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6.05.10 09:00

탐독

조회 수 41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4
저자 이정우
출판사 아고라
발표자 이정우
일자 2006-05-23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 월 23일 (화요일) 독서모임은

철학아카데미 이정우 원장님께서
http://www.acaphilo.or.kr/company4.htm

최근 출판된 "탐독"으로 강의를 해주십니다.


저자 : 이정우
1959년 충북 영동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섬유고분자공학을 공부했다.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철학으로 전공을 바꾸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릴레오의 비교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담론의 공간』(1994)으로 출간되었다.

1995년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취임했으며, 1997년에는 90년대 한국 사회의 문화적 모순을 다룬 『가로지르기』를 출간했다. 1998년 서강대학교에서 사임했으며, 2000년 최초의 철학대안학교인 철학아카데미를 창설해 현재까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그 사이 전통-근대-탈근대의 문제를 다룬 『인간의 얼굴』(1999)을 출간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강을 실시, 그 결과가 『시뮬라크르의 시대』(1999), 『삶, 죽음, 운명』(1999), 『접힘과 펼쳐짐』(2000), 『주름, 갈래, 울림』(2001)으로 출간되어 나왔다(『시뮬라크르의 시대』와 『삶, 죽음, 운명』은 2003년에 개정, 합본되어 『사건의 철학』으로 재출간되었다).

이 책들을 통해 서구 형이상학과 현대과학 그리고 동북아 사상의 전통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존재론을 모색했다. 2001년에는 사이버펑크 영화들에서 인간 정체성의 문제를 읽어낸 『기술과 운명』을, 2004년에는 철학의 기초 개념들을 해설한 『개념―뿌리들』 1, 2권을 출간했다.

===========================================
책소개

철학자 이정우의 독서 에세이. '유목적 사유의 탄생'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책은 『삼국지』를 보며 울고 웃던 소년이 철학자로 성숙하기까지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현재 동·서양 철학과 문화, 한의학, 건축 등을 넘나드는 저자의 생각을 키운 다양한 책들과 지적 성장의 기록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문학, 과학, 철학 세 분야의 책들을 다루고 있다. 1부 '문학과 더불어'에서는 동·서양의 문학작품들을 통해 저자가 인간과 세계, 인생에 대해 눈을 뜨는 과정을 볼 수 있다. 2부 '과학의 세계'에는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경제학의 핵심 개념이 수식과 그래프, 간결한 설명으로 표현되어 있다. 과학을 통해 저자는 문학에서 발견한 '인간에 대한 관심'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방법론을 얻었으며, 그것은 철학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되었다고 말한다. 3부 '철학 마을 가로지르기'는 저자가 읽은 책들과 쓴 책들을 주제에 따라 함께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서 독자들은 철학의 주요 사상과 더불어 철학자 이정우의 학문을 요약적으로 살필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책들은 하나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분야를 넘나들며 해석된다. 『수호지』와 『임꺽정』을 통해 얻은 사회의식이 『자본론』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고,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에서 플라톤의 사상이 발견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지질학과 수학의 무한 개념을 통한 존재론의 탐구, "과학 없는 인문학, 인문학 없는 과학"은 있을 수 없다는 주장, 하나의 연장선 위에 놓인 들뢰즈와 다산의 학문 등은 진정한 학문에는 경계가 없다는 것, '교양'이란 단숨에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사고 속에서만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학문의 세계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살아낸 한 사람의 모습을 담은 휴먼 에세이이자, 쉽고 부드러운 수필의 형태로 결코 가볍지 않은 지식의 핵심을 전하는 인문서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책'이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성장시키는지를 볼 수 있으며, 문학, 과학, 철학 전 분야에 걸친 다양한 책들을 통해 하나의 지식 지도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관련 자료

▶ 주요 수록도서

문학
화수분/ 운수 좋은 날/ 백치 아다다/ 목로주점/ 나나/ 파우스트/ 아라비안나이트/ 삼국지/ 수호지/ 임꺽정/ 전쟁과 평화/ 안나 까레니나/ 부활/ 까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죄와 벌/ 데미안/ 지와 사랑/ 싯다르타/ 파우스트/ 이방인/ 구토/ 아Q정전/ 성/ 심판/ 변신/ 법 앞에서/ 라쇼몽/ 덤불 속

과학
공간의 역사/ 구조적 안정성과 형태발생/ 성장과 형태에 관하여/ 부분과 전체/ 빛과 물질/ 지적 사기/ 기체론 강의/ 시간과 공간의 철학/ 시간의 방향/ 생명이란 무엇인가/ 천의 고원/ 제국/ 두 경제학의 이야기/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자본주의 이행 논쟁/ 역사란 무엇인가/ 자본론/ 공산당 선언

철학
철학적 탐구/ 눈과 마음/ 과정과 실재/ 논리-철학논고/ 의미의 논리/ 생명의 논리/ 지각의 현상학/ 창조적 진화/ 형이상학 강의 1/ 물질과 기억/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 말과 사물/ 박물학의 욕망/ 지식의 고고학/ 동양의학과 철학/ 기, 흐르는 신체/ 중국 의학의 이론적 기초/ 음양오행설의 연구/ 중국의 과학과 문명/ 동아시아의 과학과 기술/ 맹자요의

================================================
탐독을 읽고
califoni 님 | 2006-02-28 | 책내용 책상태


지금 책을 읽고 있습니다.
거의 마지막 철학 부분을 읽고 있는데
내용이 깊이있으면서도 지루하지 않고 새로운 형식의 독서체험기라는 방식이
참신했습니다.

다른 책들은 책을 요약하거나 재해석하는 방식을 서평책들이 많이 봤는데 해석하고 사고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책이라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저도 고시공부를 하는 중이라, 사고력을 길러볼까 하는 마음으로 이책 저책 구해 읽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특히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분석이 필요한 저한테는 철학, 과학, 문학등의 다양한 사고력을 기르는데 좋았던것 같습니다.
언론사나 다른 고시준비를 하시는 분들. 그리고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쉬운 내용이 아니라 기본서는 아니구요 고급 서적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들이 한번 읽어볼만한 책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양한 지식보다 사유하는 방식에 대한 책이라고 보면 글을 쓰거나 논리적인 사고력을 배양하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고시공부하는 학생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7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3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6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5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4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2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3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3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2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1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2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0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9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8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7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3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6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5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1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4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91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3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2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2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1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6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90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4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89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88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1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87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4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86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7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5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6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84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3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3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82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1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80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7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79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78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77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1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76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9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75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8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74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3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73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72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2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71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4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70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69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51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68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