갔다왔었는데..........ㅠㅠㅠ.............아아 아쉽다아....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1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6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400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2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9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5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398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4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97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96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9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95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94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393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3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92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71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1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90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8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389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88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22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87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8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6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4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85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6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4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8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3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9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2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5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1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1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0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9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57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8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7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7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5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6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3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75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21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4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2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3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07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2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3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1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0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67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9 153 착한인생 file 박문호 2008.10.29 5467 박경철 리더스 박경철 2008-1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8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7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7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5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366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4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365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43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64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363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28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362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402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