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6.02.23 09:00

실마릴리온

조회 수 42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9
저자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출판사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발표자 서윤경
일자 2006-03-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




- J.R.R. Tolkien의 [실마릴리온] 소개

[실마릴리온]은 영국의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옥스퍼드대 교수를 역임한 J.R.R. Tolkien이 만든 환타지 세계의 신화적 소설인 [반지의 제왕]과 [호빗]의 이전 시대를 다루고 있으며, 한편 이 소설의 역사적 신화적 배경이 되는, 한편으로 이 창조된 세계의 신화이자 한편으로는 역사서입니다.

J.R.R. Tolkien은 [실마릴리온]을 출판하는 출판사의 편집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이러한 소설이자 만들어진 신화를 구상한 이유로 ‘(변변한 창조) 신화 없는 영국인에게 신화를 만들어 주고 싶었다’고 스스로 밝힙니다. 그래서 [실마릴리온]은 창조된 영국인의 창조신화입니다. 모든 신화가 그렇듯 창조신화는 한편으로 역사서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J.R.R. Tolkien이 창조한 세계를 환타지 소설속의 가상의 세계로 이해하기도 하지만, 적지 않은 사람들은 우리가 잘 아는 그리스 로마의 신화, 혹은 켈트족, 혹은 북구 신화와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확실히 J.R.R. Tolkien이 창조한 신화에는 독특한 우주관과 세계관과 함께 유럽인의 보편적 가치관과 신화체계가 녹아 있습니다. 한편 그 형식도 유럽의 연대기 (annals)나 서사시 (Lays) 형태로 쓰여 있습니다.

1977년 처음 책으로 출판된 [실마릴리온]은 초고에 있는 연대기나 서사시로 쓰인 원고와 이야기를 정리하여 그리스나 로마 신화와 같이 이야기 형태로 묶은 것입니다. 이 책은 “퀜타 실마릴리온 (Quenta Silmarillion; 실마릴 이야기)”와 “아이눌린달레 (Ainulindale"; 아이누르의 음악)”, “발라퀜타 (Valaquenta; 발라르에 대한 소개)”, “아칼라베스 (Akallabeth; 누메노르의 침강)”, 그리고 “제 3시대 반지들의 힘에 대하여” 등 이 함께 묶여 있어 J.R.R. Tolkien의 신화 세계를 한꺼번에 볼 수 있습니다.

17살 무렵부터 신화를 구상하기 시작한 J.R.R. Tolkien은 60여 년간 새로운 언어를 창조해 내고, 신화 체계와 역사를 완성하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J.R.R. Tolkien은 옥스퍼드대 동료들과 함께 만든 “Inklings”라는 독서 모임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가다듬습니다. 이 독서 모임의 멤버로 ‘나르니아 연대기’의 저자인 C. S. Lewis가 있고, J.R.R. Tolkien과 관계 깊은 Humphrey Carpenter가 있었습니다.

생전에 자신이 본 신화 세계 모두를 출판하지 못하고 [호빗] (1937년) [반지의 제왕 3부] (1954년) 등 극히 일부만 출판한 채 그 일을 아들인 C. Tolkien에게 맡겨집니다. C. Tolkien은 그 후 20년 동안 아버지의 유작들을 수집하고 편집하여 [실마릴리온] (1977년), [Unfinished Tales](1980년), 그리고 일종의 연구서이자 주석서인 12권의 [The History of Middle-Earth] (1984~1996년)를 출판하게 됩니다.

혹자는 J.R.R. Tolkien을 셰익스피어 이후 최고의 영국작가로 꼽기도 하고, 그의 저작이 수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에 절대 뒤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서구, 특히 영어 사용권에서는 J.R.R. Tolkien이 만든 신화 세계의 용어가 일상적으로 쓰이고, 소설을 비롯하여 각종 컴퓨터 게임에 개념이나 용어, 혹은 세계가 모방되기도 하고 차용되기도 합니다.

국내에 번역된 [실마릴리온]은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다솜미디어’ 이라는 출판사에 몇 년 전에 나온 것과 최근 (2005년)에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에서 나온 것 등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60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7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9 80 요가와 뇌 file 관리자 2005.10.06 4071 안의태 요가코리아사 안의태 2005-10-25
258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7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57 87 알기쉬운 요가 file 관리자 2006.01.24 4090 안지용 도서출판 그린 안지용 2006-02-14
256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5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4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54 113 자연과학 면역의 의미론 file 관리자 2007.02.28 4917 타다 토미오 한울 엄준호 2007-03-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3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64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52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71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51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9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50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8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49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3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48 264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4 file 유화현 2013.06.28 4540 알렉산더 즈본킨 양철북 역자 박병하 박사님 2013-07-09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47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3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46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86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245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8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4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3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43 332 자연과학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file 이근완 2016.06.02 981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동아시아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2016-06-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2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2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41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3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0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22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39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38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60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37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1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36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8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5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30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4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3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7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2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4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31 37 연금술사 file 관리자 2003.12.16 3794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유현숙 2004-01-07
230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6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229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30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28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8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27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9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6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43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25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41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4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23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3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22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2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21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6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