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06.07.11 09:00

루오전

조회 수 458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8
저자 루오
출판사 대전시립미술관
발표자 이지호
일자 2006-07-25
장소 대전시립미술관
98회 독서토론회에서는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루오의 작품과 관련된 이야기와 작품해설을 이지호 관장님께서 해주시기로 했습니다.


<<루오전 개막을 알리는 대덕넷 기사>>

국내 최초로 20세기를 대표하는 프랑스 화가 조르주 루오(1871~1958)의 초년기부터 말년까지 이르는 작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가 개최될 전망이다.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이지호)는 국내 첫 대규모 전시인 '루오-영혼의 자유를 지킨 화가'의 개막식이 오는 3일 오후 미술관 2층 로비에서 개최된다고 2일 밝혔다.

개막식에는 루오의 친손자인 장 이브 루오와 외손자인 올리비예 누아이예, 외손녀인 안 마리 뒤게 등 루오 재단 대표자들과 루오를 비롯한 인상주의 화가의 작품을 대거 소장하고 있는 일본 요시이 재단의 대표 초조 요시이 등과 공동주최사 대표 등 전시 관계자와 장 뤽 말랭 프랑스 대사관 문정관, 김인중 신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달 4일부터 8월 27일까지 미술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루오의 대표작들이 대거 소개돼 작품의 질이나 양 모든 면에서 관람객들을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루오의 작품은 지난 1985년 중앙일보사가 개최한 판화전시회와 지난해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마티스와 색채의 마술사들'을 통해 일부 작품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전시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정치적 격변기 속에 어린 시절을 보냈던 루오의 초기 작품들로부터 1958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평생에 걸친 대표작 240점으로 이뤄졌다.

모로의 제자로 공부하던 초기의 작품부터 아틀리에에 은둔하여 오직 작업에만 몰두하던 만년까지 루오의 예술 세계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드문 기회로 평가된다.

특히 유화와 크레용, 수채화 등 회화 작품들 외에도 그의 필생의 역작으로 일컬어지는 '미제레레', '악의 꽃', '그리스도의 수난' 등 판화 연작들이 동판화 원판과 함께 전시되며 생전에 쓰던 붓, 팔레트, 책 등 희귀한 유품들도 대중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전시가 시작되는 4일에는 장 이브 루오와 올리비예 누아이예가 강연회를 갖고 13일에는 프랑스, 일본, 한국의 석학들을 초청해 루오에 대한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전시기간 중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2004년부터 추진해온 이번 전시는 지난해 5월 염홍철 대전광역시장의 파리 출장 중 루오 재단 측과 전시 개최에 대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함으로써 본격화됐다. 지난해 10월 루오 재단 대표단이 전시가 열릴 대전시립미술관을 방문하는 등 대전과 파리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협의를 통해 추진됐다.

◇ 루오의 생애(1871~1958)

1. 어린 시절 1871-1902
혼란한 파리 코뮌 시절 태어난 루오는 일찍이 외할아버지에게서 도미에, 마네와 같은 화가에 대해 배웠고 점차 회화에 대한 열정을 키워간다. 스테인드글라스 공방에서 견습생으로 일하며 밤에는 장식예술학교에서 수학하던 그는, 20세가 되던 해인 1890년 국립미술학교 입학해 정식으로 미술교육을 받게 됐다.

루오는 국립미술학교에서 그의 미래에 결정적 영향을 준 스승 귀스타브 모로를 만났다. 모로는 루오를 잘 이해했고 언제나 따뜻한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국립미술학교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루오가 아카데미파 화가들의 반대로 로마상 수상이 무산되자, 스승 모로는 제자 루오에게 학교를 떠나 반 아카데미파 예술가로 그림을 그려보라고 권유했다. 루오는 점차 자신만의 개성을 발견하면서 콩쿠르에서 요구하던 주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진다.

2. 방황기 1902-1914
1898년 정신적 지주였던 스승 귀스타브 모로가 세상을 떠나자 루오는 정신적으로 큰 위기를 맞게 된다. 몸과 마음이 피폐해진 루오는 자연 속에서 휴식하며 안정을 취했다. 파리에 돌아온 후 레옹 블로와(Léon Bloy)의 책에 푹 빠졌는데 특히 레옹 블로와의 정신적 독립성과 직설적 스타일에 매료되어, 그 자신도 새로운 예술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다.

그래서 20세기 초 루오는 데생과 색채의 격렬함, 역동적인 선, 날카로우면서 강렬한 붓 터치가 특징인 자신의 스타일을 완성했다. 또 루오는 창녀와 판사를 기괴하고 우스꽝스러운 형상으로 그려 사회의 부조리를 폭로했다. 당시 사람들은 등장인물의 형상을 왜곡시켜서 강렬하게 표현한 루오 작품의 난폭함에 충격을 받았다.

이 때부터 루오는 재료를 중시해, 1910년경에는 풍부한 채색이 가능한 유화물감을 사용하여, 유화의 비중이 점점 커진다. 루오는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테크닉을 찾아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했다.

3. 고독한 예술가 1914-1930
1917년, 파리의 유명한 미술상인 볼라르가 루오에게 그의 작품들 전체(770점)를 사겠다는 제안을 한다. 루오는 자신의 작업 리듬에 맞게 작업을 마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걸고 승낙한다. 볼라르는 '위비 영감의 재림', '유성 서커스단', '수난', '미제레레', '악의 꽃' 등, 수많은 저서의 삽화 제작을 주문한다. 이제 제작된 판화는 루오의 작품에서는 물론 그의 회화 작업 전개에 있어서도 결정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1917년에서 1926년까지 10년 동안 루오는 판화작업에 열중하여, 회화작품은 많이 그리지 못했다. 이때 제작된 100여점은 서커스 단원들, 종교적 주제, 풍경으로 이 시기는 역동적 선과 통일성과 단순성이 특징이다. 표현적이면서 장식적인 검은색 외곽선들은, 형태의 구조를 이루어 주며 비중 있는 밀도와 움직임을 표출하며 운동감과 깊이를 준다. 판화 기법으로 끊임없이 작업하고 단계를 밟아가던 그는 작품을 완성의 경지까지 천천히 이끌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다.

4. 평온한 성숙기 1930-1948
2차 세계대전 동안, 아틀리에에서 선과 형태와 색채에 대한 실험에 몰두하여 많은 중요한 작품을 완성시켰다. 1930년대에는 평온하면서도 활기찬 색조로 가득 찬 기품 있는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꽃, 풍경, 누드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는 주제를 즐겨 그렸다. 종교적인 주제는 그리스도의 얼굴, 수난도, 성서의 풍경화가 점점 많아진다.

1945년에서 47년경에는 더 밝고 빛나는 색조로 발전한다. 재료는 두꺼워지고, 붓질은 화면위에 불규칙하게 쌓여지면서 표현 기법에 따라 색 반죽이 형태를 잡아간다. 1940년에서 48년 사이에, 물감이 훨씬 더 두껍고 풍부해져서 작품이 실제와 같은 기복을 지니게 된다.

루오는 판화를 통해 데생과 형태를 단순화했는데, 1940년경에는 형태들이 기호나 상징적인 기하학적 구조가 되어버린다. 루오는 구상의 한계를 뛰어넘지는 않지만 자주 추상의 세계로 접근하곤 했다.

5. 마지막 교향곡 1948-1958
화가 루오의 인생에서 마지막 십년은 폭발하는 듯한 색채와 재료에 대한 심취로 특징지어진다. 이 최후의 시기는 그의 작품이 가장 빛을 발하고 완성의 경지에 이른 시기다. 그림에 덜 희석된 물감이 몇 센티의 두께로 곳곳에 쌓여 있다. 폭 넓은 검은 외곽선이 기복 효과를 강화시켜 준다.

오랜 동안 고집스럽게 색을 반죽하고, 주물러서 그 특성이 변화될 정도이다. '사라(Sarah)'의 얼굴은 이 시기의 전형적인 예이다. 색채의 뉘앙스와 빛의 효과를 늘려가며 물감을 중첩시키는 방식은 그림에 조각적인 느낌을 더해준다.

회화의 재료에 대한 고집스런 탐구 작업은 루오의 특징이다. 그는 연금술사처럼 비밀에 싸인 채 끊임없이 자신의 작품들을 변형시키고 완숙의 경지에 이르게 하면서 실험과 연구를 계속해 나간다.
  • ?
    정다겸 2006.07.11 09:00
    우와 이건 나 중학생때 루오전 갔다왔었는데..........ㅠㅠㅠ.............아아 아쉽다아....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80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479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29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478 3 세계가 놀란 히딩크의 힘 file 관리자 2003.06.21 4512 최영균외 중앙M&B 2002-07-09
477 4 만년샤쓰 file 관리자 2003.06.21 4963 방정환 길벗어린이 2002-07-23
476 9 오만한 제국 file 관리자 2003.06.21 4723 하워드 진 당대 2002-08-14
475 5 금산적병강 야유회 file 관리자 2003.06.21 4784 2002-08-15
474 6 영혼이 있는 승부 file 관리자 2003.06.21 4576 최인호 김영사 2002-08-27
473 7 상하이 리포트 file 관리자 2003.06.21 4343 한국경제 특별 취재팀 은행나무 2002-09-10
472 8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file 관리자 2003.06.21 4465 네그로폰테 박영율 2002-09-28
471 10 Next Society file 관리자 2003.06.21 4544 피터드러커 한국경제신문 2002-10-26
470 11 링크 (원제: Linked;) file 관리자 2003.06.21 4237 바라바시 동아시아 2002-11-12
469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88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468 13 최신유럽연합론 file 관리자 2003.06.21 4223 이원종 해남 2002-12-10
467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6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466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1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465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35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464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06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463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13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462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7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461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7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460 21 경영경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4470 짐 콜린스 김영사 2003-04-22
459 22 미래속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3627 에릭 뉴트 이끌리오 2003-05-06
458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34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457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0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456 2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file 관리자 2003.06.21 4382 소큐도미코 선영사 박상찬 교수 2003-06-24
455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099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454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6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453 28 생각의 속도 1 file 관리자 2003.07.21 3871 빌게이츠 청림출판 강신철 2003-08-12
452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7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451 30 최고경영자 예수 file 관리자 2003.08.29 3792 로리 베스 존스 한언 송윤호 2003-09-19
450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4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449 32 마당을 나온 암탉 file 관리자 2003.09.30 3944 황선미 사계절 아동문고 장미란 2003-10-25
448 33 대화의 법칙 file 관리자 2003.09.30 3972 래리 킹 청년정신 김홍범 2003-11-05
447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7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446 35 꿈 (Dreaming) file 관리자 2003.10.29 4098 앨런홉슨 아카넷 박문호 2003-12-03
445 36 생각이 솔솔 file 관리자 2003.12.09 3881 애드워드 드 보노 (주)한언 문경수 2003-12-20
444 37 연금술사 file 관리자 2003.12.16 3785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유현숙 2004-01-07
443 38 2막 file 관리자 2004.01.15 3790 스테판 M. 폴란,마크 레빈 명진출판 정유현 2004-01-27
442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1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441 40 7인의 베스트 CEO file 관리자 2004.02.10 4007 제프리 크레임스 물푸레 현영석 교수 2004-0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