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9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91
저자 한필원
출판사 북로드
발표자 한필원
일자 2006-04-11

한필원 교수가 지난 20년 동안 연구하고 ATA와 함께 2년에 걸쳐 집필한 두 권의 책이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라는 제목으로 '북로드'에서 2004년 11월26일에 출간되었다. 이 두 권의 책은 명실상부한 '마을에 관한 최초의 종합 해설서'라는 평을 받고 있다.
이 책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주거공간이 ‘진정 사람을 위하고 자연과 함께 하는 것인가?’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어느 새 최첨단으로 무장한 우리의 주거공간은 사람 또는 자연이 저만치 밀려난 숨 쉴 수 없는 공간이 되었다. 닭장 같은 아파트단지는 편의와 부동산 가치의 표본이 되었으며, 좀 낫다는 일반주택 또한 그곳에 살고 있는 주인의 정신이나 개성이 사라진 지 오래다. 우리가 그토록 바라는 이상적인 주거공간은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현 주거공간의 현실을 되돌아보고, 그토록 바라마지 않는 이상적인 주거공간을 전통마을에서 찾고자 했다. 듬성듬성 자리한 그래서 무질서하게 보이는 전통마을에는 ‘모두가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공동체의 삶터’, ‘자연과 더불어 건강하게 사는 환경친화적 삶터’의 모습이 오랫동안 존재해왔기 때문이다. 또 지금까지 살다간, 여전히 살고 있고 앞으로도 살아갈 이들의 ‘따뜻한 숨결과 놀라운 지혜’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시대에 맞게 끊임없이 변모하면서도 본래 가지고 있던 질서의 틀을 여전히 명료하게 보여주는 그곳에서 저자는 21세기형 주거공간에 대한 미래를 설계해 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단순히 고색창연한, 그래서 우리의 전통마을 하면 무슨 무슨 민속촌부터 생각나고, 잠시 옛것을 찾아 떠나는 답사여행기와는 거리가 멀다. 이 책은 우리 주거문화의 ‘미래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몸담고 있는 건축학도는 물론, 현 주거공간에 의문을 갖고 해답을 얻고자 하는 일반인들에게도 귀중한 책으로 남을 것이다.

서평URL: http://ata.hannam.ac.kr/pub/pub-k.htm

책소개

도시인들에게 ‘전통마을’은 아련한 옛날의 향수를 떠올려주는 눈요기이거나 전통 문화나 역사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관광지 중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는 듯하다. 특히 현대 주거 공간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전통마을은 무질서하고, 불편하며, 활기 없는 박제된 공간처럼 보일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곳에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놀라운 질서와 조화가 숨겨져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그토록 ‘전통마을’에 애착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나, 그곳에는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땅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사람들의 따뜻한 숨결과 놀라운 지혜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둘, 시대 변화의 동요됨 없이 현실의 필요와 삶의 이해에 따라 ‘모두가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공동체의 삶터’, ‘자연과 더불어 건강하게 사는 환경 친화적 삶터’를 일궈온 생명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셋, ‘마을의 공간 구성’을 현실에 맞게 보전한 우리 건축의 정신과 역사가 바로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한필원 교수는 20년 동안 우리 마을을 답사하고 조사하였다. 현재를 이해하고 밝은 앞날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우리의 전통을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을 시작으로 동아시아의 전통 주거지를 해석하는 일을 필생의 사업으로 삼고 있다.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에는 ‘사상과 문화’라는 주제로 여섯 개의 마을을 담았다. ‘제1부 마을에 담긴 정신’에는 자연에서 단서를 찾아 마을공간을 형성한 옻골마을, 성리학적 원칙이 마을공간의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 한개마을, 그리고 우리 조상들의 도시관을 보여주는 낙안읍성으로 이뤄진다. ‘제2부 마을에서 읽는 우리 문화’에는 토속성이 강한 주거공간에 평등한 삶의 조건이 구현된 성읍마을, 걸출한 인물들을 배출한 하회마을, 그리고 한국 마을에서 근대성을 생각게 하는 강골마을을 소개하였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한필원
1961년 생.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농촌주택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전통마을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성림 종합건축사사무소와 공간 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건축설계 실무를 하였다.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중국의 칭화대학淸華大學 건축학원에서 연구하였으며,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미국의 뉴욕주립대학(버펄로)에서 방문교수로 있었다. 1996년부터 한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아시아건축연구실(Asian Tradition in Architecture)을 이끌고 있다. 저서(공저)로는 ≪주거의 문화적 의미≫, ≪지식의 최전선≫, ≪한국의 전통생태학≫이 있다.

한필원 교수 홈페이지: http://ata.hannam.ac.kr





목차

• 목차보기



들어가는 글 : 우리 마을에 숨겨진 놀라운 질서


제1부 마을에 담긴 정신

사상, 개념 그리고 마을
위계적 개념 : 질서와 조화를 꿈꾼 공동체
확장적 개념 :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는 공동체
다양한 개념 : 마을은 보물창고 같은 곳

옻골마을_주변 경관에서 찾은 공간 만들기의 단서

대도시에 남은 오래된 삶터
마을을 광역 경영의 베이스캠프로
광역 경영자, 백불암 선생
산사람, 죽은 사람이 모두 옻골에 모이다
정려각을 기준으로 나뉜 개인과 공동체
동계정에 있는 미수眉搜의 글씨
마을은 뒷산의 ‘혹’으로 통한다
집은 자연을 만나 질서를 얻는다
산 사람과 조상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 : 백불고택
동기가 다르면 결과도 다르다

한개마을_선비 정신과 만나는 공간미학

감응사에서 내려다본 한개마을
한개마을은 한 개가 아니었다
벼슬을 버리고 명예를 지킨 선비의 마을
효와 공부를 실천하는 공간
마을과 집을 잇는 길 체계
여성이 드러나지 않게 마을 공간을 조성하다
그러나 당당한 여성 공간
나누면서 동시에 잇는 담과 건물의 이중주
겸손한 마을의 기준, 한주종택
집 속의 집 : 특수한 가족사가 만들어낸 특별 영역
새로운 세기에 일어난 도전 또는 자본주의의 산물
땅과 현실에서 이끌어낸 아름다운 원칙

낙안읍성_조상들이 생각한 도시

즐겁고 편안하게 항해하는 배
읍성은 도시인가?
폭넓은 시각에서 본 도시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축지법을 써서 하루아침에 성을 쌓다
객사와 동헌의 정면성
의식과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축
공과 사의 수준 높은 공존 방식
시장은 성 안에, 향교는 성 밖에
뜻밖의 장소에 있는 옥獄
너무나 그리운 샘과 미나리꽝
읍성 대 향촌
그만그만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변화감 있고 흥미로운 주거지
과거의 도시가 현재의 시골로
정신은 떠나버리고 물질만 남은 현대 도시


제2부 마을에서 읽는 우리 문화

문화, 마을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오해
마을은 문화적 다양성의 현장

성읍마을_토속적인 공간과 평등한 삶의 조건

지적 상상력을 요구하는 전통마을
형식을 버리고 자연을 택한 읍성
일반 마을과는 다른 공간의 얼개
제주도의 특이한 이름들
고리형 길, 올래 그리고 정낭
형태에 집착하지 않은 집들
돌로 통합된 토속성, 바람이 만들어낸 형태
민중의 생활을 반영하는 토속 신앙
안과 밖이 평등한 주거 공간
고부간의 갈등이 없는 주거 공간

하회마을_위인과 보통사람 그리고 공간의 숨결

‘물돌이’ 마을 하회, 사람으로 유명해지다
마음을 모아도 쉽게 파악되지 않는 마을
하회마을을 보는 세 단계
겸암과 그의 공간
서애와 그의 공간
겸암과 서애의 건축이 보이는 미묘한 차이
마을 사람 모두의 공간, 삼신당
자면서도 먹으면서도 배울 수 있는 마을

강골마을_근대의 추억과 한국 마을의 근대

강골마을에 분 변화의 바람
근대화 연쇄점과 근대의 추억
보성, 차 그리고 수입된 근대
전통의 분위기 속에 싹튼 근대의 씨앗
전통마을에서 근대 마을로
부농의 집 근대 한옥의 탄생
새로운 모습의 안채와 안마당
한옥의 다양화 : 중앙부엌형과 요凹자형 주거
장식은 죄악이다?
열화정은 왜 마을 뒤로 갔을까
꺼져가는 마을

부록
자주 나오는 용어해설 : 풍수와 건축 용어를 위주로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찾아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39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79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38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0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37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236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493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35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7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234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0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33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92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232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19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231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30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1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229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5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8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3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227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226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76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25 45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5] 커리어 그리고 가정 file 조수윤 2022.10.12 233 클라우디아 골딘 생각의힘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2022-10-25 이도저도 오후 7:15
224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2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23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0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2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21 25 오사카 상인의 지독한 돈벌기 file 관리자 2003.06.21 4382 소큐도미코 선영사 박상찬 교수 2003-06-24
220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219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099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218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56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217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16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56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15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28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4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0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3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0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2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1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0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2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209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08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207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06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6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5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4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8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3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1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4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1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6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200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49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