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6.05.21 09:00

인간본성에 대하여

조회 수 41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5
저자 에드워드 윌슨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발표자 이진석
일자 2006-06-1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소개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전 생물체의 사회학적 행동분석을 유전자에 의한 결과라고 주장한 그의 이론은 인간우월주의적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에게 충격을 던져 주었다. 유전자 결정론에 입각하여 서술되었지만 생명체 존재가치를 그것에 한정짓지 않은 점은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 이한음
서울대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1996년에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과학소설집『신이 되고 싶은 컴퓨터』를 저술하였으며,『복제양 돌리』『클론 AND 클론』등을 번역하였다.


저 : 에드워드 윌슨

'살아있는 최고의 생물학자', '개미생물학의 일인자'. 그를 호칭하는 모든 단어에는 최고라는 찬사가 가득하다. 그가 사회생물학에서 이룩한 업적을 생각한다면 그 어떤 최고의 찬사로도 모자랄 듯. 그는 평생 애정을 쏟은 개미를 비롯한 동물의 집단생물학, 동물행동학, 진화생물학과 사회생물학 등 20세기 생물학 곳곳에서 커다란 발자취를 남겨왔다. 뿐만 아니라 그의 저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누구보다 쉽고 간단명료하게 서술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끈임없이 공부하는 사람으로도 유명해 교수가 된 뒤에도 수학 공부를 학부생들과 함께 했고,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작문 개인수업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1. 인간 본성의 딜레마
2. 유전적 진화
3. 준비된 학습
4. 문화적 진화
5. 공격성
6. 성(性)
7. 이타주의
8. 종교
9. 희망



• 책속으로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는가 하는 문제는 이제 더 이상 질문거리도 되지 않는다.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이다. 유전자에 관한 수많은 증거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 나아가 유전학자들이 -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씨 더 상세하고 압도적이다. 나는 좀더 강력하게 말하겠다. 그것은 이미 결정적이라고.

이왕 말을 꺼냈으니 유전적으로 결정된 형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한 정의를 내려보기로 하자. 유전적으로 결정된 형질이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존재함으로써 다른 형질들과 구별이 되는 형질을 말한다. 중요한 점은 유전적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려면 한 형질의 상태를 두 가지 이상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다. 파란색 눈이 유전된다는 말은 좀더 구체화시키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도 없다. 왜냐하면 파란색 눈은 홍채에 최종적으로 색깔을 불어넣는 생리적인 환경과 유전자의 상호작용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란색 눈과 갈색 눈의 차이가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유전자의 차이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의미 있는 주장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검증을 통해 유전학의 법칙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는 관련된 자료들을 찾아야 한다. 부모, 형제자매, 자손, 약간 먼 친척들의 눈 색깔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세포 증식과 유성생식에 바탕을 둔, 두 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만을 다루는 가장 단순한 멘델 유전 모델과 비교한다. 자료들이 모델에 부합된다면, 그 차이는 두 유전자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당히 복잡한 분석틀이 적용되어야 한다. 합리적인 수준으로 들어맞을 때까지 유전자의 수가 점점 더 늘어나고, 더 복잡한 상호작용의 양상이 상정된다. 교과서에 나오는 이상적인 세례와 달리 차이를 모호하게 만드는 복잡한 변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위에 인용한 파란색 눈과 갈색 눈의 주된 차이는 사실상 두 개의 유전자에 토대를 두고 있다. 가장 복잡한 형질에는 수백 개의 유전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각 유전자의 상대적인 영향은 정교한 수학 기법의 도움을 받는다고 해도 대략적인 수준까지만 측정이 가능하다. 그래도 그 분석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유전적인 영향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그 영향의 대략적인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는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인간의 사회적 행동도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먼저 다른 종들의 행동과 비교한 후, 훨씬 더 어렵고 모호한 인간 집단 내 및 집단 간의 변이를 연구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유전자 결정론은 선택한 주요 동물 분류군과 인간 종을 비교할 때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다. 해부학적 및 생화학적으로 우리와 가장 가까운 진화상의 친척인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대형 유인원과 원숭이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보편적인 인간 형질들을 우리와 공유하고 있다.--- p.46-48


로버트 노직은 채식주의를 옹호하는 글에서 이점을 명쾌하게 지적하고 있다. 그는 인간은 자신이 죽인 동물이 감수성과 지능 면에서 감히 자신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저급하다는 생각하에 육식을 정당화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정말로 우월한 외계 생물 종의 대표자들이 지구를 방문하여 같은 기준을 적용한다면, 그들은 아무런 양심의 가책도 받지 않고 우리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 p.44


따라서 인간의 정신은 경험을 통해 선과 점으로 뒤엉킨 그림들이 그려지는 백지가 아니다. 그것은 여러 대한 중에 어떤 특정한 하나를 선택하고, 유아에서 어른으로 자동적이고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정해진 신축적인 계획표에 따라 빈틈없이 경계하는 탐색자, 즉 자치적 의사 결정 기구로 기술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 p.105 -- 3장 준비된 학습 중에서


동성애자들에게 아이가 없는데, 동성애 성향을 유도하는 유전자들이 어떻게 집단 전체에 퍼질 수 있다는 말인가? 한가지 대답은 그들이 존재함으로써 그들의 친족들이 더 많은 아이들을 가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원시 사회의 동성애자들은 사냥과 채집을 하거나 또는 주거지에서 더 가정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같은 성별을 지닌 사회구성원들을 도왔을 수도 있다. 그들은 부모의 의무라는 특수한 의무에서 행방됨으로써, 특히 가까운 친족들을 보조하는 데 영향력 있는 위치에 서게 되었을 것이다.

나아가 그들은 선지자, 무당, 예술가, 부족의 지식 보유자 역할을 맡았을지도 모른다. 자매, 형재, 질녀, 조카 등 친척들의 생존율과 번식률이 더 높아지는 이익을 얻었다면, 이렇게 동성애자로 특화된 사람들이 공유하는 유전자들은 대체 관계에 있는 유전자들을 희생시키면서 증가했을 것이다.--- p.203


그 동전의 물리적 특성은 피코그램과 미크론 수준까지 측정되고, 던지는 사람의 근육 생리 상태와 엄지의 모양이 분석되고, 실내의 공기 흐름이 도표로 작성되고, 바닥 표면의 세밀한 지형과 탄성이 지도로 그려질 것이다. 동전이 손에서 떨어지는 순간, 위의 모든 정보 외에 던지는 순간의 힘과 동전의 각도가 컴퓨터에 입력된다. 동전이 몇 번 회전하기도 전에 컴퓨터는 동전의 궤적을 완벽하게 예측하고 최종적으로 앞면인지 뒷면인지를 계산해 낸다.... 비록 한정된 범위 내지만 우리는 동전의 운명을 알 수 있다.--- p.112-113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19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8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8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117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16 450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file 조수윤 2022.06.20 276 제프 호킨스 이데아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2022-06-28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15 40 7인의 베스트 CEO file 관리자 2004.02.10 4007 제프리 크레임스 물푸레 현영석 교수 2004-02-24
114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113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3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2 446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3] 스토리텔링 애니멀 file 조수윤 2022.04.19 312 조너선 갓셜 민음사 책밤지기 : 백정민(방구석 살롱 대표) 2022-04-26 이도저도 오후 7:15
111 114 인문사회 얼굴, 한국인의 낯 file 관리자 2007.03.18 5160 조용진 사계절 조용진 2007-03-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0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1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109 103 인문사회 고수기행 file 관리자 2006.09.27 4933 조용헌 랜덤하우스중앙 조용헌 2006-10-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8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58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07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4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106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75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05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4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0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03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02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01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8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100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174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9 44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1] 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file 조수윤 2022.03.14 315 조진주 아웃사이트 책밤지기 : 엄윤미(도서문화재단 씨앗 / 번뇌하는 언니들) 2022-03-22 이도저도 오후 7:15
98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3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7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3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96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28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95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94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93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8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2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5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91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099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0 313 인문사회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file 이근완 2015.08.16 1222 존 브래드쇼 학지사 김영돈(정신건강의학 전문의) 2015-08-25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9 44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file 조수윤 2022.05.10 329 존 윌리엄스 RHK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2022-05-10 이도저도 오후 7:15
88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87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0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86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74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85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5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4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1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83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7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82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290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81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0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57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