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6.05.10 09:00

탐독

조회 수 41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4
저자 이정우
출판사 아고라
발표자 이정우
일자 2006-05-2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 월 23일 (화요일) 독서모임은

철학아카데미 이정우 원장님께서
http://www.acaphilo.or.kr/company4.htm

최근 출판된 "탐독"으로 강의를 해주십니다.


저자 : 이정우
1959년 충북 영동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섬유고분자공학을 공부했다.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철학으로 전공을 바꾸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릴레오의 비교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담론의 공간』(1994)으로 출간되었다.

1995년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취임했으며, 1997년에는 90년대 한국 사회의 문화적 모순을 다룬 『가로지르기』를 출간했다. 1998년 서강대학교에서 사임했으며, 2000년 최초의 철학대안학교인 철학아카데미를 창설해 현재까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그 사이 전통-근대-탈근대의 문제를 다룬 『인간의 얼굴』(1999)을 출간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강을 실시, 그 결과가 『시뮬라크르의 시대』(1999), 『삶, 죽음, 운명』(1999), 『접힘과 펼쳐짐』(2000), 『주름, 갈래, 울림』(2001)으로 출간되어 나왔다(『시뮬라크르의 시대』와 『삶, 죽음, 운명』은 2003년에 개정, 합본되어 『사건의 철학』으로 재출간되었다).

이 책들을 통해 서구 형이상학과 현대과학 그리고 동북아 사상의 전통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존재론을 모색했다. 2001년에는 사이버펑크 영화들에서 인간 정체성의 문제를 읽어낸 『기술과 운명』을, 2004년에는 철학의 기초 개념들을 해설한 『개념―뿌리들』 1, 2권을 출간했다.

===========================================
책소개

철학자 이정우의 독서 에세이. '유목적 사유의 탄생'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책은 『삼국지』를 보며 울고 웃던 소년이 철학자로 성숙하기까지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현재 동·서양 철학과 문화, 한의학, 건축 등을 넘나드는 저자의 생각을 키운 다양한 책들과 지적 성장의 기록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문학, 과학, 철학 세 분야의 책들을 다루고 있다. 1부 '문학과 더불어'에서는 동·서양의 문학작품들을 통해 저자가 인간과 세계, 인생에 대해 눈을 뜨는 과정을 볼 수 있다. 2부 '과학의 세계'에는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경제학의 핵심 개념이 수식과 그래프, 간결한 설명으로 표현되어 있다. 과학을 통해 저자는 문학에서 발견한 '인간에 대한 관심'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방법론을 얻었으며, 그것은 철학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되었다고 말한다. 3부 '철학 마을 가로지르기'는 저자가 읽은 책들과 쓴 책들을 주제에 따라 함께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서 독자들은 철학의 주요 사상과 더불어 철학자 이정우의 학문을 요약적으로 살필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책들은 하나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분야를 넘나들며 해석된다. 『수호지』와 『임꺽정』을 통해 얻은 사회의식이 『자본론』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고,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에서 플라톤의 사상이 발견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지질학과 수학의 무한 개념을 통한 존재론의 탐구, "과학 없는 인문학, 인문학 없는 과학"은 있을 수 없다는 주장, 하나의 연장선 위에 놓인 들뢰즈와 다산의 학문 등은 진정한 학문에는 경계가 없다는 것, '교양'이란 단숨에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사고 속에서만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학문의 세계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살아낸 한 사람의 모습을 담은 휴먼 에세이이자, 쉽고 부드러운 수필의 형태로 결코 가볍지 않은 지식의 핵심을 전하는 인문서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책'이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성장시키는지를 볼 수 있으며, 문학, 과학, 철학 전 분야에 걸친 다양한 책들을 통해 하나의 지식 지도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관련 자료

▶ 주요 수록도서

문학
화수분/ 운수 좋은 날/ 백치 아다다/ 목로주점/ 나나/ 파우스트/ 아라비안나이트/ 삼국지/ 수호지/ 임꺽정/ 전쟁과 평화/ 안나 까레니나/ 부활/ 까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죄와 벌/ 데미안/ 지와 사랑/ 싯다르타/ 파우스트/ 이방인/ 구토/ 아Q정전/ 성/ 심판/ 변신/ 법 앞에서/ 라쇼몽/ 덤불 속

과학
공간의 역사/ 구조적 안정성과 형태발생/ 성장과 형태에 관하여/ 부분과 전체/ 빛과 물질/ 지적 사기/ 기체론 강의/ 시간과 공간의 철학/ 시간의 방향/ 생명이란 무엇인가/ 천의 고원/ 제국/ 두 경제학의 이야기/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자본주의 이행 논쟁/ 역사란 무엇인가/ 자본론/ 공산당 선언

철학
철학적 탐구/ 눈과 마음/ 과정과 실재/ 논리-철학논고/ 의미의 논리/ 생명의 논리/ 지각의 현상학/ 창조적 진화/ 형이상학 강의 1/ 물질과 기억/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 말과 사물/ 박물학의 욕망/ 지식의 고고학/ 동양의학과 철학/ 기, 흐르는 신체/ 중국 의학의 이론적 기초/ 음양오행설의 연구/ 중국의 과학과 문명/ 동아시아의 과학과 기술/ 맹자요의

================================================
탐독을 읽고
califoni 님 | 2006-02-28 | 책내용 책상태


지금 책을 읽고 있습니다.
거의 마지막 철학 부분을 읽고 있는데
내용이 깊이있으면서도 지루하지 않고 새로운 형식의 독서체험기라는 방식이
참신했습니다.

다른 책들은 책을 요약하거나 재해석하는 방식을 서평책들이 많이 봤는데 해석하고 사고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책이라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저도 고시공부를 하는 중이라, 사고력을 길러볼까 하는 마음으로 이책 저책 구해 읽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특히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분석이 필요한 저한테는 철학, 과학, 문학등의 다양한 사고력을 기르는데 좋았던것 같습니다.
언론사나 다른 고시준비를 하시는 분들. 그리고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쉬운 내용이 아니라 기본서는 아니구요 고급 서적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들이 한번 읽어볼만한 책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양한 지식보다 사유하는 방식에 대한 책이라고 보면 글을 쓰거나 논리적인 사고력을 배양하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고시공부하는 학생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1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67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100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1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99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9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98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33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97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6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96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10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5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63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94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96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3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9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92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9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1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33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90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9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89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9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88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9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7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8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86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9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5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95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4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4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3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8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2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1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1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5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0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12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79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8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78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62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77 42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9] 내 이름은 빨강 1~2권 file 조수윤 2021.03.11 321 오르한 파묵 민음사 책밤지기 : 장은수 2021-03-23 이도저도 오후 7:15
76 42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1]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file 조수윤 2021.04.14 231 구정은 후마니타스 책밤지기 : 정혜승 2021-04-27 이도저도 오후 7:15
75 42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2] 대화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5.04 292 시어도어 젤딘 어크로스 책밤지기 : 윤성원(프로젝트 썸원) 2021-05-11 이도저도 오후 7:15
74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6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73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43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72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97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71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9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70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63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69 433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0] 모스크바의 신사 1 file 조수윤 2021.10.05 307 에이모 토울스 현대문학 책밤지기 : 최진영(과학과 사람들 대표) 2021-10-12 이도저도 오후 7:15
68 43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1] 슬픈 불멸주의자 file 조수윤 2021.10.18 265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흐름출판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2021-10-26 이도저도 오후 7:15
67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96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66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308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65 439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6]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file 조수윤 2022.01.03 280 오후 동아시아 책밤지기 : 이강환 2022-01-11 이도저도 오후 7:15
64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83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63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47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62 44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1] 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file 조수윤 2022.03.14 326 조진주 아웃사이트 책밤지기 : 엄윤미(도서문화재단 씨앗 / 번뇌하는 언니들) 2022-03-22 이도저도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